5·18 당시 17세···전남도청 지키다 총에 맞아
어린이날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6일 낮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시민들이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으로 활동했던 60대가 5·18 45주년을 1주일여 앞두고 혼자 살던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계엄군이 쏜 총에 맞아 부상을 당했던 그는 평생 악몽 등 후유증에 시달렸다.
12일 광주 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10시45분쯤 광주 북구 용봉동의 한 빌라에서 김모씨(61)가 숨진 채 발견됐다.
연락이 닿지 않자 집을 찾아온 지인이 쓰러져 있던 김씨를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김씨는 평소 지병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으로 참여했다. 당시 17살 이었던 김씨는 5·18당시 계엄군의 발포로 숨진 시민들의 시신을 보고 분노했다.
시민군에 합류한 김씨는 시민군 지휘부였던 옛 전남도청을 끝까지 지켰다. 김씨는 계엄군이 전남도청 진압 작전을 펼치기 전날인 5월26일 오전 10시 도청으로 자신을 찾으러 온 어머니를 돌려보내기도 했다.
5월27일 계엄군의 전남도청 진압 작전 때에는 손에 총을 맞아 부상을 입었다. 계엄군에 붙잡힌 그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가 그해 10월 형 집행 정지로 풀려났다.
김씨는 이후 정신적 고통에 시달렸다. 매년 5월만 되면 전남도청에서 목격했던 수많은 시민의 시신이 떠올랐다고 한다. 악몽에 시달렸던 김씨는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해 불면증과 수면 부족, 각종 질병으로 고통 받았다.
양기남 5·18민중항쟁 기동타격대 동지회장은 “김씨는 5·18진상규명에 앞장서 왔다”면서도 “하지만 평생 정신적 고통으로 힘들어하다 보니 육체도 무너진 것”이라며 안타까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