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최근 파킨슨병 환자가 빠르게 늘면서, 올해 15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다양한 증상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려워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을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시작은 사소한 증상이었습니다. 가톨릭의대 신경외과 박춘근(73) 명예교수는 어깨 통증이 오자 오십견이라고 여겼죠. 나이가 들며 생기는 어쩔 수 없는 병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관절 주사를 맞아도 통증은 잡히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신경과로 옮긴 그는 2010년 ‘파킨슨병’을 진단받았습니다.

당시 나이 58세. 수술실에 누워서 들어간 환자를 걸어서 나오게 하는 기적의 ‘척추 명의’로 불렸던 그에게 파킨슨병은 사형선고나 다름없었습니다. 손을 떨며 수술할 수 있는 의사는 없으니까요. 벼랑 끝에서 날개가 꺾인 채 추락하는 일만 남았다고 생각했죠.
휠체어에 앉아서 인터뷰를 하던 박춘근 명예교수가 사진을 찍기 위해 일어섰다. 그는 "파킨슨병에 걸리면 항상 누워 있다고 생각하는데, 환자 본인이 얼마나 의지를 갖고 치료하느냐에 따라 일상을 잘 살 수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다"고 했다. 김경록 기자
파킨슨병은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되면서 움직임에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해 넘어지거나 척추가 휘고 움직임이 느려져 걷거나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몸이 얼어붙은 것처럼 뻣뻣해지는 게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척추 명의에게 척추가 아픈 병이 찾아오다니. 박 교수는 이 상황을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자신을 환자로 받아들이기까지 13년. “파킨슨병은 본인에게 어떤 의미냐”는 질문에 박 교수는 환한 미소로 답했습니다. “만약 파킨슨병에 걸리지 않았다면 치료에 탁월한 명의는 될 수 있어도 환자의 진짜 감정과 고통을 이해하는 의사는 될 수 없었을 것 같습니다. 어쩌면 병으로 인해 지금 저는 누구보다 환자의 마음을 잘 이해하는 진정한 의사가 된 셈이죠.”

박 교수는 “파킨슨병이 시작되기 전 작은 시그널을 유심히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조기 치료 기회를 놓친 건 이런 신호를 무시했던 본인의 아집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같은 실수를 겪지 않도록, 자신의 투병 일지를 모아 『신경외과 전문의 파킨슨병 실제 투병기』(바이북스)를 펴내기도 했습니다.

(계속)
그가 놓쳤던 작은 신호들은 무엇이었을까요. 긴 어둠의 시간을 견딜 수 있게 만든 건 또 무엇이었을까요. 한 의사의 솔직한 고백을 들어봤습니다. 박 교수와의 인터뷰 전문엔 다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척추 명의, 그에게 닥친 ‘사형 선고’
변비·심한 잠버릇…파킨슨병 전구증상이었다
“어쩔 수 없이 시작한 재활치료가 날 살렸다”
난치병 환자 간호하는 가족, 그들도 아프다
만성질환 환자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 5
☞“오십견? 파킨슨병이었다” 척추 명의도 놓친 전조 증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122
추천! 더중플 - 더,마음 ▶“자본주의 괴물 되더라도…” 다리 절단한 남자의 자전거 꿈
평범한 직장인이던 박찬종(35)씨는 자전거를 타고 퇴근하다 교통사고를 당합니다. 트럭 밑에 깔려 왼쪽 다리를 절단해야 했는데요. 그는 절망하는 대신 새 자저거를 샀고, 2년 뒤 장애인 사이클 국가대표로 선발됩니다. 모든 것을 포기할 수도 있었던 순간, 그를 바꾼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76

▶“부모님 치매 이렇게 늦췄다” 정신과 의사의 ‘뇌 펌핑’ 비법
“치매는 유전이 아니에요. 막을 수 있고, 늦출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치매 전문가 김성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운동을 통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인 방법을 알아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25

▶알코올 중독자는 백수 폐인? 의사·검사·임원들 많은 이유
흔히 알코올 중독자는 직업도 없고 매일 술을 달고 살 것 같지만, 의외로 일상생활을 잘 해나가는 ‘고도적응형’ 환자가 많다고 합니다. 의사·검사·교수·대기업 임원처럼 고학력·고소득층이 많은 것도 특징이죠. 애주가에서 알코올 사용장애로 넘어가는 위험 시그널은 무엇일까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8661

▶“나쁜 남자 망치에 맞아보라” 허무한 중년, 유혹하는 니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448

▶아빠·엄마·할머니·남편도 잃다…“위스키” 그는 주문을 외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90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31 조희대 특검, 대법관 100명, 재판소원…'대법 힘빼기' 법안에 우려 봇물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30 [단독]국힘, 尹출당론 확산…전한길 "尹 탈당생각 전혀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9 [현장+] PK서 '이순신' 꺼낸 이재명 "유능한 리더가 세상 흥하게 할 수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8 당뇨·고혈압보다 무섭다…"혈관에 녹물" 그 병의 정체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7 약발 다한 연두색 번호판 효과… 1억 넘는 법인차 올들어 22%↑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6 고정밀 지도 향한 구글의 18년 집념…지도는 왜 ‘전장’이 됐나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5 서부지법 난입 첫 1심 판결···법원 “참혹한 사건” 징역형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4 "정계 은퇴" 말한 洪…”선배님 막걸리 한잔“ 이재명 러브콜 응할까[대선인사이드]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3 이재명 운동화 품절… 정치인 패션, 중소기업 ‘웃고’ 대기업 ‘울고’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2 [속보] 푸틴, 젤렌스키와 회동 안한다…이스탄불 회담에 보좌관 파견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1 [단독] 존경 사라지자 교사들 떠난다…“이젠 보건교사도 담임 맡아요”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20 [H공약체크] 이재명 '채무탕감' 김문수 '저리대출'...소상공인 대책, 무엇이 더 효과적일까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9 이재명-김문수 '보수 아성' PK 혈투... 압승이냐 반격이냐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8 정치 테마주 72%가 30% 이상 폭락, 쓴맛 보는 개미들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7 [오늘의 날씨] 전국 대부분 비…초여름 더위 주춤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6 동덕여대, '점거농성' 학생 고소 취소…오늘 총장 입장 발표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5 "100년에 한 번 기회"…美 떠나는 인재들 잡으려 세계 각국 경쟁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4 [단독] 윤 “탈당, 김문수 결정에 따르겠다… 의리 따질 때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3 67%가 "싫어요"…대선 후보 비호감 1위 이준석, 2위는 누구? new 랭크뉴스 2025.05.15
48012 "장모 따라 '다단계' 빠져 아들 방치하는 아내…이혼하고 싶습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