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중 대표단, 회담 성과에 '침묵'
트럼프는 "많은 것 합의" 주장
11일 두 번째 회담 이어가지만
지루한 눈치싸움 계속될 수도
스콧 베선트(오른쪽) 미국 재무장관이 10일 스위스 제네바의 한 호텔에서 중국 대표단과의 무역협상을 위해 출발하고 있다. 제네바=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관세 난타전을 펼쳐온 미국과 중국이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 1막을 올렸다. '관세 전쟁'의 타협점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지만, 양측 간 이견이 크게 좁혀지진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정 종료 후 "큰 진전이 이뤄졌다"며 일단 만족감을 드러냈다.

오전 8시부터 10시간 마라톤 회담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각각 이끄는 양국 대표단은 이날 오전 10시 제네바에 위치한 유엔 주재 스위스 대사관저에서 회담을 시작했다. 양측 협상 대표의 모두 발언을 공개해온 관례와 달리 이날 회의는 전체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오후 8시쯤 마무리됐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전했다. 회담 종료 후에도 양국 대표단은 취재진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고 자리를 떴다.

10일 미국 대표단과의 회담을 마친 중국 대표단이 회담 장소인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유엔 주재 스위스 대사관저를 떠나고 있다. 제네바=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 종료 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오늘 스위스에서 중국과 매우 좋은 회담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많은 것에서 동의가 이뤄졌다"며 "큰 진전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관세 등 주요 의제에서 합의가 필요하다는 큰 틀의 공감대를 형성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이었다. 실제로 구체적 진전이 있었다기보다는 미국 주도의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려는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과시 화법'으로도 읽힌다.

美 "비관세 장벽 제거" 中 "관세 먼저 낮춰라" 신경전 관측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과 미국 모두의 이익을 위해 미국 업계에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보고 싶다"고도 썼다. 미국 측이 중국이 미국에 부과하고 있는 125%의 관세 인하와 함께 미국 상품 구매 확대, 디지털 규제 등과 같은 '비관세 장벽' 제거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 측 대표단에 마약 단속 관련 최고책임자인 왕샤오훙 공안부장이 포함된 점으로 미뤄 펜타닐 문제도 비중 있게 논의됐을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 생산을 방치한다고 비난해 왔고, 이를 명분 삼아 중국에 한해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협상 직후 내보낸 기사에서 "미국이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면 일방적 관세 조치가 미치는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직시하고, 대화의 진정성을 보여주고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먼저 시작한 전쟁이니 중국에 부과한 관세(145%)를 먼저 낮추는 성의를 보이라는 뜻이다.

미국 목표는... 대중 관세 80%? 34%?



협상 최대 관건인 '미국의 대(對)중국 상호관세율 인하 폭'에 대한 미국 내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앞서 뉴욕포스트 등 일부 미국 언론은 미국 측이 대중 관세율을 50%로 낮추는 제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SNS에 "대중국 관세는 80%가 적절할 것 같다"고 썼다. 반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9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34% 근처에서 합의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34%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처음 발표했던 대중 상호관세율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양한 수치를 흘리는 건, 유리한 조건을 끌어내기 위해 중국에 혼선을 주려는 계산된 전략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양측은 11일 협상을 속개했다. 협상 이틀 만에 극적 합의안이 도출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한 양측 간 근본적 입장 차이가 여전히 큰 만큼 협상이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0일 자 사설에서 "(미중 간) 담판은 갈등 해소에 필요한 조치이나 한두 번 담판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희망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399 대화 제안한 푸틴 속내는…휴전협상 급물살 기대도(종합) 랭크뉴스 2025.05.11
51398 "한국 가면 '월급 4배' 벌 수 있대"…베트남 청년들 수만 명 '우르르' 랭크뉴스 2025.05.11
51397 나들이하기 좋은 봄…‘꽃가루 알레르기’ 주의 랭크뉴스 2025.05.11
51396 대선후보 7명 등록…이재명 30억·김문수 10억·이준석 14억 재산 신고 랭크뉴스 2025.05.11
51395 트럼프 행정부 “정책 연구에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평가 중단” 랭크뉴스 2025.05.11
51394 “사람을 죽였습니다”…연인관계 여성 살해한 20대 자수 랭크뉴스 2025.05.11
51393 이재명, 김장하 선생 만나 “불공정과 갈등 걷어내고 모두가 잘 사는 나라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5.11
51392 김문수, 새 비상대책위원장에 '당내 최연소' 35세 김용태 검토 랭크뉴스 2025.05.11
51391 김문수, 파격 인선…새 비대위원장에 '90년생 김용태' 내정 랭크뉴스 2025.05.11
51390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 후임에 초선의원 김용태 내정 랭크뉴스 2025.05.11
51389 “곳곳서 3차 세계대전…더 이상은 안 되며 모든 인질 석방해야” 랭크뉴스 2025.05.11
51388 "결혼 안 하고도 아이 낳을 수 있게"…'비혼 출산'에 대한 복지차관 생각은 랭크뉴스 2025.05.11
51387 “자고나니 후보 교체” “예상 못한 당심”···국힘에서 일주일 새 무슨 일 있었나 랭크뉴스 2025.05.11
51386 김문수, 국힘 비대위원장에 35세 김용태 내정···한덕수로 후보 교체 ‘유일 반대’ 랭크뉴스 2025.05.11
51385 보수 빅텐트 친다더니 3파전‥사실상 '윤석열 vs 이재명' 재대결? 랭크뉴스 2025.05.11
51384 한국인 여성에 "더러운 창녀 꺼져"…프랑스 인종차별 논란 커지자 랭크뉴스 2025.05.11
51383 국민의힘, 내부 비판에 ‘통합’ 강조…민주당 “후보 강탈 쿠데타 실패” 랭크뉴스 2025.05.11
51382 레오 14세, 첫 주일 기도서 '종전과 평화' 역설… "더 이상 전쟁 안 돼" 랭크뉴스 2025.05.11
51381 "너무 많이 올라서"...경총이 주장한 276만 명이 최저임금도 못 받는 이유 랭크뉴스 2025.05.11
51380 119센터 앞 가로막고 사라진 40대 ‘음주운전’ 인정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