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LPG 가스통 앞에서 불장난을 벌이는 두 아이.

10일 파키스탄 라왈핀디에서 화염과 함께 연기가 오르고 있다. 인도군의 공격으로 보인다. 로이터=연합

지금 무력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보면 드는 생각이다. 두 나라는 각각 100기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다. 그런데도 두 나라의 무력분쟁은 날로 격해지고 있다.

인도군 민병대가 스리나가의 국제공항 경비를 서고 있다. AFP=연합

4월 22일 카슈미르 파할감에서 이슬람 과격집단의 테러로 관광객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했다. 인도는 파키스탄이 배후라며 7일 보복공격을 했다. 파키스탄은 이에 맞서 인도군 전투기 5대를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0일 “눈에는 눈”이라며 인도 공군기지를 타격했다.

이 과정에서 파키스탄은 중국에서 들여온 J-10C 전투기가 쏜 PL-15 미사일로 인도의 프랑스제 라팔 전투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LPG 가스통(핵) 앞에서 불장난(무력분쟁)을 벌이려는 인도와 파키스탄. 챗GPT 생성

그러나 인도와 파키스탄 양측의 주장만 난무하는데, 이에 대한 진위를 가린 정보는 드문 게 지금 상황이다. 쏟아지는 뉴스 중 무엇이 맞고, 무엇이 틀렸을까?



도대체 몇 대가 격추됐나

파키스탄군은 이날 기자회견을 전과를 자랑했다. 파키스탄군에 따르면 7일 새벽 사이 인도군 전투기 72대에 맞서 파키스탄군 전투기 42대가 발진했다. 합계 114대로 당초 양측에서 125대가 동원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상 최대 공중전이라는 CNN의 보도와 비슷한 숫자다. 물론 CNN 기사의 출처도 파키스탄이었다.

파키스탄군이 요격한 인도군 전투기 격추 지점 지도. 파키스탄군

파키스탄은 JF-17, J-10, F-16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JF-17은 중국과 파키스탄의 합작 전투기다. 사실상 중국의 기술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인도군의 라팔 3대, Su-30MKI 1대, MiG-29 1대, 무인기 1대를 격추했다며, 지도까지 공개했다.

CNN은 프랑스 취재원을 인용해 인도군이 라팔 1대를 잃었고, 1대를 추가로 손실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도 이를 파악했다고 한다. BBC는 인도 펀자브주 푸틴다(Bathinda) 근처에서 발견된 라팔 잔해 영상을 사실로 확인했다. 로이터는 파키스탄군의 J-10이 인도군의 라팔을 최소 2대 떨군 사실을 미국이 검증했다고 보도했다.

지상에서 포착된 인도군의 MiG-29 비상탈출용 사출좌석 잔해 사진은 MiG-29의 손실 가능성이 크다는 정황이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파키스탄군이 격추했다고 주장한 인도군 무인기는 이스라엘제 헤론이다.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견된 인도군 라팔 잔해. 왓츠앱

종합해보면 인도군의 손실은 최소 라팔 2대, MiG-29 1대로 보인다. 이에 대해 인도군은 묵묵부답이다.



공중전보다 더 치열한 선전전

인도와 파키스탄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과장과 거짓말도 마다치 않았던 경력으로 악명이 높다.

2022년 IDEAS에서 전시된 파키스탄군 JF-17. 이 전투기가 2017년 인도군 MiG-21을 격추했다고 파키스탄은 주장한다. 그러나 사실은 파키스탄군 F-16의 전과였다. TurDef

2019년 2월 27일 두 나라의 공중전에서도 파키스탄은 자국의 JF-17이 인도군 MiG-21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2022년 파키스탄에서 방산 전시회인 IDEAS에 격추의 주인공 JF-17을 전시했다. 그러나 국제 사회는 승리의 영광은 JF-17이 아니라 F-16에게 돌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파키스탄은 인도와 무력 분쟁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F-16과 공대공 미사일인 AIM-120 암람을 미국에서 수입했다. 이 때문에 허위 사실을 노골적으로 퍼트릴 수밖에 없다.

파키스탄은 이번에도 게임 동영상을 실제 전투 장면으로 올렸다.

인도도 ‘페이크 뉴스’에선 파키스탄에 지지 않는다. 인도 언론은 이번에 파키스탄 JF-17 2대와 F-16 1대를 요격했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19년에도 인도는 파키스탄 F-16을 잡았다고 자랑했지만, 국제 사회는 이를 믿지 않았다.

파키스탄이 미라지-V가 추락했다는 소식도 있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 CNBC와 영국의 BBC, 독일의 DW는 이번 무력분쟁에 관련해 소셜 미디어에서 떠도는 허위 사실에 대한 목록을 공개했다.



‘싸구려’ 중국제 무기의 반란?

중국은 J-10C와 PL-15 프랑스 라팔을 잡았다는 소식에 신났다. J-10은 값싸게 만들어 대량으로 배치하려는 게 개발 목적인 전투기다. 중국은 그동안 자국제 무기의 ‘싸구려’ 이미지를 벗어나려고 이번 전과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인도군 라팔. 로이터=연합

라팔은 프랑스의 주력 전투기다. 라팔은 J-10C보다 고성능이며, 당연히 더 비싸다.

지난해 세르비아가 신형 전투기 사업을 벌였다. 중국의 J-10C와 프랑스의 라팔가 경쟁했다. 세르비아는 중국의 ‘일대일로’에 참가했고, 중국이 J-10C 가격을 라팔의 4분의1로 제안했다. 결과는 라팔의 승, J-10C의 패였다.

이번에 J-10C이 라팔에 앙갚음한 모양새다.

J-10C이 잘 팔리면 라팔만 손해가 아니다. 그동안 라팔은 KF-21의 강력한 경쟁자로 꼽혔다. 그런데 J-10C이 치고 들어온 모양새다.

라팔의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미티어는 국산 4.5세대 전투기인 KF-21에도 무장될 예정이다. 먼 나라의 다툼이 아니라 요즘 잘나가는 K방산 앞에 장애물이 등장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섣부르게 나오는 배경이다.

‘섣부르다’는 표현은 아직 정보가 부족해 7일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어서다.

뇌피셜을 써본다면….

인도군 피해가 더 컸다는 걸 보면 파키스탄군이 매복했었을 가능성이 있다. 파키스탄군 전투기 42대와 인도군 전투기 72대 싸움의 결과라면 더 그렇다.

인도군은, 특히 라팔은 스칼프 순항미사일로 파키스탄의 목표를 타격하려고 했었을 것이다. 발사 직후 파키스탄군 전투기의 기습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파키스탄은 공중조기경보기, 전자전기, 방공미사일 등을 총동원해 자국 전투기를 지원했었을 것이다.

반면 인도군은 제대로 된 스트라이크 패키지(공격 편대군)를 꾸리지 못했을 수 있다. 스트라이크 패키지는 서로 다른 능력을 가진 항공기를 단일 공격 임무에 투입하는 걸 의미한다.

인도군 지휘부가 파키스탄 보복 작전을 급하게 지시하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라팔의 성능을 과신했었을 수 있다. 라팔은 자체 방어용 전자전 장비인 스펙트라로 생존성을 높였다고 그동안 자랑 돼 왔다.

파키스탄군 J-10. 로이터=연합

군사 전문 자유 기고가인 최현호씨는 “무기체계의 스펙이 전부가 아니다. 실제 전투는 스펙보다는 다른 무기체계와 협동에 따라 승패가 결정 난다”고 지적했다.



PL-15를 경계하자

분명한 사실 PL-15가 라팔 격추의 주인공이라는 점이다. PL-15는 중국이 2016년 개발한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최고 속도는 마하 5 이상이며, 최대 사거리는 최소 200㎞를 넘는 것으로 추정한다. 시커(탐색기)로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를 쓴다.

인도 펀자브주 카마히 데비 인근에서 발견된 중국제 PL-15. 목표에 명중해 터지지 않은 상태다. 최대 사거리를 넘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X@WLVN 계정

중국은 파키스탄에 PL-15의 수출형 PL-15E를 수출했다. PL-15E의 최대 사거리는 150㎞ 안팎이다.

인도와 파키스탄 전투기는 각각 자국 영공에서 싸웠다. 인도군이 파키스탄군의 PL-15 실물을 그대로 수거한 사실을 보면 파키스탄군 J-10은 인도군 전투기를 탐지하면 긴 리치의 장점을 살리려 일단 PL-15를 쏜 것 같다. PL-15는 전투기의 레이더로부터 정보를 받지 않고도 스스로 목표를 찾아가는 능동 레이더 유도 공대공 미사일이다.

미국도 PL-15의 긴 사정거리가 부담스럽다. 유사시 중국군의 PL-15가 후방에서 안전하게 비행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미군의 공중조기경보기나 공중급유기와 같은 지원기를 노릴 수 있어서다. 그런데 이번에 나름 날렵하다고 알고 있는 라팔마저 격추했으니 미국이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미국은 PL-15의 대항마로 해군의 함대공 미사일인 SM-6를 개조한 AIM-174와 기존의 암람을 대체하려는 AIM-260 신형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 미사일을 배치하기 전까진 미군 항공기의 운용이 위축될 수 있다. 암람은 최신형은 AIM-120D의 경우 최대 사거리가 160㎞라고 한다.

한국도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전력 확보가 시급하다. 국산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개발을 서두르면서, 그동안 미티어나 AIM-120D로 급하게 공백을 메워야 할 필요가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354 레오 14세 교황 “더 이상의 전쟁은 안돼”…종전·평화 촉구 new 랭크뉴스 2025.05.11
51353 “이자 수익만 10%라고?”...‘뭉칫돈’ 몰린다 new 랭크뉴스 2025.05.11
51352 이재명 선거운동 첫날 키워드 ‘내란 종식과 AI’ new 랭크뉴스 2025.05.11
51351 대전서 “연인 죽였다”고 스스로 신고한 20대 남성 입건 new 랭크뉴스 2025.05.11
51350 3억원에 '팔자' 내놨던 교황 유년기 집, 콘클라베후 매물 철회 new 랭크뉴스 2025.05.11
51349 메모리·비메모리 다 하는데… 삼성전자, ‘파운드리 업체’ TSMC와 매출 10조원 격차 new 랭크뉴스 2025.05.11
51348 한·일 잇는 ‘조선통신사선’ 오사카에 도착···261년 만의 입항 랭크뉴스 2025.05.11
51347 한덕수 날아가자 김문수 지지 선언한 尹‥당내에선 "그 입 다물라" 랭크뉴스 2025.05.11
51346 확산하는 ‘쌍권’ 사퇴론···공고하던 친윤 주류 와해되나 랭크뉴스 2025.05.11
51345 사과의 큰절 올린 김문수 "우리는 원팀"‥당내 통합에 빅텐트까지는 '첩첩산중' 랭크뉴스 2025.05.11
51344 21대 대선에 7명 후보 등록…이재명 1번·김문수 2번·이준석 4번 랭크뉴스 2025.05.11
51343 김문수, 의원들에 큰절 "더 넓게 품지 못해 사과드린다" 랭크뉴스 2025.05.11
51342 벼랑 끝 백종원… 홍콩반점·한신포차 등 주요 브랜드 '반값 할인' 한다 랭크뉴스 2025.05.11
51341 한밤중 기습 의결, 또 순식간에 "없던 일"?‥김문수 "화합해야" 랭크뉴스 2025.05.11
51340 "아파트 받으려면 매달 찾아와" 어버이날 '효도계약서' 논란 랭크뉴스 2025.05.11
51339 [한겨레 그림판] 내가 니 ‘애비’야… 랭크뉴스 2025.05.11
51338 미중 첫 '관세 대좌'서 '10시간 마라톤 협상'... 트럼프 "큰 진전 있었다" 랭크뉴스 2025.05.11
51337 무역전쟁 대비한 中, 타산지석 삼아야 하는 이유[김광수특파원의 中心잡기] 랭크뉴스 2025.05.11
51336 기호 1번 이재명, 2번 김문수, 4번 이준석...대선 후보 7명 최종 확정 랭크뉴스 2025.05.11
51335 ‘한강의 기적’ 어디에…0% 아래로 추락, 낙오하는 한국 경제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