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편집자 주
= 기후 온난화는 우리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고 있습니다. 농산물과 수산물 지도가 변하고 있고, 해수면 상승으로 해수욕장은 문 닫을 위기에 처했습니다. 역대급 장마와 가뭄이 반복되면서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기도 합니다. '꽃 없는 꽃 축제', '얼음 없는 얼음 축제'라는 웃지 못할 해프닝도 생겨납니다. 이대로면 지금은 당연시하고 있는 것들이 미래에는 사라져 못볼지도 모릅니다. 연합뉴스는 기후변화로 인한 격변의 현장을 최일선에서 살펴보고, 극복을 모색하는 기획 기사를 매주 송고합니다.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의 봄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2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용머리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절경을 감상하며 산책하고 있다. 2025.3.20 [email protected]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30∼40년 전엔 거의 매날 용머리 나왕 장사해신디, 자꾸 길이 좀경 요샌 절반도 못나완마씨(30∼40년 전엔 거의 매일 용머리에 나와 장사를 했었는데, 자꾸 길이 잠겨 요샌 절반도 못나옵니다)"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산방산 앞의 용머리해안에서 40년째 뿔소라와 해삼 등 횟감을 관광객에게 팔고 있다는 70대 해녀 A씨의 말이다.

최근 수십년간 급속히 진행한 기후온난화는 산전수전 다 겪은 해녀의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데만 그치지 않았다.

바다 수온이 빠르게 올라 북쪽으로 터전을 옮겨가는 연산호, 자리돔, 방어부터 1천400m 이상의 고지대로 쫓겨간 한라산의 구상나무까지 대한민국 최남단 제주도의 생태와 식생은 기후변화의 최전선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기후변화는 지금껏 당연한 듯 여겨지던 풍경마저 변화시켜 사람들을 애타게 하고 있다.

제주 서귀포의 봄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2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용머리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절경을 감상하며 산책하고 있다. 2025.3.20 [email protected]


용머리해안은 그런 풍경 가운데 하나로 기후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척도 역할을 해 '기후변화 1번지'로 불리는 곳이다.

용머리해안은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용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해안이다.

길이 600m, 높이 20m의 응회암층이 늘어선 해안으로 수평층리, 풍화혈, 돌개구멍, 해식동굴 등 지질학적 경관이 장관을 이룬다.

약 100만년 전부터 얕은 바다에서 폭발한 화산이 차곡차곡 쌓아 올린 쇄설물을 바람과 파도가 깎아 이뤄진 모습은 미국 서부 애리조나주의 유명한 사암 협곡인 앤털로프 캐니언을 떠올리게 할 정도다.

용머리해안은 천연기념물 526호이자 국가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돼 국내외로부터 인정받은 지질 명소다.

용머리해안 탐방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25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용머리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탐방로를 걷고 있다. 2025.4.25 [email protected]


38년 전인 1987년 용머리해안에 공사비 2억원이 투입돼 780m 길이의 탐방로가 처음 조성됐다.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당시엔 만조 때도 물에 잠기는 일이 거의 없어 거의 모든 날 탐방이 가능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용머리해안은 이제 무작정 가기만 하면 둘러볼 수 있는 곳이 아니게 됐다. 최근에는 1년 365일 가운데 절반은 출입이 통제되고, 종일 탐방 가능한 날이 얼마 되지 않는다. 최근 수십년간 지구 온난화에 속도가 붙으면서 이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용머리해안 탐방에 직접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해수면 상승의 원인으로 크게 바닷물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팽창, 빙하의 융해 등 바다로의 질량 유입 증가 등을 꼽는다.

용머리해안 찾은 단체 탐방객들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2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용머리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절경을 감상하며 산책하고 있다. 2025.3.20 [email protected]


서귀포시 공영관광지관리소에 따르면 윤년인 지난해 용머리해안 탐방로는 366일 가운데 188일이 종일 통제됐다. 일부 시간대만 탐방이 가능했던 날은 91일, 종일 탐방이 가능했던 날은 87일에 그쳤다.

2015년부터의 기록을 살펴보면 연평균 종일 통제일은 142.3일이며, 연평균 종일 탐방이 가능했던 날은 64.2일에 불과하다.

2021년엔 종일 통제일이 215일, 종일 탐방이 가능했던 날이 불과 15일에 그치기도 했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2007년 22.7㎝ 높이로 탐방로가 바닷물에 잠겼고, 서귀포시는 2008년 탐방로에 다리를 놓아 통행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하지만 십여년의 세월이 지나면서 탐방로가 바닷물에 잠기는 일이 더 잦아지고 있다.

용머리해안 탐방로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2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용머리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절경을 감상하며 산책하고 있다. 2025.3.20 [email protected]


지난해 12월 국립해양조사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 해수면 높이는 1989년부터 2023년까지 35년 동안 매년 평균3.06㎜씩 높아져 총 10.7㎝ 가량 상승했다. 최근 10년(2014∼2023년) 동안에는 무려 3.9㎝가 상승해 그 이전 10년(2004∼2013년)간 2.8㎝가 상승한 것에 비해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제주 연안의 최근 35년간 해수면 상승 높이는 연평균 3.02㎜로 전국 연안 평균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10.6㎝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해수면 상승 추세라면 상승 가속도를 고려하지 않고 보수적으로 계산해도 용머리해안의 해수면은 2100년엔 현재보다 22.7㎝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35년간 10.7㎝ 해수면 상승의 두배가 넘는 22.7㎝가 또다시 상승하게 되면 용머리해안 탐방로는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용머리해안 탐방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20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용머리해안을 찾은 관광객이 절경을 감상하며 산책하고 있다. 2025.3.20 [email protected]


제주도가 용머리해안 옆에 설치한 기후변화홍보관이 제시하는 해수면 상승 예상치는 이보다 더 심각하다.

기후변화홍보관은 2012년의 자료에 근거해 1989년의 해수면 높이를 0㎝로 놓았을 때 2050년엔 26.4㎝, 2100년엔 47.7㎝ 상승할 것이라고 추정해 전시물을 구성해 놓았다.

기후변화홍보관 관계자는 방문객에게 "지난 2024년 기준 1989년에 비해 이미 27.8㎝가 상승해 2050년 추정치를 넘어섰고, 이 속도라면 2100년엔 110㎝를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귀포시는 용머리해안을 찾는 관광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영관광지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통해 실시간 탐방 가능 여부를 안내하고 있지만, 세계적 지질 명소인 이곳에 탐방 편의를 위한 추가시설을 설치하기 여의치 않아 난감해하는 상황이다.

시는 탐방로 개설 이후 응회암 판석과 시멘트 등을 이용해 탐방로를 높이거나 다리를 설치하는 등 보수를 진행해왔지만, 미관을 해친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55 [속보] 김문수, 오전 9시40분 긴급 기자회견…후보 취소 관련 입장 표명 예상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54 안철수 "정치 쿠데타 막장극 멈춰라"…한밤중 후보교체에 국민의힘 내부 반발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53 '대선 D-24일' 국힘, 김문수에서 무소속 한덕수로 후보 교체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52 "배운 게 없어 저런 일 하지" 천박한 모욕···폐기물 수거 청년의 꿈을 꺾진 못한다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51 변호사 사칭해 사기 피해자 두 번 울린 일당 집행유예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50 레오 14세 첫 미사 집전‥"교회가 세상의 어두운 밤 밝혀야"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9 11년 걸린 건보공단 담배 소송, 곧 결론…의료계 “담배회사가 니코틴 중독 유도”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8 국민의힘, 초유의 후보 교체‥밤사이 '김문수 후보 자격'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7 김무성·유준상 “단식 중단… 아름다운 단일화 이루지 못해”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6 콜마홀딩스, 콜마비앤에이치 이사회 개편 움직임…주주 살리기 총력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5 [속보]김문수, 9시 40분 긴급 기자회견…대선후보 취소 관련 입장 밝힐 듯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4 김정은 "우크라 방치하면 서울의 군대도 무모함 따라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3 민주 "국민의힘, 폭력으로 대선후보 강탈해 尹대리인에 상납"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2 “한밤중 쿠데타 같은 막장극”···국민의힘 새벽 후보 교체에 당내 비판 빗발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1 국힘,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기호 2번 한덕수' 임박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40 ‘채널A 검언유착 수사’ 지휘했다 징계, 사유는 ‘논문 기한 위반’···이정현 검사장에게 무슨 일이?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39 [속보] 한덕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등록… 김문수는 후보 선출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5.10
50638 김훈과 팔순 엄마의 호소 “대선후보는 제발 이 법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10
50637 “사람에 충성 안 해”…윤석열이 돌려받은 ‘제복 입은 시민’ 증언 [뉴스AS] 랭크뉴스 2025.05.10
50636 일제 때 철거된 제주목관아 종 일본에…환수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