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반(反)이재명 빅텐트’는 고사하고 자칫 ‘헤쳐모여’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국민의힘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악화일로로 치닫자 협상 결렬을 전제로 ‘플랜 B’를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서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강변서재 야외에서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고 있다. 뉴스1

8일 복수의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국회의원 20명이 탈당해 신당을 만들고, 한덕수 전 총리를 대선 후보로 내세우자”고 제안했다. 이는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까지 단일화가 불발될 경우를 대비한 일종의 ‘비상 플랜’이다. 윤 의원은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선 김문수 캠프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윤 의원이 제시한 ‘의원 20명’은 국회 원내 교섭단체 구성의 최소 기준이다. 만일 20명 이상이 탈당해 신당을 창당할 경우 13일 지급되는 대통령선거 국고보조금을 배분받을 자격이 주어진다. 무소속 신분을 벗어난 한 후보가 투표용지 인쇄 시작 전날인 24일까지 버틸 보급로가 트이는 셈이다. 김 후보와의 단일화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도 그만큼 벌 수 있다. 윤 의원은 통화에서 “11일까지 단일화 완료를 골몰하는 건 결국 선거 비용 때문”이라며 “그렇게 한덕수를 모시려고 하면 20명 이상 탈당해서 돈 문제를 해결한 뒤 각자 파이를 키워 25일 이전에 단일화를 완료하는 게 어떠냐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신당 창당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 후보가 기존의 제3지대 정당인 ‘새로운미래’ 등에 수십명의 의원과 동반 입당하는 시나리오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다만 한 후보가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11일까지 단일화가 안 되면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친 상태라 아직까진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많다.

지난해 4월 9일 당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경기 화성시 동탄롯데백화점 인근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마지막 유세를 하고 있다. 뉴스1

이 때문에 당 일각에선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범보수 진영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협상 결렬로 한 후보가 대선 출마를 중도 포기할 경우 김 후보의 ‘단일화 버티기’에 실망한 보수층 일부가 이 후보 지지로 옮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주목하는 시나리오는 지난해 4월 총선에서 이 후보가 성공시킨 이른바 ‘동탄 모델’이다. 이 후보는 당시 경기 화성을에서 민주당 공영운, 국민의힘 한정민 후보와 3자 대결을 벌여 역전승했다. 선거 초반 열세였지만, 젊은 층과 중도층이 많은 스윙보터 지역 특성을 활용해 막판 뒤집기에 성공했다.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의 단일화가 무산된다면 이번 대선 역시 ‘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의 3자 구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 일각에선 동탄 모델의 전국 확대 가능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영남 중진 의원은 “중도·무당층이 전체 유권자의 30%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 후보가 수도권의 반이재명 유권자와 20·30 표심을 끌어올 경우 범보수 진영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전통 보수 지지층의 부정적 정서는 이 후보가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선 단일화를 둘러싼 갈등이 회복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러 단일화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 최악의 경우 당 지도부가 김 후보의 공천장에 도장을 찍어주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도 나돈다. 현재로선 실현 가능성이 작지만, 그럴 경우 대선은 ‘민주당 이재명-개혁신당 이준석’ 양자 대결로 압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45 왜 무리하나‥"윤석열 세력의 당권 장악 시도" 랭크뉴스 2025.05.09
50144 SKT, "위약금 면제?" 질문에 '앓는 소리'만 랭크뉴스 2025.05.09
50143 롯데 올라섰고 포스코·GS 밀려났다…달라진 재계 판도 랭크뉴스 2025.05.09
50142 네이버 1분기 영업익 5053억원… 커머스 광고 매출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5.09
50141 트럼프, ‘금리 동결’ 연준 의장 또 저격…“아무것도 모르는 바보” 랭크뉴스 2025.05.09
50140 [단독]DJ 동교동 사저, 재매입 없이 국가등록문화유산 등재 절차 밟는다 랭크뉴스 2025.05.09
50139 미·영 무역합의에 트럼프 “당장 주식사라”…위험자산 선호심리 ‘꿈틀’[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5.09
50138 “혹시 단일화 안하려고?” 민감여론 의식… 지역일정 취소한 金 랭크뉴스 2025.05.09
50137 페루 빈민가서 사목…프레보스트는 누구? 랭크뉴스 2025.05.09
50136 오늘 국힘 ‘단일화 선호도’ 조사 마감···김문수·한덕수 3차 담판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5.09
50135 ‘후보 교체’ 분수령… 9일 국민의힘 선호도 조사 공개 랭크뉴스 2025.05.09
50134 콘클라베 흰 연기, 종이 태워서는 안 나와…교황청 비법은? 랭크뉴스 2025.05.09
50133 AI 과속하다 본업 소홀했나, 회장까지 사과하게 만든 SKT 사태 랭크뉴스 2025.05.09
50132 [단독]오늘도 ‘쿵쿵’···층간소음 기준 미달에도 ‘준공’, 성능검사는 하나 마나? 랭크뉴스 2025.05.09
50131 홍준표, 권영세·권성동 겨냥 "윤석열 데리고 올 때부터 망조" 랭크뉴스 2025.05.09
» »»»»» 단일화 난항에, 국힘서 뜨는 '동탄모델'…"중도·무당층 30%" 랭크뉴스 2025.05.09
50129 [단독]층간소음 기준 미달에도 ‘준공 승인’…구멍 난 층간소음 성능검사제도 랭크뉴스 2025.05.09
50128 이재명 당선 땐 ‘불소추특권’ 쟁점…또 헌재의 시간 오나 랭크뉴스 2025.05.09
50127 미·영 무역 협상 합의에 뉴욕증시 강세 마감 랭크뉴스 2025.05.09
50126 "간장게장 만들어야 하는데 어쩌나"…연평도 꽃게 어획량 90% 급감한 이유가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