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모스크바서 중-러 정상회담
‘포괄적·전략적 협력’ 공동성명
북한 제재·압박 포기 촉구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8일(현지시각) 정상회담 뒤 양국 관계를 더욱 심화하자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모스크바/AP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하고 ‘신시대 중국-러시아 포괄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심화’를 위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푸틴 대통령은 “양국 관계가 역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러시아의 간극을 넓히고자 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히려 자극제가 돼,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더욱 밀착하는 모습을 보였다.

8일 중국 신화통신과 러시아 타스·리아노보스티 통신 등 보도를 종합하면, 이날 오전 두 정상은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실질적인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현재 국제적 일방주의와 조류를 거스르는 강권(强權·패권)적 괴롭힘 행위를 맞아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세계 강대국 및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라는 특수한 책임을 짊어지고 있다”며 “평등하고 질서 있는 세계 다극화와 보편적으로 이로운 경제 세계화를 손잡고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미국과 트럼프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에 함께 대응하자는 뜻을 내비쳤다. 시 주석은 러시아에 “일방주의와 괴롭힘에 함께 맞서자”고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이다. 푸틴 대통령도 두 나라 관계는 “현재의 정세에 좌우되지 않는다”며 “우호 강화와 협력 증진의 의지는 양국의 전략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선택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또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두 나라의 외교 정책 조율은 국제무대에서 가장 안정적인 요소”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가져온 불확실성과 양국 관계의 안정성을 대비시켰다.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지난해 연 세차례 회담에 견줘 이번 회담에서 양국 간 우호 관계를 더욱 강조한 것은 ‘트럼프 효과’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자로 나서 러시아와 거리를 좁히는 한편 무역전쟁 상대인 중국을 고립시키려 시도해왔다. 그러나 미-러 관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종전 협상 중재안을 푸틴 대통령이 수용하지 않고 버티면서 제자리걸음이다.

두 정상은 회담 뒤 낸 공동성명에서 ‘북한에 대한 제재와 강압적 압력을 포기할 것을 촉구하며 정치·외교적 수단만을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지지한다’고 강조하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 평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하지만 분쟁을 장기적으로 해결하려면 ‘근본 원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러시아가 고수해온 입장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경제와 무역 분야 협력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두 정상과 양국 대표단이 참석한 확대회의에서는 에너지와 투자, 무역 분야를 논의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양국 관계의 원동력은 에너지”라고 짚으며 이 분야에서 양국의 새로운 협력이 추진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두 나라는 투자 촉진과 상호 보호에 대한 협력 등을 포함한 20여건의 협정 문서를 교환했다고 신화통신은 보도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66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남부·제주, 천둥·번개 안전사고 유의” 랭크뉴스 2025.05.09
50165 김현종 "'한미·한미일 협력강화' 이재명 입장, 트럼프 행정부에 전달" 랭크뉴스 2025.05.09
50164 [샷!] 대학에서 사라지는 목소리들 랭크뉴스 2025.05.09
50163 트럼프, 러-우크라에 30일 휴전 요구…“안하면 추가 제재” 랭크뉴스 2025.05.09
50162 광주 아파트 12층서 불…장애 주민 심정지 상태로 이송(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161 홍준표, 당 지도부 겨냥 “천벌 받을거다” 랭크뉴스 2025.05.09
50160 국힘 ‘단일화 조사’ 오늘 종료…김문수는 영남 방문 취소 랭크뉴스 2025.05.09
50159 감세 외치던 트럼프, 연 35억원 이상 최고 소득자 증세 추진 랭크뉴스 2025.05.09
50158 [속보] 권성동 "김문수, 11시 의총 참석…단일화 당원 기대 부응하길" 랭크뉴스 2025.05.09
50157 콘클라베가 낳은 최고의 신스틸러는 갈매기?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5.09
50156 '신임 교황' 레오 14세, 2년 뒤 한국 온다…역대 4번째 교황 방한 랭크뉴스 2025.05.09
50155 새 교황에 첫 미국 출신 레오 14세…“평화가 모두와 함께 있기를” 랭크뉴스 2025.05.09
50154 버티는 김문수... 그 뒤엔 전향한 운동권, 목사, 전직 의원 랭크뉴스 2025.05.09
50153 달아오른 세종 아파트, 누가 샀나 봤더니…외지인이 대거 사들였다[집슐랭] 랭크뉴스 2025.05.09
50152 ‘화재’ 임대아파트 복도 끝에 놓인 전동휠체어…“집에선 충전 못 해요” 랭크뉴스 2025.05.09
50151 아 맞다, 우산!···전국 비 소식, 남부 지역엔 돌풍·번개도[날씨] 랭크뉴스 2025.05.09
50150 유력 후보 10위도 못 든 레오 14세…단 4번만에 깜짝 선출, 왜 랭크뉴스 2025.05.09
50149 홍준표, 권영세·권성동 저격… "윤석열 데리고 올 때부터 망조" 랭크뉴스 2025.05.09
50148 예상 밖 ‘첫 미국인 교황’ 탄생…미 정치권·교계 환호 랭크뉴스 2025.05.09
50147 [주정완의 시선] GTX-B·C노선 착공식, ‘선거용 쇼’였나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