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구시, '공무원 불침번 근무' 올해 1월 중단
동대구역 광장 경비 직원이 동상·초소 관리
시민단체 '박정희 조례' 폐지 주민조례청구
철도공단 제기 '동상 철거' 소송도 진
7일 동대구역광장 한쪽에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감시하는 초소가 세워져 있다. 대구=김재현 기자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재임 시절 논란 속에 건립한 '박정희 동상' 불침번 근무가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시는 동상을 지킨다는 명목으로 아직 감시초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홍 전 시장이 물러나며 초소 철거 및 동상 설치의 근거가 된 조례 폐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시와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은 지난해 8월 광복절에 맞춰 동대구역광장을 '박정희광장'으로 명명하고, 높이 5m에 폭 80㎝ 크기의 표지판을 설치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 23일 높이 3m의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제막했다.

대구시는 동상 제막식을 앞두고 일부 시민단체 회원 등이 동상에 욕설이 담긴 낙서를 하자 올 1월 8일 감시초소를 설치했다. 동시에 시 공무원과 시설공단 직원 등이 오후 6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 12시간 동안 불침번을 서게 했고, 동상 근처에 폐쇄회로(CC)TV 4대를 추가 설치했다.

사실상 홍 전 시장의 의지가 반영된 동상 불침번은 채 한 달도 안 돼 유야무야됐다. 공무원과 공단 직원들은 1월 말부터 불침번 근무를 중단했다. 대구시설공단 관계자는 "현재 감시 직원을 별도로 투입하지 않고 광장 야간 경비 직원이 동상과 초소를 함께 관리한다"고 말했다.

불침번 근무 중단 이후 동상이 훼손된 사례가 없는데도 위화감을 조성하는 감시초소는 지금도 그대로다. 한 대구시민은 "동상을 지키기 위해 불침번을 세우는 발상도 이해가 되지 않지만 흉물스러운 초소 때문에 대구 관문의 이미지만 훼손된다"고 말했다.

7일 동대구역 광장의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앞에 'CCTV 촬영 중'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대구=김재현 기자


불침번 근무 당시 "연말연시 가족과 행복하게 보내야 할 시간에 동상을 지키기 위해 근무 계획을 세운 대구시는 각성하라"고 직격한 대구시 새공무원노조 장재형 위원장은 "동상 하나 지키자고 밤새 불침번 근무를 선 공무원들이 큰 자괴감을 느꼈다"며 "홍 전 시장 재임 기간 일방통행식 행정으로 많은 직원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남구 대명동에 짓고 있는 대구대표도서관 앞 공원에도 올 연말까지 2m짜리 기단 위에 6m 높이의 박정희 동상을 추가로 세울 계획이었지만 공사 지연에 따라 설치를 잠정 보류했다.

지난해 12월 23일 동대구역 광장에서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만규 대구시의장,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박정희 동상 제막식이 열리고 있다. 대구=김재현 기자


박정희 동상 철거 여론도 상당하다. 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박정희우상화반대 범시민운동본부'는 올 1월까지 1만4,485명의 서명을 받아 대구시의회에 '대구시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에 관한 조례'를 폐지해 달라며 주민조례청구안을 냈고, 시의회는 지난달 28일 '수용' 결정을 내렸다. 홍 전 대구시장 주도로 지난해 5월 제정된 조례 폐지 청구안은 시의회 상임위와 본회의를 남겨 놓고 있다.

지난해 12월 23일 동대구역광장에서 박정희 동상 설치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회원들이 손팻말을 들고 강력히 항의하고 있다. 대구=김재현 기자


동대구역광장 관리권을 둘러싼 대구시와 국가철도공단의 소송도 진행 중이다. 철도공단은 동대구역광장이 국가 소유인데도 대구시가 협의 없이 동상 등 구조물을 설치했다며 올해 1월 동상 철거 소송을 제기했다. 대구시는 곧 법원에 답변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법원 일정을 감안하면 여름 이후에나 본격적으로 재판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소송은 내부 논의를 통해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86 전국 미복귀 의대생 40여 명 제적 확정‥"철회 불가" 랭크뉴스 2025.05.08
49685 김문수 "당 지도부 손 떼라…일주일간 선거운동 후 단일화하자" [전문] 랭크뉴스 2025.05.08
49684 [속보] 이재명, 12일 광화문광장서 공식유세 시작…“빛의 혁명 상징” 랭크뉴스 2025.05.08
49683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 자리 지키려 회견…참 한심" 랭크뉴스 2025.05.08
49682 바티칸 굴뚝 '검은 연기'...콘클라베 첫날 교황 선출 불발 랭크뉴스 2025.05.08
49681 김문수 "내주 토론·여론조사로 단일화…이제 지도부는 손떼라" 랭크뉴스 2025.05.08
49680 [속보] 권영세 "날 밟고 가라"... 김문수-한덕수 '강제 단일화' 추진 재확인 랭크뉴스 2025.05.08
49679 법원행정처장,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사법부 독립 침해" 랭크뉴스 2025.05.08
49678 [속보] 한덕수 측 “11일전 단일화 확고…여론조사 자신 없나” 랭크뉴스 2025.05.08
49677 김문수 "당 지도부 단일화 손 떼라... 날 끌어내리려는 이유 뭔가" 랭크뉴스 2025.05.08
49676 이재명 "기초연금 부부감액 줄일 것…간병비 부담 덜어드리겠다" 랭크뉴스 2025.05.08
49675 권영세 “이틀 안에 단일화 성사돼야… 여론조사 예정대로 실시” 랭크뉴스 2025.05.08
49674 [속보] 권영세 "이틀안에 단일화 성사돼야…여론조사 예정대로 실시" 랭크뉴스 2025.05.08
49673 [속보] 김문수 "내주 토론·여론조사로 단일화…지도부는 손떼라" 랭크뉴스 2025.05.08
49672 권영세 "이틀안에 단일화 성사돼야…여론조사 예정대로 실시" 랭크뉴스 2025.05.08
49671 김문수 "다음주 수 토론·목금 여론조사 제안‥지도부 손 떼라" 랭크뉴스 2025.05.08
49670 [속보] 김문수 "다음주 수 토론·목금 여론조사 제안‥지도부 손 떼라" 랭크뉴스 2025.05.08
49669 [속보] 김문수 “당무우선권 발동… 지도부, 강압적 단일화 중단하라” 랭크뉴스 2025.05.08
49668 [속보]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 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랭크뉴스 2025.05.08
49667 [속보] 한덕수 측 “11일 전 단일화 확고…국민 기다려주지 않아” 랭크뉴스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