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韓 얼굴 붉힌 단일화 담판
양측 시점·방식 놓고 첨예한 대립
예견 된 빈손… 金이 일단 칼자루
11일까지 접점찾기 비관 전망도
양측 시점·방식 놓고 첨예한 대립
예견 된 빈손… 金이 일단 칼자루
11일까지 접점찾기 비관 전망도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7일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와 단일화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빈손 회동 후 식당을 나서고 있는 한 후보 모습. 이병주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 간 단일화 논의가 테이블이 차려지기도 전에 삐걱대는 건 단일화 시점과 방식을 둘러싼 양측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두 후보의 7일 회동이 아무런 진척 없이 끝난 것도 단일화 길에 각자가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힘겨루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구(舊) 여권에서는 후보 등록 마감일인 오는 11일 전까지 두 후보가 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란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한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에게 우위를 보이고 있다. 전체 지지율은 물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든 안 넣든 여론조사 방식의 단일화 절차만 진행하면 승산이 있다는 계산이다. 반면 김 후보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 타이틀을 거머쥐며 당의 자금력과 조직력을 손에 넣었다. 단일화 논의를 서두르지 않고 한 후보의 약점인 ‘시간’으로 압박하는 것이 유리한 상황이다. 속도전이 필요한 한 후보에게 김 후보는 지공으로 맞서며 단일화 주도권을 둘러싼 대치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7일 국민의힘 지도부와 의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전당대회 이후 김 후보의 입장은 “단일화는 반드시 하겠다. 그런데 왜 그 시점이 꼭 11일 이전이어야 하느냐”로 요약된다. 당 안팎에서는 김 후보의 지연 전략이 ‘기호 2번’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 오는 11일까지 단일화 결론이 나지 않으면 자연히 김 후보가 당의 대선 후보로 등록되는 상황이고, 무소속인 한 후보는 국민의힘 울타리 밖에서 레이스를 뛰며 단일화를 모색해야 한다. 김 후보가 칼자루를 쥔 셈이다.
한 후보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단일화 불발 시 대선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배수진을 친 것도 이 때문이다. 지연책을 쓰는 김 후보의 명분을 흔들려는 일종의 압박술로도 보인다. 여기에는 당의 돈과 조직의 지원 없이는 선거운동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고려 역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점에서 이날 두 후보가 빈손으로 헤어진 것은 예견된 일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후보는 회동 이후 참모들에게 “11일이 지나면 후보 등록을 안하겠다니, 그렇게 쉬운 말이 어디 있나. 끝까지 뛰겠다고 해야 단일화 논의가 가능한 것 아니겠나”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한 후보 측 관계자는 “한 후보는 단일화 대의를 위해 모든 것을 당에 일임했는데, 김 후보는 단일화 문제에 정치공학적 접근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후보는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이는 여론조사에 기대를 걸고 있다. 동아일보가 지난 4~5일 진행한 단일화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한 후보는 27.6%로 김 후보(25.9%)와 오차범위 안에서 경쟁했다. 그런데 국민의힘 지지층과 중도층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한 후보가 46%로 김 후보(25.8%)와의 격차가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졌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