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사라진 광장의 목소리
진보정당, ‘광장의 목소리’ 담아내는 통로 역할
2026년 지방선거, 2028년 총선 대비 성격도
12·3 불법계엄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 12월 서울 광화문 광장에 모인 시민들이 응원봉을 들고 윤석열 전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6·3 대선은 정권심판 선거 성격이 짙다. 12·3 불법계엄을 옹호하는 내란 세력 대 헌법수호 세력의 싸움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소속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강경 보수의 지지를 받는 김문수 후보가 선출되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계엄 해제를 주도한 이재명 후보가 선출되면서 정권심판 구도는 더 강해졌다.

거대 양당 중심으로 치러질 것이 분명한 선거에 진보 정당들도 뛰어들었다. 원외 정당인 정의당은 민주노동당으로 당명을 바꾸고, 노동당·노동단체와 함께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연대회의)를 구성해 범진보 단일후보로 권영국 정의당 대표를 선출했다. 진보당은 김재연 상임대표가 후보로 나섰다. 30일도 채 남지 않은 이번 대선이 진보 정당들에 어떤 기회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 농민들이 몰고 온 트랙터가 지난해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행진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진보 정당들은 이번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분출한 ‘광장 목소리’의 대변자를 자처하며 존재감 부각에 나서고 있다. 계엄 후 몇 달간 광장에는 더 나은 민주주의와 차별 없는 세상을 촉구하는 여성과 노동자, 농민, 성 소수자 등 사회적 약자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쏟아졌다.

조기 대선이 확정되자 광장의 목소리는 빠르게 자취를 감췄다. 가장 유력한 대선 주자인 이 후보는 민주당 정체성을 중도보수로 규정하고 성장 중심 정책 공약을 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중도층 표심을 잡기 위해 노동·복지 등 전통적으로 민주당이 강조했던 영역 대신 성장·실용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의 이런 전략적 선택이 진보 정당의 활동 공간을 넓힐 것이란 기대도 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당은 불평등, 차별금지법, 젠더 문제 등 거대 양당이 선거 국면에서 언급을 꺼리는 이슈를 중심으로 선거 운동을 펴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 원내 정당 중 유일한 여성 후보인 김 후보는 ‘페미니스트 대통령’을 자처하고 있다. 김 후보는 지난 2일 성 소수자 인권민단체 무지개행동과 정책협약을 하고 차별금지법과 트랜스젠더의 성별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는 성별인정법 제정 등을 공약했다. 김 후보는 6일 쌀 수입 중단 등을 촉구하는 ‘전봉준 트랙터 투쟁’ 출정식에 참석했다.

권 후보는 분배를 강조하며 중도보수로 외연 확장을 시도하는 민주당과 차별화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내수 시장의 문제는 분배의 문제”라며 “주식 투자나 인공지능(AI) 기술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권 후보는 “분배를 외면하는 양당의 내수 대책은 말 그대로 양두구육”이라며 “지역화폐도, 대출 지원도 본질을 외면한 임시방편일 뿐”이라고 말했다. AI와 지역화폐, 코로나 피해 자영업자를 위한 대출 탕감 등은 이 후보의 주요 경제 공약이다.

장혜영 민주노동당 수석대변인은 “지금 정치권에는 광장의 목소리는 지워지고 오로지 권력을 누가 잡을 것인지에 관한 관심만 남아있다”며 “8년 전 (조기 대선에서) 정권 교체만 하고 사회 대개혁을 나중으로 미룬 것이 윤석열이라는 정치적 괴물을 만든 것”라고 말했다. 장 대변인은 “반드시 광장에서 요구된 사회 대개혁을 이뤄야 내란을 근본적으로 종식할 수 있다”며 “이것이 대선에서 진보 정당이 대변하는 핵심 메시지”라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로고


특히 민주노동당은 이달 말 예정된 세 번의 대선 TV 토론회를 통해 광장의 목소리를 전하는 기회로 삼을 계획이다. 민주노동당은 2022년 제8회 지방선거에서 4.14%의 정당득표율을 얻어 3% 이상의 지지를 받은 정당에 부여되는 TV토론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강은미 전 정의당 의원은 “계엄 후 열리는 TV토론에서 진보적 의제들이 논의되지 않으면 안된다”며 “불평등, 기후위기 등의 문제에 시민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 윤 전 대통령 같은 사람이 등장하지 않으려면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대선에서 주장하고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대선이 1년 후 치러지는 제9대 지방선거와 2028년 예정된 23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위해 진보 정당이 조직을 정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국회 내 진보 정당 의석수는 단 5석(진보당 3석, 기본소득당과 사회민주당 각 1석)에 불과하다. 정의당은 지난 총선 때 원내 진입에 실패했다.

원외 정당인 녹색당도 이번 대선을 탄핵 정국에서 높인 인지도를 조직력으로 다지기 위한 계기로 삼고 있다. 김지윤 녹색당 사무처장은 “광장에서 새로 가입한 당원이 많다”며 “그런 분들과 지역에서부터 모이고 활동하는 자리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지역 활동은 작은 정당의 기초 체력”이라며 “(이번 대선은 녹색당에게) 그런 것을 다지며 내년 지방선거까지 준비하는 시기”라고 말했다. 녹색당은 이번 대선에 독자 후보를 내지 않고 연대회의 후보인 권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 교수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번 대선이) 중앙집권적인 기성 정당에 피로감을 느끼는 국민에게 진보 정당이 분위기를 반전시킬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채 교수는 “이번 대선은 내년 지방선거와 연결되기 때문에 진보 정당이 잘하면 구사일생으로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며 “풀뿌리 민주주의를 잘하는 모습을 부각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00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결렬 “합의된 사안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9 [속보] 김문수-한덕수 90분 만찬 빈손으로 회동 종료… “합의된 내용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8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회담 종료…“합의된 건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7 [속보] 김문수-한덕수 1시간15분 회동 “특별히 합의된 사안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6 김재원 "권영세, 황우여 찾아가 '김문수 끌어내리기' 시도"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5 최소 수십억원 '쩐의 전쟁' 선거 비용... 얼마나 들길래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4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뒤’ 첫 재판…“선거운동 기회 보장”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3 [속보] 김재원 "권영세, 황우여 찾아가 '김문수 끌어내리기' 시도"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2 故 김새론 유족 측, 김수현 아동복지법 위반·무고 혐의로 고소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1 [속보]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담판’ 시작···극적 타협이냐 파국이냐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90 [속보] 김문수·한덕수 회동 시작, 단일화 진전 되나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9 환율, 20원 등락 끝에 1398원에 마감… 비상계엄 이후 첫 1300원대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8 "아이고 의원님 어서 오십시오" 김문수 보자마자 한덕수가‥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7 김문수 한덕수 '동상이몽 단일화'... 담판이냐, 파국이냐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6 이재명 대장동 재판도 대선 이후로 연기…다음달 24일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5 사무실 가기 싫은 Z세대, 출퇴근길 ‘멍때리기’로 버틴다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4 한덕수 삿대질에... 박지원 "韓 배우자 '무속 논란'은 새하얀 진실"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3 이재명 선거법 재판 이어 대장동 재판도 대선 이후로 연기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2 김문수·한덕수, 배석자 없이 대선 후보 '단일화 담판'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5.07
49381 김문수 측, 민주당 ‘재판 중단법’ 일방 처리에 “차라리 ‘대통령 무죄법’ 제정하라” new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