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현대건설이 설계 보완 안 할 경우 낙찰자 부적격 처리될 가능성도
부산시가 지난해 1월 개최한 가덕도신공항 비전과 전략 선포식에서 선보인 가덕도신공항 홍보 영상. 부산시 제공

부산 가덕도신공항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참여한 현대건설 컨소시엄(이하 현대건설)이 기존보다 2년 연장된 공사기간(108개월)을 담은 기본설계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국토교통부가 ‘절차상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현대건설이 설계를 보완하지 않으면 낙찰자 지위에서 ‘부적격’ 처리될 가능성도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6일 “108개월도 빠듯하게 잡은 일정으로 안전을 위해 양보할 수 없는 최저 마지노선”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사기간 연장에 대한 설명자료를 이번 주 안으로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앞서 현대건설은 지난달 28일 기존 84개월에서 108개월로 24개월의 공기 연장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기본설계를 국토부에 제출했고, 국토부는 이에 입찰공고문에 맞지 않다며 보완을 요청했다.

국토부는 현대건설이 당초 입찰 조건을 위반했다며 ‘절차상 수용불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가계약법상 계약 체결 이전에는 입찰 조건 변경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공사기간이 처음부터 길게 설정됐다면 다른 건설사들도 입찰에 참여했을 수 있어 형평성과 공정 경쟁에 어긋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현장여건을 반영하지 못한 촉박한 일정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가덕도신공항은 남산 3배 규모의 산봉우리를 깎고, 외해(바깥 바다)를 흙으로 매립해야 하는 대규모 해상 공항공사다. 사업의 특수성에 대해 이윤상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이사장도 “바깥바다에 노출된 지역에 건설되는 공항은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드물다”고 평가한 바 있다.

정치권의 ‘적기 개항’ 요구를 수용한 국토부 책임론도 일고 있다. 가덕도신공항 사업은 지난 2022년 문재인정부 당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가 확정되며 본격화됐다. 당시 개항 목표는 2035년이었지만, 윤석열정부의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전략에 발맞춰 2029년 말로 앞당겨졌다. 엑스포 유치 무산 이후에도 조기 개항방침은 유지되고 있다.

현대건설이 108개월 설계안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사업자 지위에서 실격 처리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토부는 ‘재입찰 카드’까지 검토하고 있지만, 대체 사업자 유치를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가덕도신공항 사업은 입찰 단계에서만 네 차례 유찰되는 등 사업성 논란을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태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설계 보완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관련 대책 마련에 착수한 상태”라고 밝혔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35 김문수 일정 중단…“당 지도부가 강제로 끌어내리려 해” 랭크뉴스 2025.05.06
48934 "단일화 안되면 사퇴?" 질문에…한덕수 "내 지지자 훨씬 많더라" 랭크뉴스 2025.05.06
48933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5.06
48932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로이터> 랭크뉴스 2025.05.06
48931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 로이터> 랭크뉴스 2025.05.06
» »»»»» 가덕도신공항 공사 기간 논란 “2년 연장” vs “절차상 수용 불가” 랭크뉴스 2025.05.06
48929 최태원, 'SKT 해킹 사태' 국회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06
48928 국민의힘 “내일 단일화 찬반 당원조사”…김문수 “후보 끌어내리려 해” 랭크뉴스 2025.05.06
48927 베트남서 '고임금' 한국 파견 노동자 선발에 2만3천명 몰려 랭크뉴스 2025.05.06
48926 ‘찬성률 100%’ 이사회 뒤에 숨는 SKT [한겨레 프리즘] 랭크뉴스 2025.05.06
48925 ‘유심 해킹’ SKT, 불과 반년 전 정부 보안 심사 통과…제도 실효성 논란 랭크뉴스 2025.05.06
48924 美 의회, 엔비디아 AI칩 위치추적 추진…“中 밀수 차단 목적” 랭크뉴스 2025.05.06
48923 서울 시내버스 노조, 7일 첫차부터 준법운행 재개 랭크뉴스 2025.05.06
48922 김문수를 강제할 방법이 없다?…‘제2의 옥새 나르샤’ 파동 벌어지나 랭크뉴스 2025.05.06
48921 "주식을 왜 사? 금 사야지"…골드뱅킹 잔액 1.1조원 돌파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5.06
48920 이재명 "조봉암도 사법 살인"… 민주당은 '공판 연기' 여론전 사활 랭크뉴스 2025.05.06
48919 국힘 ‘쌍권’, 단일화 압박하러 대구행···김문수 “일정 중단, 난 서울로 간다” 랭크뉴스 2025.05.06
48918 "베트남산 새우를…" 警, 백종원 '덮죽' 허위광고 논란 수사 랭크뉴스 2025.05.06
48917 메르츠, 의회 과반수 못 얻어 총리 선출 실패… 獨 역사상 처음 랭크뉴스 2025.05.06
48916 홍성수 교수 “대법원, 상고이유서 제출 기일 보장 약속해야”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