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OpenAI DALL·E 제작


고령의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이 GDP(국내총생산)의 6.4% 수준인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50년에는 488조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투명한 관리 및 보호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등에서 이미 사회 문제로 대두된 이른바 ‘치매머니’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첫 시도다. 치매머니는 ‘잠자는 돈’이라고도 불리는데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환자의 금융 거래에 제한이 걸리며 사망으로 인한 상속 전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묶이는 돈을 의미한다. 일본의 경우 2030년이면 치매머니 규모가 230조엔(약 2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사회문제가 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환자는 약 124만 명으로 확인됐다. 이중 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전체의 61%인 76만명으로 추산됐는데 이들이 보유한 총 자산이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1인당 평균 자산으로 환산하면 약 2억원이다. 고령 치매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2.4% 수준이지만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전체 GDP의 6.4% 수준으로 인구 대비 자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저고위 제공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부동산 자산으로 전체의 74.1%인 약 114조원에 달했다. 금융자산은 전체의 21.7%인 약 33조4000억원을 차지했다. 다만, 금융자산은 치매환자의 금융소득(이자, 배당 등)을 토대로 추정한 값이라는 한계가 있고, 건보공단 자료에는 연간 2000만원 미만의 금융소득 발생자는 포함되지 않아서 실제보다 적게 추정됐을 가능성이 있다. 즉 전체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이 더욱 많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시간이 갈수록 치매머니로 인한 사회문제는 심각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한국의 치매환자는 2030년 178.7만명, 2040년 285.1만명, 2050년에는 396.7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치매머니도 급속히 늘어나 2050년에는 지금보다 3배 이상 늘어난 488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50년 예상 GDP의 15.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조사를 주도한 저고위 관계자는 “고령 치매환자의 실물자산과 소득을 전수조사해 치매머니의 전체 규모와 실체를 처음으로 파악하게 됐다”며 “치매머니는 환자 개인적으로는 자산을 스스로 관리하지 못해 가족이나 제3자에 의한 무단 사용 또는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사회적으로는 자산이 동결돼 투자 및 소비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해 치매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연말에 발표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60 백종원, ‘방송활동 중단’ 승부수… 오버행 부담 덜까 랭크뉴스 2025.05.06
48859 경찰, 관악구서 나체로 흉기 휘둘러 시민 다치게 한 2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5.06
48858 ‘단일화’ 당 난맥에… 한동훈 “이럴 줄 몰랐나” 안철수 “한동훈, 당권 노리나” 랭크뉴스 2025.05.06
48857 "당이 나를 끌어내리려!" 의심에 김문수 폭발 '점입가경' 국힘 랭크뉴스 2025.05.06
48856 이창용 “경제사령탑 부재 곤혹스러워… ‘정책 불확실성’ 韓 최대 리스크” 랭크뉴스 2025.05.06
48855 권영세 “내일 전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조사…반드시 단일화 이뤄내야” 랭크뉴스 2025.05.06
48854 ‘청년 표심’ 훑는 이재명 “군 복무 경력, 공공기관 호봉에 의무 반영” 랭크뉴스 2025.05.06
48853 [속보] 국힘 지도부, 김문수 만나러 지방행…"단일화 일정 협의" 랭크뉴스 2025.05.06
48852 [속보] 국힘, 김문수 만나러 지방행 "단일화 일정 협의" 랭크뉴스 2025.05.06
» »»»»» 고령 치매환자 보유 자산 ‘154조원’, GDP 6.4%···정부 첫 전수조사 랭크뉴스 2025.05.06
48850 권영세 "김문수, 단일화 약속 무너뜨리면 국민 배신" 랭크뉴스 2025.05.06
48849 “한국산 의약품에 관세조치 필요없다”···정부, 미 상무부에 의견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06
48848 피규어 이름이 '동탄 미시룩'…선정적 모습에 발칵 뒤집혔다 랭크뉴스 2025.05.06
48847 사법부 때리는 민주, ‘고법판사 탄핵’도 만지작 랭크뉴스 2025.05.06
48846 "이재명" 실명 공격 대신 "모 대표"…정치인 닷새째 한덕수 풍경 랭크뉴스 2025.05.06
48845 [속보]권영세 “11일까지 단일화 실패하면 사퇴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6
48844 “어린이보호구역 새벽 단속은 위헌” 헌재 첫 검토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6
48843 윤희숙 "김문수, 단일화 마음 없다면 후보 내려놓으라" 랭크뉴스 2025.05.06
48842 제다이 만들려다 시스된 트럼프…백악관 '스타워즈' 팀킬[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5.06
48841 이재명 “조봉암도 사법살인, DJ도 사형선고…3차 내란 시도 국민이 진압할 것”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