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훈토론... "무책임한 출마 비판 도덕적으로 수용"
계엄사태에 "그런 문제 일어나지 않게 노력, 각오 다져"
계엄사태에 "그런 문제 일어나지 않게 노력, 각오 다져"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6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6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통화를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존중한다. 계엄을 일관되게 반대했다"고 강조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계엄)반대를 위해 노력했지만 설득하지 못한 것에 대해 국민들께 한없이 죄송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정부의 총리로서 대선 출마가 적절한가'라는 질문에는 "(비판을) 도덕적으로 수용하겠다"면서도 "저는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면서도 국민 뜻에 어긋나는 것에 대해선 저의 의견을 반드시 드렸다"고 말했다. 한 전 총리는 "총리로서 한계가 없었다곤 말씀드리지 않겠다. 그 점에 국민들께 송구하다는 말씀드린다"며 "절대 앞으로 그런 문제가 결과로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각오를 매일 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단일화에 대해선 "한 번도 단일화가 실패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 적 없다”며 김 후보를 압박했다. 한 전 총리는 '단일화가 실패할 경우 계속 대선 레이스를 이어갈 것이냐'는 질문에도 “그것(단일화 실패)은 바로 국민들에 대한 큰 배신이고 배반이 될 것”이라며 김 후보를 겨눴다. 한 전 총리는 “저는 단일화가 반드시 적절한 시기 안에 되리라 생각한다”라며 “제가 모든 국민을 다 만나는 기회는 없었습니다만 새로운 제도로 바꿔서 싸우지 않고 국민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고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그런 나라를 제발 만들어 달라는 정말 열화와 같은 반응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