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일 오전 9시 44분께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한 제지공장의 맨홀 안에서 작업을 하다가 5명이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 중 50대 A씨 등 2명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진 뒤 사망했다. 연합뉴스
4일 전북 전주의 한 제지공장에서 맨홀 작업자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황화수소 가스에 의한 질식 사고로 추정된다.

5일 전주덕진소방서에 따르면 소방대원들이 현장에 출동했을 당시 맨홀 내부에서 황화수소 29ppm이 측정됐다. 밀폐공간 작업 시 적정 기준치는 10ppm이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황화수소(H₂S)는 짧은 시간만 노출돼도 호흡 신경계를 영구적으로 손상시켜 자칫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무색으로 썩은 계란 냄새가 나는데, 주로 가죽·석유·원유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황을 함유한 유기물이 분해될 때 발생한다. 황화수소는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이 지정한 유해화학물질 중 하나라 인체 위험도가 높아 특별 관리해야 하는 '사고대비물질'이다.

특히 정화조·하수구에서 하수 슬러지(찌꺼기)가 부패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우수관이나 화장실 배관을 통해 올라오기도 한다. 안전 장비 없이 맨홀에 들어간 작업자가 황화수소에 중독되거나 질식하는 사고가 반복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 300ppm 이상 누출해야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이지만, 밀폐 공간에서는 더 적은 수치로도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황화수소는 쉽게 산화되는 물질이라 밀폐 공간에서 산소를 고갈시킨다. 일반 사망 기준치보다 적은 농도가 측정돼도 밀폐 공간에선 독성 중독과 질식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밀폐 공간서 발생…공중화장실 누출 사고도
2019년 8월 부산 수영구 광안리 인근 건물 지하의 공중화장실에서 기준치의 100배가 넘는 황화수소가 누출돼 19세 여고생이 사망했다. [뉴스1]
황화수소 사고는 매년 반복된다. 화관법의 적용을 받는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 등에서는 지난 10년간 8건의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실제 대부분의 인명 피해는 맨홀 같은 밀폐 공간에서 나타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10년(2014~2023년)간 밀폐공간 질식사고는 174건 발생해 136명이 사망했다. 이중 황화수소 관련 사고는 약 4분의 1에 이른다. 황화수소를 다루는 작업장은 법에 따라 주 1회 자체검사 등으로 사고를 예방하고 있지만, 맨홀 속 공기는 작업자가 안전 장비를 갖추거나 관련 규칙을 준수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드물지만 오수관이 연결된 화장실도 하수 슬러지 부패로 발생한 황화수소가 누출될 수 있는 환경이다. 2019년 7월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인근 화장실에서는 여고생이 황화수소를 들이마시고 숨지는 사고도 있었다. 공하성 교수는 “주택 화장실이나 우수관에서 썩은 달걀 냄새가 나면 즉시 환기를 시켜야 한다. 황화수소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빗자루로 쓸 듯이 내보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70 어린이날 용돈 대신 '삼성전자' 주식…미성년 주주 39만명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5.06
48869 [속보] 한덕수, 김문수 만나러 오늘 오후 대구행 랭크뉴스 2025.05.06
48868 [속보] 김문수 "당에서 대선 후보 끌어내리려 해"…일정 중단 선언 랭크뉴스 2025.05.06
48867 대낮 '묻지마 흉기 난동'…벌거벗고 달아난 '봉천동 20대男' 랭크뉴스 2025.05.06
48866 [속보] 권영세·권성동, 김문수 직접 만나 단일화 협의…한덕수도 대구行 랭크뉴스 2025.05.06
48865 권영세·권성동, 김문수 직접 만나 단일화 협의 위해 대구행 랭크뉴스 2025.05.06
48864 [속보] 김문수·권영세·권성동, 직접 만나 단일화 협의한다 랭크뉴스 2025.05.06
48863 국힘 지도부, 김문수 만나러 대구행…단일화 협의키로 랭크뉴스 2025.05.06
48862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한 번도 단일화 실패 생각해 본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5.06
48861 백종원 사실상 ‘방송은퇴’ 선언…여론 반응은 “글쎄” 랭크뉴스 2025.05.06
48860 백종원, ‘방송활동 중단’ 승부수… 오버행 부담 덜까 랭크뉴스 2025.05.06
48859 경찰, 관악구서 나체로 흉기 휘둘러 시민 다치게 한 2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5.06
48858 ‘단일화’ 당 난맥에… 한동훈 “이럴 줄 몰랐나” 안철수 “한동훈, 당권 노리나” 랭크뉴스 2025.05.06
48857 "당이 나를 끌어내리려!" 의심에 김문수 폭발 '점입가경' 국힘 랭크뉴스 2025.05.06
48856 이창용 “경제사령탑 부재 곤혹스러워… ‘정책 불확실성’ 韓 최대 리스크” 랭크뉴스 2025.05.06
48855 권영세 “내일 전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조사…반드시 단일화 이뤄내야” 랭크뉴스 2025.05.06
48854 ‘청년 표심’ 훑는 이재명 “군 복무 경력, 공공기관 호봉에 의무 반영” 랭크뉴스 2025.05.06
48853 [속보] 국힘 지도부, 김문수 만나러 지방행…"단일화 일정 협의" 랭크뉴스 2025.05.06
48852 [속보] 국힘, 김문수 만나러 지방행 "단일화 일정 협의" 랭크뉴스 2025.05.06
48851 고령 치매환자 보유 자산 ‘154조원’, GDP 6.4%···정부 첫 전수조사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