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OpenAI DALL·E 제작


고령의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이 GDP(국내총생산)의 6.4% 수준인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50년에는 488조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투명한 관리 및 보호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등에서 이미 사회 문제로 대두된 이른바 ‘치매머니’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첫 시도다. 치매머니는 ‘잠자는 돈’이라고도 불리는데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환자의 금융 거래에 제한이 걸리며 사망으로 인한 상속 전까지 사용하지 못하고 묶이는 돈을 의미한다. 일본의 경우 2030년이면 치매머니 규모가 230조엔(약 2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사회문제가 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 치매환자는 약 124만 명으로 확인됐다. 이중 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전체의 61%인 76만명으로 추산됐는데 이들이 보유한 총 자산이 15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1인당 평균 자산으로 환산하면 약 2억원이다. 고령 치매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2.4% 수준이지만 이들이 보유한 자산은 전체 GDP의 6.4% 수준으로 인구 대비 자산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6일 건강보험공단, 서울대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개년 간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저고위 제공


치매환자가 보유한 자산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부동산 자산으로 전체의 74.1%인 약 114조원에 달했다. 금융자산은 전체의 21.7%인 약 33조4000억원을 차지했다. 다만, 금융자산은 치매환자의 금융소득(이자, 배당 등)을 토대로 추정한 값이라는 한계가 있고, 건보공단 자료에는 연간 2000만원 미만의 금융소득 발생자는 포함되지 않아서 실제보다 적게 추정됐을 가능성이 있다. 즉 전체 고령 치매환자의 자산이 더욱 많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은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시간이 갈수록 치매머니로 인한 사회문제는 심각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한국의 치매환자는 2030년 178.7만명, 2040년 285.1만명, 2050년에는 396.7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치매머니도 급속히 늘어나 2050년에는 지금보다 3배 이상 늘어난 488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2050년 예상 GDP의 15.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조사를 주도한 저고위 관계자는 “고령 치매환자의 실물자산과 소득을 전수조사해 치매머니의 전체 규모와 실체를 처음으로 파악하게 됐다”며 “치매머니는 환자 개인적으로는 자산을 스스로 관리하지 못해 가족이나 제3자에 의한 무단 사용 또는 사기에 노출될 위험이 있고, 사회적으로는 자산이 동결돼 투자 및 소비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해 치매머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연말에 발표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03 이재명 “조봉암 ‘사법 살인’…‘군 복무 호봉 산입’ 청년 정책 발표” 랭크뉴스 2025.05.06
49002 김문수 “모든 일정 중단”…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 랭크뉴스 2025.05.06
49001 문재인 전 대통령 딸 다혜씨, 이번엔 사기 혐의로 입건 랭크뉴스 2025.05.06
49000 [속보] 김문수 "내일 오후 6시 한덕수 단독으로 만나기로 약속" 랭크뉴스 2025.05.06
48999 [속보] 김문수 "7일 오후 6시 한덕수 단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998 메르츠, 하원서 과반 못 미쳐…독일 총리 선출 실패 ‘대이변’ 랭크뉴스 2025.05.06
48997 [속보] 김문수, 내일 오후 6시 한덕수와 단독 회동 랭크뉴스 2025.05.06
48996 서울 시내버스 노조, 내일부터 준법투쟁 재개 랭크뉴스 2025.05.06
48995 백종원, 방송 중단으로 비판 잠재울까 랭크뉴스 2025.05.06
48994 김문수 "당이 날 강제로 끌어내리려 해…현시점부터 일정 중단"(종합) 랭크뉴스 2025.05.06
48993 日 인기그룹 '아라시' 활동 접는다 …"내년 봄 투어로 마무리" 랭크뉴스 2025.05.06
48992 국힘, 내일 단일화 찬반·시점 당원 조사…김문수 의총참석 추진(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06
48991 백종원 “방송활동 중단” 배수진…프랜차이즈 흑역사 벗어날까 랭크뉴스 2025.05.06
48990 [속보] 러 "北, 전승절 행사에 대사급 참석" <타스> 랭크뉴스 2025.05.06
48989 한 달에 하루 쉬는 중국 고3…‘학교 주말 휴식’ 입시 앞두고 흐지부지 랭크뉴스 2025.05.06
48988 문다혜, 자선 전시회 모금액 기부 안 한 혐의로 입건 랭크뉴스 2025.05.06
48987 김문수 "일정 전면 중단‥날 끌어내리려 해" '점입가경'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06
48986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 계약서 서명 하루 전 "중지" 명령 랭크뉴스 2025.05.06
48985 체코 원전 최종 계약 하루 앞두고… 현지 법원, 한수원 계약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5.06
48984 관세탓 선제 수입에 美 3월 무역적자 1405억弗…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