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일 오전 9시 44분께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한 제지공장의 맨홀 안에서 작업을 하다가 5명이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 중 50대 A씨 등 2명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진 뒤 사망했다. 연합뉴스
4일 전북 전주의 한 제지공장에서 맨홀 작업자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황화수소 가스에 의한 질식 사고로 추정된다.

5일 전주덕진소방서에 따르면 소방대원들이 현장에 출동했을 당시 맨홀 내부에서 황화수소 29ppm이 측정됐다. 밀폐공간 작업 시 적정 기준치는 10ppm이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황화수소(H₂S)는 짧은 시간만 노출돼도 호흡 신경계를 영구적으로 손상시켜 자칫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무색으로 썩은 계란 냄새가 나는데, 주로 가죽·석유·원유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황을 함유한 유기물이 분해될 때 발생한다. 황화수소는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이 지정한 유해화학물질 중 하나라 인체 위험도가 높아 특별 관리해야 하는 '사고대비물질'이다.

특히 정화조·하수구에서 하수 슬러지(찌꺼기)가 부패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우수관이나 화장실 배관을 통해 올라오기도 한다. 안전 장비 없이 맨홀에 들어간 작업자가 황화수소에 중독되거나 질식하는 사고가 반복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 300ppm 이상 누출해야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이지만, 밀폐 공간에서는 더 적은 수치로도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황화수소는 쉽게 산화되는 물질이라 밀폐 공간에서 산소를 고갈시킨다. 일반 사망 기준치보다 적은 농도가 측정돼도 밀폐 공간에선 독성 중독과 질식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밀폐 공간서 발생…공중화장실 누출 사고도
2019년 8월 부산 수영구 광안리 인근 건물 지하의 공중화장실에서 기준치의 100배가 넘는 황화수소가 누출돼 19세 여고생이 사망했다. [뉴스1]
황화수소 사고는 매년 반복된다. 화관법의 적용을 받는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 등에서는 지난 10년간 8건의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실제 대부분의 인명 피해는 맨홀 같은 밀폐 공간에서 나타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10년(2014~2023년)간 밀폐공간 질식사고는 174건 발생해 136명이 사망했다. 이중 황화수소 관련 사고는 약 4분의 1에 이른다. 황화수소를 다루는 작업장은 법에 따라 주 1회 자체검사 등으로 사고를 예방하고 있지만, 맨홀 속 공기는 작업자가 안전 장비를 갖추거나 관련 규칙을 준수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드물지만 오수관이 연결된 화장실도 하수 슬러지 부패로 발생한 황화수소가 누출될 수 있는 환경이다. 2019년 7월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인근 화장실에서는 여고생이 황화수소를 들이마시고 숨지는 사고도 있었다. 공하성 교수는 “주택 화장실이나 우수관에서 썩은 달걀 냄새가 나면 즉시 환기를 시켜야 한다. 황화수소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빗자루로 쓸 듯이 내보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60 국힘, 단일화 전당원 투표 초강수…김문수 “일정 중단” 랭크뉴스 2025.05.06
48959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 계약서 서명 하루 전 "중지" 명령 랭크뉴스 2025.05.06
48958 이석연 “대선 전 이재명 상고심 선고 강행하면 위헌, 대법원 범죄 행위” 랭크뉴스 2025.05.06
48957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 계약 서명 하루 전 중지 명령 랭크뉴스 2025.05.06
48956 프랑스에 발목 잡힌 한수원...체코 법원, 신규 원전 계약 서명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5.06
48955 [속보]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5.06
48954 서울 시내버스 노조, 내일(7일) 첫차부터 다시 ‘준법운행’ 랭크뉴스 2025.05.06
48953 김문수 “당이 후보 끌어내리려 해” 일정 중단 랭크뉴스 2025.05.06
48952 "결혼하고 애 낳으라고요? 그냥 일이나 할래요"…2040세대, 인생 1순위는 '일'이었다 랭크뉴스 2025.05.06
48951 로이터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5.06
48950 서울 시내버스 노조, 7일 첫차부터 다시 준법투쟁 랭크뉴스 2025.05.06
48949 이창용 "최상목 사퇴, 해외서 해명하느라 곤혹…금리인하 기조 유지" 랭크뉴스 2025.05.06
48948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대선주자 탐구] 랭크뉴스 2025.05.06
48947 이재명, 국회의원직 사퇴 여부에 “그때 가서 생각” 랭크뉴스 2025.05.06
48946 대법관 서경환·신숙희·박영재·이숙연·마용주의 보충의견, 그 ‘허접한’ 기록 랭크뉴스 2025.05.06
48945 파국이냐, 극적 봉합이냐···‘쌍권+한덕수’ 대 김문수의 ‘벼랑 끝 대치’ 랭크뉴스 2025.05.06
48944 "사기당했다" "쿠데타다"… 단일화 놓고 국민의힘 종일 '난타전' 랭크뉴스 2025.05.06
48943 SKT發 보안규제 갑론을박…“재정비 시급” vs “신사업 불똥” 랭크뉴스 2025.05.06
48942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5.06
48941 대학캠퍼스 곳곳에 불 지르고 귀국 시도… 중국인 유학생 실형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