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일 오전 9시 44분께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한 제지공장의 맨홀 안에서 작업을 하다가 5명이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 중 50대 A씨 등 2명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진 뒤 사망했다. 연합뉴스
4일 전북 전주의 한 제지공장에서 맨홀 작업자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황화수소 가스에 의한 질식 사고로 추정된다.

5일 전주덕진소방서에 따르면 소방대원들이 현장에 출동했을 당시 맨홀 내부에서 황화수소 29ppm이 측정됐다. 밀폐공간 작업 시 적정 기준치는 10ppm이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황화수소(H₂S)는 짧은 시간만 노출돼도 호흡 신경계를 영구적으로 손상시켜 자칫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무색으로 썩은 계란 냄새가 나는데, 주로 가죽·석유·원유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유황을 함유한 유기물이 분해될 때 발생한다. 황화수소는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이 지정한 유해화학물질 중 하나라 인체 위험도가 높아 특별 관리해야 하는 '사고대비물질'이다.

특히 정화조·하수구에서 하수 슬러지(찌꺼기)가 부패할 때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우수관이나 화장실 배관을 통해 올라오기도 한다. 안전 장비 없이 맨홀에 들어간 작업자가 황화수소에 중독되거나 질식하는 사고가 반복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 300ppm 이상 누출해야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이지만, 밀폐 공간에서는 더 적은 수치로도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황화수소는 쉽게 산화되는 물질이라 밀폐 공간에서 산소를 고갈시킨다. 일반 사망 기준치보다 적은 농도가 측정돼도 밀폐 공간에선 독성 중독과 질식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대부분 밀폐 공간서 발생…공중화장실 누출 사고도
2019년 8월 부산 수영구 광안리 인근 건물 지하의 공중화장실에서 기준치의 100배가 넘는 황화수소가 누출돼 19세 여고생이 사망했다. [뉴스1]
황화수소 사고는 매년 반복된다. 화관법의 적용을 받는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 등에서는 지난 10년간 8건의 누출 사고가 발생했다.

실제 대부분의 인명 피해는 맨홀 같은 밀폐 공간에서 나타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10년(2014~2023년)간 밀폐공간 질식사고는 174건 발생해 136명이 사망했다. 이중 황화수소 관련 사고는 약 4분의 1에 이른다. 황화수소를 다루는 작업장은 법에 따라 주 1회 자체검사 등으로 사고를 예방하고 있지만, 맨홀 속 공기는 작업자가 안전 장비를 갖추거나 관련 규칙을 준수해야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드물지만 오수관이 연결된 화장실도 하수 슬러지 부패로 발생한 황화수소가 누출될 수 있는 환경이다. 2019년 7월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인근 화장실에서는 여고생이 황화수소를 들이마시고 숨지는 사고도 있었다. 공하성 교수는 “주택 화장실이나 우수관에서 썩은 달걀 냄새가 나면 즉시 환기를 시켜야 한다. 황화수소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빗자루로 쓸 듯이 내보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84 백상예술대상, ‘흑백요리사’·‘하얼빈’ 촬영감독 대상···‘폭싹’은 4관왕 랭크뉴스 2025.05.06
48783 한덕수 "尹파면 뒤에 통화 안 해...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반" 랭크뉴스 2025.05.06
48782 국힘 이양수 “단일화 1차 회의, 김문수 쪽 불참으로 불발” 랭크뉴스 2025.05.06
48781 김문수 "경선 통해 선출됐지만, 당은 날 대선 후보로 인정 안 해" 랭크뉴스 2025.05.06
48780 [단독] 김문수 캠프 핵심 의원의 돌변... "金, 전형적인 좌파식 조직 탈취 시도" 랭크뉴스 2025.05.06
48779 '평양냉면' 한 그릇 먹으러 갔다가 '화들짝'…"1만5000원은 싼 편이에요" 랭크뉴스 2025.05.06
48778 전합 판결문에 기록된 ‘졸속 선고’ 비판...15년 전보다 퇴행한 조희대 대법원 랭크뉴스 2025.05.06
48777 김문수 "날 배제한채 공식후보로 인정않아"…국힘 지도부 비판(종합) 랭크뉴스 2025.05.06
48776 SKT 민관조사단, 추가 공개 ‘악성코드 8종’ 정밀 분석 랭크뉴스 2025.05.06
48775 SKT 해킹 관련 악성코드 8종 추가 분석… 조사단 “경로·시점 확인 중” 랭크뉴스 2025.05.06
48774 가상 양자대결 ‘이재명 51% vs 한덕수 41%’ ‘이재명 52% vs 김문수 39%’ [갤럽] 랭크뉴스 2025.05.06
48773 김문수 앞에 놓인 ‘이준석·김기현·한동훈’의 길[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5.06
48772 험지 도는 이재명, TK 맴도는 김문수···‘보수 단일화’에 갇힌 국힘 선거 전략 랭크뉴스 2025.05.06
48771 "메이드 인 어디?"…中기업, 관세 피하려 '원산지 세탁'까지 랭크뉴스 2025.05.06
48770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어느 정치인도 국민의지 못 벗어나” 랭크뉴스 2025.05.06
48769 민주, 李재판연기 고강도 압박…'조희대 대선개입 청문회' 예고 랭크뉴스 2025.05.06
48768 이양수 “단일화 1차 회의, 김문수 후보 참석 거절로 불발” 랭크뉴스 2025.05.06
48767 [속보] 한덕수 "단일화 실패는 국민 배신·배반…한번도 생각 안해" 랭크뉴스 2025.05.06
48766 외교부 공무원 합격 뒤 과거 성범죄 들통…법원 “합격 취소 정당” 랭크뉴스 2025.05.06
48765 “새벽 시간 어린이보호구역 속도 제한은 기본권 침해” 헌재서 따져본다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