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대선의 진용이 드러났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한덕수 무소속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뉴스1

6·3 대선까지 채 한달이 남지 않은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독주 판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3~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 후보는 대선 구도가 어떤 형태로 짜여지든 가상 대결에서 50% 안팎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경민 기자

이 후보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13%),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4%), 한덕수 무소속 후보(23%)가 모두 출마하는 가상 4자 대결에서 47%를 얻었다. 국민의힘이 추진 중인 ‘빅텐트’ 구축을 전제로 한 3자 대결에서도 이 후보의 독주 양상은 그대로였다. 김 후보가 나설 경우 이재명 후보 49%, 김 후보 33%, 이준석 후보 9%였다. 한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엔 이재명 후보 49%, 한 후보 36%, 이준석 후보 6%였다.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는 김 후보 16%포인트, 한 후보 13%포인트로 모두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이다.

박경민 기자

이준석 후보까지 빅텐트에 참여하는 가상의 양자 대결 때 이재명 후보(51%)와 한 후보(41%)는 10%포인트 차였고, 이재명 후보(52%)와 김 후보(39%)는 13%포인트 차였다. 김 후보가 지난 1월 23~24일 조사(19%포인트)와 4월 8~9일 조사(18%포인트)에 비해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줄인 건 국민의힘 경선의 ‘컨벤션 효과’로 해석된다. 이재명 후보(51%)와 이준석 후보(29%)의 양자 대결 때는 22%포인트 차로 격차가 벌어졌다.

박경민 기자

이번 조사는 지난 3일 국민의힘 경선에서 김 후보가 선출된 직후부터 이틀 간 진행됐다. 앞서 지난 1일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 취지 파기 환송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의 지지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전체 후보를 대상으로 놓고 조사한 이 후보의 대통령 선호도는 36%(1월)→42%(4월)→47%(5월)로 높아졌고, 특히 중도층에서 36%(1월)→43%(4월)→55%(5월)의 상승세를 보였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대법원의 파기 환송 이후에도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에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은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국민들의 반국민의힘 정서가 그만큼 매우 강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준호 에스티아이 대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투표할 사람을 결정해 중도층 가운데 누구를 지지할지 아직 정하지 않은 부동층의 비율이 매우 작은 상황”이라며 “결국 사법 리스크에 영향을 받을 대상 자체가 크지 않아 이 후보의 지지율 변화가 안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어느 정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 ‘민주당 후보 당선’이 45%, ‘국민의힘 후보 당선’은 31%로 14%포인트 차였는데, 이는 지난 4월 조사 때와 같은 수치다.

한편 가상 3자 대결과 양자 대결에서 한 후보가 김 후보에 비해 지지율이 높은 데 대해 허 수석은 “20대와 30대에서의 지지율 차이 때문”이라며 “국무총리를 했던 한 후보에 비해 김 후보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 따른 차이로 보인다”고 말했다.

6·3 대선 투표 의향을 물은 결과 ‘반드시 할 것’ 85%, ‘아마 할 것’ 10%로 투표 참여 의향은 95%에 달했다. 다만 여론조사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정치 관심도가 높은 만큼 실제 투표율은 이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5월 3일~4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7.8%(5667명 중 1006명)이며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53 [속보] 국힘 지도부, 김문수 만나러 지방행…"단일화 일정 협의" 랭크뉴스 2025.05.06
48852 [속보] 국힘, 김문수 만나러 지방행 "단일화 일정 협의" 랭크뉴스 2025.05.06
48851 고령 치매환자 보유 자산 ‘154조원’, GDP 6.4%···정부 첫 전수조사 랭크뉴스 2025.05.06
48850 권영세 "김문수, 단일화 약속 무너뜨리면 국민 배신" 랭크뉴스 2025.05.06
48849 “한국산 의약품에 관세조치 필요없다”···정부, 미 상무부에 의견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06
48848 피규어 이름이 '동탄 미시룩'…선정적 모습에 발칵 뒤집혔다 랭크뉴스 2025.05.06
48847 사법부 때리는 민주, ‘고법판사 탄핵’도 만지작 랭크뉴스 2025.05.06
48846 "이재명" 실명 공격 대신 "모 대표"…정치인 닷새째 한덕수 풍경 랭크뉴스 2025.05.06
48845 [속보]권영세 “11일까지 단일화 실패하면 사퇴하겠다” 랭크뉴스 2025.05.06
48844 “어린이보호구역 새벽 단속은 위헌” 헌재 첫 검토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6
48843 윤희숙 "김문수, 단일화 마음 없다면 후보 내려놓으라" 랭크뉴스 2025.05.06
48842 제다이 만들려다 시스된 트럼프…백악관 '스타워즈' 팀킬[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5.06
48841 이재명 “조봉암도 사법살인, DJ도 사형선고…3차 내란 시도 국민이 진압할 것” 랭크뉴스 2025.05.06
48840 적나라한 ‘졸속 선고’ 비판, 초유의 전합 판결문…조희대 대법원의 퇴행 랭크뉴스 2025.05.06
48839 [속보] 권영세 "내일 全당원 단일화 찬반조사…김문수 약속 깨면 배신" 랭크뉴스 2025.05.06
48838 권영세, 김문수 향해 “이제 와서 신의 무너뜨리면 당원·국민 배신하는 것" 랭크뉴스 2025.05.06
48837 윤희숙 "김문수, 단일화 안 한다면 후보 교체해야" 랭크뉴스 2025.05.06
48836 "尹, 어린이날 한강서 한가로이 개 산책" 목격담 확산 랭크뉴스 2025.05.06
48835 [속보] 권영세 “김문수, 단일화 약속 무너뜨리면 국민 배신” 랭크뉴스 2025.05.06
48834 윤희숙 "김문수, 단일화 안 한다면 후보 교체해야“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