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3 대선의 진용이 드러났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한덕수 무소속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뉴스1

6·3 대선까지 채 한달이 남지 않은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독주 판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3~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이 후보는 대선 구도가 어떤 형태로 짜여지든 가상 대결에서 50% 안팎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경민 기자

이 후보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13%),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4%), 한덕수 무소속 후보(23%)가 모두 출마하는 가상 4자 대결에서 47%를 얻었다. 국민의힘이 추진 중인 ‘빅텐트’ 구축을 전제로 한 3자 대결에서도 이 후보의 독주 양상은 그대로였다. 김 후보가 나설 경우 이재명 후보 49%, 김 후보 33%, 이준석 후보 9%였다. 한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엔 이재명 후보 49%, 한 후보 36%, 이준석 후보 6%였다.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는 김 후보 16%포인트, 한 후보 13%포인트로 모두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이다.

박경민 기자

이준석 후보까지 빅텐트에 참여하는 가상의 양자 대결 때 이재명 후보(51%)와 한 후보(41%)는 10%포인트 차였고, 이재명 후보(52%)와 김 후보(39%)는 13%포인트 차였다. 김 후보가 지난 1월 23~24일 조사(19%포인트)와 4월 8~9일 조사(18%포인트)에 비해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줄인 건 국민의힘 경선의 ‘컨벤션 효과’로 해석된다. 이재명 후보(51%)와 이준석 후보(29%)의 양자 대결 때는 22%포인트 차로 격차가 벌어졌다.

박경민 기자

이번 조사는 지난 3일 국민의힘 경선에서 김 후보가 선출된 직후부터 이틀 간 진행됐다. 앞서 지난 1일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 취지 파기 환송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의 지지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전체 후보를 대상으로 놓고 조사한 이 후보의 대통령 선호도는 36%(1월)→42%(4월)→47%(5월)로 높아졌고, 특히 중도층에서 36%(1월)→43%(4월)→55%(5월)의 상승세를 보였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대법원의 파기 환송 이후에도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에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은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국민들의 반국민의힘 정서가 그만큼 매우 강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준호 에스티아이 대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투표할 사람을 결정해 중도층 가운데 누구를 지지할지 아직 정하지 않은 부동층의 비율이 매우 작은 상황”이라며 “결국 사법 리스크에 영향을 받을 대상 자체가 크지 않아 이 후보의 지지율 변화가 안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어느 정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 ‘민주당 후보 당선’이 45%, ‘국민의힘 후보 당선’은 31%로 14%포인트 차였는데, 이는 지난 4월 조사 때와 같은 수치다.

한편 가상 3자 대결과 양자 대결에서 한 후보가 김 후보에 비해 지지율이 높은 데 대해 허 수석은 “20대와 30대에서의 지지율 차이 때문”이라며 “국무총리를 했던 한 후보에 비해 김 후보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 따른 차이로 보인다”고 말했다.

6·3 대선 투표 의향을 물은 결과 ‘반드시 할 것’ 85%, ‘아마 할 것’ 10%로 투표 참여 의향은 95%에 달했다. 다만 여론조사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정치 관심도가 높은 만큼 실제 투표율은 이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5월 3일~4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7.8%(5667명 중 1006명)이며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18 [속보]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SKT 위약금 면제, 민관합동조사단 결과 보고 판단” 랭크뉴스 2025.05.09
50217 “조희대 사퇴 안 하면 탄핵 검토”···압박 이어가는 민주당 랭크뉴스 2025.05.09
50216 공수처, '이재명 파기환송' 조희대 대법원장 고발사건 배당 랭크뉴스 2025.05.09
50215 박찬대 "제2의 조희대·지귀연 막아낼 사법대개혁 추진할 것" 랭크뉴스 2025.05.09
50214 순찰 도중 발견한 ‘역주행’ 차량…“신속 대처로 사고 막아” 랭크뉴스 2025.05.09
50213 [단독]콜마비앤에이치, 남매간 '경영권 분쟁'…지주사 "경영 정상화 목표" 랭크뉴스 2025.05.09
50212 반려견 찾으러 산으로 간 80대, 실종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5.09
50211 Z세대 구직자 90% “자소서, AI가 도와줬어요” 랭크뉴스 2025.05.09
50210 [속보]전국법관대표회의 열린다···‘이재명 파기환송·사법 독립’ 등 논의 랭크뉴스 2025.05.09
50209 "이재명 파기환송심 논의"…전국법관대표회의 소집 결정 랭크뉴스 2025.05.09
50208 한덕수 측 “단일화, 오늘이 터닝포인트… 당 여론조사 결과 상당히 주목" 랭크뉴스 2025.05.09
50207 이재명, 경북 돌며 경청 투어 “6월 3일 진짜 민주공화국으로 재출발” 랭크뉴스 2025.05.09
50206 “부자로 죽지 않겠다” 빌 게이츠, 2045년까지 재산 99% 기부 랭크뉴스 2025.05.09
50205 국힘 단일화 조사 오늘 종료…지도부 '후보 교체' 수순밟나 랭크뉴스 2025.05.09
50204 권성동 “강제 단일화 결정 못 내려…‘기호 2번’ 단일화 11일 이전에 해야” 랭크뉴스 2025.05.09
50203 제주 강풍에 항공편 결항·지연 잇따라…"운항 정보 확인해야"(종합) 랭크뉴스 2025.05.09
50202 “강제 단일화? 결정 못 내렸다…모든 가능성 열려 있다” 랭크뉴스 2025.05.09
50201 김문수는 결정했다…국힘, 마지막 ‘최악의 수’ 둘까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5.09
50200 전국법관대표회의 임시회 열기로…‘이재명 선고’ 논란 다룰 듯 랭크뉴스 2025.05.09
50199 공수처, 조희대 ‘직권남용’ 혐의 사건 수사4부 배당 랭크뉴스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