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수 설득하고 다수의 뜻 세우는 지도자 필요
그 체제 가능한 게 민주주의…탄핵도 연장선상”
김장하 선생과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문화방송(MBC) 경남 제공, 연합뉴스

지난달 18일 퇴임한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자신에게 장학금을 주며 지원한 ‘평생의 은인’ 김장하 선생을 2일 경남 진주시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서 문 전 권한대행은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만장일치로 결정하기까지 역대 대통령 탄핵 사건에 견줘 오랜 시간이 걸렸던 이유를 밝혔다. “재판관끼리 이견이 있는 상태에서는 국민을 설득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탄핵 선고 늦더라도 재판관 만장일치 필요했다”

5일 문화방송(MBC) 경남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문 전 권한대행은 2일 김장하 선생과 만난 자리에서 “(탄핵 선고가) 오래 걸린 건 말 그대로 만장일치를 좀 만들어 보려고…. 시간이 조금 늦더라도 만장일치를 하는 게 좋겠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는 2월25일 변론 종결부터 38일 만인 지난달 4일 이뤄졌다. 변론 종결 뒤 노무현 전 대통령(14일), 박근혜 전 대통령(11일) 사건과 비교해도 2배가 넘는 최장기간 심리를 지속했다.

문 전 권한대행은 헌재 선고 결과를 두고 국민 간 갈등이 격화할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만약에 몇 대 몇으로 나가면 어떻게 공격하냐면, 그 소수 의견을 가지고 다수 의견을 공격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주제를 가지고 재판관끼리 이견이 있는 상태에서 국민을 설득하기 힘들다 저는 그렇게 생각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이 헌재의 전원일치 결정으로 파면되자 우려했던 폭력 난동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 파면 선고 직후 일부 지지자들은 ‘국민 저항권’을 강조하며 격앙된 발언을 쏟아내기도 했으나, 경찰의 삼엄한 경계 속에 집단적인 난동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문 전 권한대행은 “사건을 보자마자 결론이 서는 사람들이 있지만, 모든 것을 다 검토해야 결론을 내는 사람도 있다”며 “그 경우에는 당연히 빠른 사람이 느린 사람을 기다려야 한다. 빠른 사람, 급한 사람들이 인내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일 경남 진주시 남성당 한약방 앞에서 사진을 찍고 있는 김장하 선생(가운데)과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오른쪽에서 두 번째). 문화방송(MBC) 경남 유튜브 갈무리

김장하 선생은 문 전 권한대행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다수결이 민주주의 꽃이라 그러는데 요란한 소수가 조용한 다수를 지배한다, 그걸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인가”라고 물은 것. 그러자 문 전 권한대행은 “요란한 소수를 설득하고 다수의 뜻을 세워나가는 지도자가 나타날 거라고 저는 생각한다. 그런 체제가 가능한 게 저는 민주주의라 생각하고 이번에 탄핵도 그런 연장선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장하(81) 선생은 경남 진주에서 ‘남성당 한약방’을 운영하며 39살이던 1983년 진주에 세운 명신고등학교를 1991년 국가에 헌납했고, 1000명이 넘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었다. 그중 한 명이 문 권한대행이었다. 문 전 권한대행은 고등학교 2학년부터 대학교 4학년까지 이른바 ‘김장하 장학생’으로 장학금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2019년 국회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서 “김장하 선생 덕분에 학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고 사법시험에도 합격할 수 있었다”며 “제가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인사하러 간 자리에서 선생은 ‘내게 고마워할 필요는 없다. 나는 이 사회의 것을 너에게 주었으니 갚으려거든 내가 아닌 이 사회에 갚아라’ 하였고, 그 말씀을 한시도 잊은 적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80 美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vs 日 ‘다 재검토해야’…협상 난항조짐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9 거리 한복판서 흉기 휘두르고 나체 상태로 도주한 20대男, 현행범 체포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8 EU "美관세협상서 '불공정 합의' 안해"…157조 보복조치도 거론(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7 K원전 최종 계약 서명 전날, 체코 법원 "절차 중단"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6 트럼프, 이웃사촌 加총리와 첫 만남서 '美 51번째 州' 티격태격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5 "접속 기록 공개하라" 1백만 돌파‥숙고의 가치는?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4 김문수 "한덕수와 오늘 회동‥당원조사 중단해야"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3 아마존 자율주행차 죽스 "지난달 충돌 사고로 소프트웨어 리콜"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2 닌텐도는 웃돈·카네이션은 반값… ‘가정의 달’ 선물 온도차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1 "한국 건강보험 이용해볼까"…부정수급 30% 늘었다, 중국인 압도적 1위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70 갑질 의혹 백종원 “모든 방송활동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9 팔란티어, 실적 예상치 상회에도 주가 급락…장중 14%↓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8 한·미 외교장관 통화…조태열 "관세 협상, 대선 기간 감안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7 트럼프, 의약품도 관세…한국기업 “일단 미국 내 재고로 영업”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6 EU외교수장 "그린란드 투자 계속…미래는 스스로 결정해야"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5 임원급 팀장서 공장 투명인간 좌천…그를 일으킨 '깨달음' [안혜리의 인생]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4 문다혜, ‘자선행사 모금 기부’ 사기 혐의로 경찰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3 메르츠, 독일 총리로 '간신히' 취임…새정부 불안한 출발(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2 SKT 해킹 피해 규모 더 커지나… 8종 악성코드 추가 확인 new 랭크뉴스 2025.05.07
49061 고령 치매환자 자산 ‘154조’ new 랭크뉴스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