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흰 연기’ 언제쯤 볼 수 있을까 소방관들이 지난 2일(현지시간) 다음 교황을 뽑기 위한 콘클라베가 열리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 꼭대기에 굴뚝을 설치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시스티나 성당 막바지 준비

추기경들, 합숙하며 매일 투표

교황 선출 땐 ‘흰 연기’로 신호


9차례 총회마다 20여명 연설

종교적 정견·교회 정책 다뤄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나흘 앞둔 3일(현지시간) 교황청이 막바지 준비에 진력하고 있다. 물밑에선 차기 교황을 두고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는 중이다.

이날 교황청은 콘클라베가 열리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 난로와 굴뚝을 설치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콘클라베의 논의 결과를 성당 밖으로 알리는 유일한 신호 수단인 난로와 굴뚝에 오는 7일부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추기경단은 추기경 133명의 투표용지를 난로에서 태워 교황이 선출되면 흰 연기를, 선출되지 않았으면 검은 연기를 굴뚝으로 피워 올린다.

콘클라베 동안 추기경들이 머물 산타 마르타의 집 시설 공사는 5일 끝날 예정이다. 추기경들은 콘클라베 시작 하루 전날인 6일 저녁부터 이곳에서 합숙 생활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차기 교황 선출의 결론이 날 때까지 머물며 하루 4차례 투표를 반복한다. 외부 접촉은 일절 차단된다.

산타 마르타의 집은 과거 콘클라베에서도 추기경들이 머문 곳이지만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전임 교황이 머물던 곳’이라는 의미가 더해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 전용 숙소를 거부하고 이곳에 있는 방 두 칸짜리 공간에서 머물러왔다.

후보군에 해당하는 추기경들의 선거전도 달아오르고 있다. 이미 9차례 추기경 총회가 열릴 때마다 20~30명의 추기경이 ‘교회와 세상에 대한 대화’를 명목으로 연설을 했다. 3일 열린 9차 총회에서도 26건의 연설이 있었다고 교황청 매체 바티칸뉴스는 전했다. 총 177명의 추기경이 참석했으며, 이 중 선거권자는 127명이었다.

추기경들이 제시한 담론은 주로 앞으로 가톨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것이었다. 사실상 차기 교황 후보군의 정견을 발표하는 자리로 해석된다. 연설에서 다뤄진 주제 중 하나는 ‘교황 프란치스코에게 감사하며, 그가 시작한 절차를 이어갈 필요성’이었으며 ‘교회가 다락방에 갇히지 않고 희망이 필요한 세상에 빛을 가져다줘야 한다’는 연설도 있었다. ‘평화 증진을 위해 교회와 교황이 해야 하는 봉사’를 언급한 이도 있었으며 ‘교회 간의 협력과 연대’에 방점을 찍은 이도 있었다.

더 구체적이고 정책적인 대화도 오갔다. 지난 2일 열린 8차 총회에서는 25건의 연설이 있었는데 ‘성적 학대 및 재정 스캔들 등의 위험성’도 주제로 다뤄졌다. 이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중점적으로 추진한 정책이다. ‘동방 교회의 고통과 그들의 증언’도 언급됐다. 중동, 북아프리카, 동유럽 등에서 전쟁이나 박해, 강제 이주 등으로 고통받는 기독교인들의 문제를 외면해선 안 된다는 견해로 이 역시 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 관심을 기울여온 주제다.

이외에도 ‘교회 내부 양극화와 사회 분열로 인한 상처’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주교단의 책임’ ‘젊은 세대에 복음을 전해야 할 필요성’ ‘교회법의 중요성’ 등이 앞선 총회에서 추기경 연설 주제로 다뤄졌다.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이뤄졌던 가톨릭의 변화를 추기경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따라 콘클라베 결과도 판가름 날 것으로 관측된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동성애, 여성 사제 서품 등 프란치스코 교황 재위 기간 논란이 됐던 주제들이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공식 애도 기간인 노벤디알리는 4일 끝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43 모기 방제하는 멸종위기 '물장군'..."각별한 부성애" 어떻길래 랭크뉴스 2025.05.05
48242 도시락에 딱 붙이니 매출 8배…게임사들 '캐릭터 장사' 랭크뉴스 2025.05.05
48241 [단독]“건평 형, 내 속 많이 썩였다”…盧와 동동주, 그날의 비화록 랭크뉴스 2025.05.05
48240 식당도 마트도 안 간다…식품·외식 소비 이례적 동반 감소 랭크뉴스 2025.05.05
48239 ‘적신호’ 켜진 한국 아동 정신건강···4세 고시, 7세 고시 문제? 랭크뉴스 2025.05.05
48238 ‘세계 최초 4심제’ 국힘 비판 사실일까?···대법관 증원은 법관들도 ‘찬성’[팩트체크] 랭크뉴스 2025.05.05
48237 우리 아이 키 안 클 수도…항문 주변 염증땐 꼭 병원 가세요 랭크뉴스 2025.05.05
48236 "혹시 그거 알아?"…법원과 전면전 나선 민주당, 또 음모론 랭크뉴스 2025.05.05
48235 “돈가방 들고 튀어”…지인 돈 2억 든 가방 훔친 중국인, 인천공항서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5.05
48234 우원식이 한덕수 때린 다음날…“결심 섰다” 참모 전화 돌렸다 [대선 비하인드①] 랭크뉴스 2025.05.05
48233 뽀통령 시대 끝낸 티니핑…어른도 빠지자, 현대차·SM 움직였다 랭크뉴스 2025.05.05
48232 원·달러 환율 롤러코스터…‘계엄 후 최저’ 수준 랭크뉴스 2025.05.05
48231 어린이날, 전국 흐리고 가끔 비…낮 최고 17∼21도 랭크뉴스 2025.05.05
48230 3000억 팔린 '시카' 화장품…리들샷, 엑소좀으로 기술 더해 매출 '껑충' 랭크뉴스 2025.05.05
48229 김문수, 13년 만의 대권 재도전… 그를 만든 ‘다국적 연합군’ 랭크뉴스 2025.05.05
48228 취업 돕는 스타트업 이런 것까지 등장…동영상 이력서 플랫폼, 부정행위 해주는 AI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227 한번 거래 트면 쭉 간다…북미 '빌트인 왕좌' 노리는 삼성·LG 랭크뉴스 2025.05.05
48226 "썩는데 500년"…돈 안되는 장난감 재활용, 작년에만 75t 해낸 그들 랭크뉴스 2025.05.05
48225 "간호사 될래요" 백혈병 소윤이의 꿈…엄마는 깜짝 놀랐다 랭크뉴스 2025.05.05
48224 대선前 파기환송심 선고 땐….이재명 운명, 대법이 쥘 가능성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