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흰 연기’ 언제쯤 볼 수 있을까 소방관들이 지난 2일(현지시간) 다음 교황을 뽑기 위한 콘클라베가 열리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 꼭대기에 굴뚝을 설치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시스티나 성당 막바지 준비

추기경들, 합숙하며 매일 투표

교황 선출 땐 ‘흰 연기’로 신호


9차례 총회마다 20여명 연설

종교적 정견·교회 정책 다뤄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나흘 앞둔 3일(현지시간) 교황청이 막바지 준비에 진력하고 있다. 물밑에선 차기 교황을 두고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는 중이다.

이날 교황청은 콘클라베가 열리는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에 난로와 굴뚝을 설치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콘클라베의 논의 결과를 성당 밖으로 알리는 유일한 신호 수단인 난로와 굴뚝에 오는 7일부터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추기경단은 추기경 133명의 투표용지를 난로에서 태워 교황이 선출되면 흰 연기를, 선출되지 않았으면 검은 연기를 굴뚝으로 피워 올린다.

콘클라베 동안 추기경들이 머물 산타 마르타의 집 시설 공사는 5일 끝날 예정이다. 추기경들은 콘클라베 시작 하루 전날인 6일 저녁부터 이곳에서 합숙 생활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차기 교황 선출의 결론이 날 때까지 머물며 하루 4차례 투표를 반복한다. 외부 접촉은 일절 차단된다.

산타 마르타의 집은 과거 콘클라베에서도 추기경들이 머문 곳이지만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전임 교황이 머물던 곳’이라는 의미가 더해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 전용 숙소를 거부하고 이곳에 있는 방 두 칸짜리 공간에서 머물러왔다.

후보군에 해당하는 추기경들의 선거전도 달아오르고 있다. 이미 9차례 추기경 총회가 열릴 때마다 20~30명의 추기경이 ‘교회와 세상에 대한 대화’를 명목으로 연설을 했다. 3일 열린 9차 총회에서도 26건의 연설이 있었다고 교황청 매체 바티칸뉴스는 전했다. 총 177명의 추기경이 참석했으며, 이 중 선거권자는 127명이었다.

추기경들이 제시한 담론은 주로 앞으로 가톨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것이었다. 사실상 차기 교황 후보군의 정견을 발표하는 자리로 해석된다. 연설에서 다뤄진 주제 중 하나는 ‘교황 프란치스코에게 감사하며, 그가 시작한 절차를 이어갈 필요성’이었으며 ‘교회가 다락방에 갇히지 않고 희망이 필요한 세상에 빛을 가져다줘야 한다’는 연설도 있었다. ‘평화 증진을 위해 교회와 교황이 해야 하는 봉사’를 언급한 이도 있었으며 ‘교회 간의 협력과 연대’에 방점을 찍은 이도 있었다.

더 구체적이고 정책적인 대화도 오갔다. 지난 2일 열린 8차 총회에서는 25건의 연설이 있었는데 ‘성적 학대 및 재정 스캔들 등의 위험성’도 주제로 다뤄졌다. 이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중점적으로 추진한 정책이다. ‘동방 교회의 고통과 그들의 증언’도 언급됐다. 중동, 북아프리카, 동유럽 등에서 전쟁이나 박해, 강제 이주 등으로 고통받는 기독교인들의 문제를 외면해선 안 된다는 견해로 이 역시 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 관심을 기울여온 주제다.

이외에도 ‘교회 내부 양극화와 사회 분열로 인한 상처’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한 주교단의 책임’ ‘젊은 세대에 복음을 전해야 할 필요성’ ‘교회법의 중요성’ 등이 앞선 총회에서 추기경 연설 주제로 다뤄졌다.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이뤄졌던 가톨릭의 변화를 추기경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따라 콘클라베 결과도 판가름 날 것으로 관측된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동성애, 여성 사제 서품 등 프란치스코 교황 재위 기간 논란이 됐던 주제들이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공식 애도 기간인 노벤디알리는 4일 끝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84 '이름도 없이'…등산로에 버려진 신생아, 2년째 묻힌 진실 랭크뉴스 2025.05.05
48283 충남 태안 북서쪽 인근 바다서 규모 3.7 지진 랭크뉴스 2025.05.05
48282 트럼프 "외국영화에 '100% 관세' 절차 시작 승인…안보 위협" 랭크뉴스 2025.05.05
48281 “결혼한 아들딸 AS에 허리 휘어요” 황혼육아 시니어 건강 경보[일터 일침] 랭크뉴스 2025.05.05
48280 [속보]충남 태안 해역서 규모 3.7 지진, 올해 최대 규모···“6건 신고 접수” 랭크뉴스 2025.05.05
48279 2억으로 10억 아파트 사는 ‘획기적’ 정책? 집주인이 기업이라면?[올앳부동산] 랭크뉴스 2025.05.05
48278 [속보] 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절차 시작 승인" 랭크뉴스 2025.05.05
48277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성폭력 사건…뒤늦은 사과·대책 [취재후] 랭크뉴스 2025.05.05
48276 [르포] 전기차 택시 배터리 15분만에 교체… 新시장 찾는 현대차 스타트업 랭크뉴스 2025.05.05
48275 남편-아들이 한편이 돼 거부…"엄마는 어찌해야 하나요?"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랭크뉴스 2025.05.05
48274 ‘이재명 사건’ 혹 떼려다 혹 붙인 대법원···높아지는 “선거개입 의심” 비판 랭크뉴스 2025.05.05
48273 [비즈톡톡] 유통가 계엄 최대 피해자는 CJ올리브영? 연말 세일 행사 타격에 성장세 ‘제동’ 랭크뉴스 2025.05.05
48272 오픈채팅방서 성매매 여성 뜻하는 은어로 다른 회원 지칭한 60대 벌금형 랭크뉴스 2025.05.05
48271 [속보]충남 태안 해역서 규모 3.7 지진···“6건 신고 접수” 랭크뉴스 2025.05.05
48270 [속보]충남 태안 해역서 규모 3.7 지진···“올해 지진 중 가장 강해” 랭크뉴스 2025.05.05
48269 [이하경 칼럼] 누구도 자기의 사건에서 재판관이 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5.05
48268 [속보] 충남 태안 북서쪽 인근 바다서 규모 3.7 지진 랭크뉴스 2025.05.05
48267 공격헬기 무용론 현실화?…美육군, 상비사단에 ‘드론’ 1000대씩 보급[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5.05
48266 민주당 "김구·조봉암·장준하·노무현을 잃듯 이재명 잃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5.05
48265 트럼프, 대중관세 선제인하 일축…“언젠가는 낮춰”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