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찬탄파' 대표주자, 친한계 결집 속 지지율 오르며 결선까지 진출
'단일화 열망' 여론 흡수 못 한 듯…'반탄 우세' 당내 지형 극복도 실패


승복연설하는 한동훈 후보
(고양=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가운데 한동훈 후보가 승복 연설을 하고 있다. 2025.5.3 [email protected]


(고양=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대권에 처음으로 도전한 국민의힘 한동훈 후보가 3일 당 최종 경선 문턱에서 고배를 마셨다.

한 후보는 이번 경선에서 '정치·세대·시대교체'를 앞세워 도전장을 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저지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찬탄파'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계엄에 찬성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반탄' 후보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이길 수 없다면서 자신의 본선 경쟁력을 부각해왔다.

계엄 사태의 장본인인 윤 전 대통령과 사법리스크 논란을 안고 있는 이 후보 모두 정치판에서 퇴장시키고 '임기 단축 개헌' 등을 통해 정치와 세대, 시대를 모두 재편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 같은 한 후보의 전략은 경선 기간에서 어느 정도 주효했다. 경선을 앞둔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는 '반탄파' 경쟁자인 김문수·홍준표 후보에 다소 밀리는 듯한 양상도 보였지만, 경선 토론회를 거치며 지지율이 상승세를 탔다.

한 후보가 8강과 4강을 거쳐 결선까지 진출하자 당내 일각에선 한 후보의 탄탄한 '팬덤'에 더해 '변화'를 바라는 당심도 일부 움직인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그런데도 한 후보가 김 후보에게 패한 데는 한덕수 예비후보와의 단일화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경선 내내 단일화 논의에 적극적이었던 김 후보와 달리 한 후보는 '당 후보 중심'의 주장을 고수해왔다.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원하는 지지층이 이러한 온도 차를 감지하고 단일화 논의가 수월할 것으로 예상되는 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한 후보 당선 시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공유된 것 같다"고 진단했다.

한동훈 후보와 포옹하는 김문수 후보
(고양=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수락 연설을 마친 뒤 한동훈 후보와 포옹하고 있다. 2025.5.3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한 후보가 '반탄'이 여전히 우세한 당내 여론 지형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시각도 있다. 윤 전 대통령과 끊임없이 충돌해 온 자신의 기존 행보가 결국 '배신자 프레임'으로 발목을 잡은 셈이다.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대표 시절 윤 전 대통령과 사사건건 부딪치면서 계엄과 탄핵으로 이어진 과정에서 한 후보에 대한 당원들의 '불편한 감정'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친한(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의원 20여명은 경선 과정에서 결집력을 보였지만, 이들을 제외한 당 소속 의원 상당수가 계엄·탄핵 국면에서 한 후보가 보인 언행에 마음이 돌아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영남권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과는 별개로 지지층 사이 한 후보의 리더십에 대한 회의나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 후보가 강조해온 '본선 경쟁력'이 다른 후보에 견줘 압도적이지 않았다는 점도 패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재명 후보와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 한 후보의 지지율이 김 후보나 한덕수 후보 등 보수진영의 주요 경쟁자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결과 기다리는 한동훈 후보
(고양=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국민의힘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2025.5.3 [공동취재]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00 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25% 발동…일본 “완성차 관세보다 타격 커” 랭크뉴스 2025.05.04
47999 국민의힘,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추진 기구’ 설치키로 랭크뉴스 2025.05.04
47998 서울대 명예교수 “대법원, 다수 힘으로 밀어붙여” 비판 랭크뉴스 2025.05.04
47997 호주 '반전' 싱가포르는 '안정'…전세계 선거판 흔드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5.04
47996 퇴직연금, 국민연금이 굴린다고?…日 수익률, 기금형 3.63% vs 계약형 3.77% 랭크뉴스 2025.05.04
47995 박찬욱 "단편 '파란만장' 내 모든 작품 중 가장 자부심 있어" 랭크뉴스 2025.05.04
47994 민주당서 들끓는 '대법원장 탄핵'…국힘 "'아버지' 李 뜻" 랭크뉴스 2025.05.04
47993 "여성권·동성애…프란치스코 개혁 불씨에 차기 교황 결정된다" 랭크뉴스 2025.05.04
47992 “안·오·홍 정책, 모두 반영하겠다”…이준석, ‘통합’ 행보 박차 랭크뉴스 2025.05.04
47991 김문수·한덕수, 오늘 회동 안할 듯···선대위 회의 일정도 오락가락? 랭크뉴스 2025.05.04
47990 김문수 파괴력 '단일화'와 '파기환송'에 달려... 이재명과 20%P 격차 랭크뉴스 2025.05.04
47989 조희대 대법 ‘3차 내란’ 규정한 민주 “국조·특검 다 필요” 랭크뉴스 2025.05.04
47988 “어린이날 선물 막차타세요”…MBTI P 부모들을 위한 선물사기 꿀팁 랭크뉴스 2025.05.04
47987 국힘 단일화 추진기구 설치…"金·韓 입장차 확인된 바 없다" 랭크뉴스 2025.05.04
47986 ‘호남 사람’ 외친 한덕수 “광주 사태” 발언···오월 단체 “스스로 내란 동조세력 입증” 랭크뉴스 2025.05.04
47985 너만솔로·아기천사…'年 9% 적금' 우대금리 조건 보니 [박지수의 재테크 바이블] 랭크뉴스 2025.05.04
47984 법학 교수들도 ‘대법 정치행위’ 실명 비판…“민주적 선거절차 방해” 랭크뉴스 2025.05.04
47983 "日정부, 美와 주일미군 분담금 9월이후 협상 개시 예상" 랭크뉴스 2025.05.04
47982 [속보] 국힘 단일화 추진기구 설치…"金·韓 입장차 확인된 바 없다" 랭크뉴스 2025.05.04
47981 전주 제지공장 맨홀서 2명 숨져…"유독가스 질식 추정"(종합) 랭크뉴스 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