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4월 29일(현지 시각) 처음으로 인공지능(AI) 개발자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와 AI 관련 대담을 진행했는데요.

두 사람의 대담, 영상에 담았습니다.

○사티아 나델라 / 마이크로소프트 CEO
요즘 우리 프로젝트 일부에서는 전체 코드의 한 20~30% 정도가 소프트웨어, 그러니까 AI로 작성된 것 같아요. 메타는 어떤가요?

●마크 저커버그 / 메타 CEO
저희가 집중하는 큰 주제는, AI와 머신러닝 엔지니어링을 통해 라마(LLaMA, 메타의 오픈소스 AI) 자체 개발을 가속화하는 거예요. 왜냐하면, 저희 예상으론 아마 앞으로 1년 안에 개발의 절반 정도가 사람보다 AI로 이뤄질 거고, 그 비율은 점점 더 커질 것 같거든요.

○사티아 나델라 / 마이크로소프트 CEO
제 생각에 그게 바로 오픈소스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봐요, 그렇죠? 예를 들어 라마(LLaMA) 계열 모델 중 하나의 대형 모델을, 같은 구조를 유지한 채 더 작은 모델로 '증류(distillation)' 할 수 있다는 것, 이게 정말 중요한 활용 사례라고 생각해요.

●마크 저커버그 / 메타 CEO
전 이 부분이 항상 흥미로웠어요. '증류(distillation)'는 오픈소스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라고 봐요. 왜냐하면, 이 기능은 거의 마법 같거든요. 20배나 큰 거대 AI 모델 성능의 90~95%까지 훨씬 싸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니까요.

우린 이걸 일종의 서버 개발 용도로 만들었어요. 그런데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많은 사람들은 훨씬 더 작은 모델을 원하죠. 그래서 큰 모델에서 얻은 기능, 예를 들자면 노트북이나 휴대전화 같은 기기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압축할 수 있다는 것, 저는 이게 정말 중요한 일이라고 봐요.

AI에 대한 엄청난 기대가 쏟아지고 있는데, 당신은 거품을 꿰뚫어 보고 매 단계마다 이성적인 투자를 해 왔다고 생각해요. 당신이 했던 말 중 이게 인상 깊었어요.

'이 모든 기대에도 불구하고, 결국 정말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면 그건 GDP의 대폭적인 증가로 나타나야 한다'는 거였죠. 그리고 그런 변화는 수년, 어쩌면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도요. 그래서 당신이 이런 변화를 어떻게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사티아 나델라 / 마이크로소프트 CEO
AI는 분명히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이젠 그게 실제로 생산성 향상이란 현실적 변화로 이어져야죠. 그러기 위해선 단순히 소프트웨어만 필요한 게 아니라, 경영 방식 자체의 변화도 필요해요.

왜냐하면 결국 사람들이 AI와 협업하는 방식 자체를 바꿔야 하니까요. '전기'를 떠올려보세요. 사람들은 전기가 이미 존재하던 시절에도 '공장 구조 자체를 전기에 맞게 바꿔야 한다'는 걸 깨닫는 데 50년이나 걸렸어요.

그게 바로 유명한 포드(Ford) 사례죠. 지금 우리는 그 중간 어디쯤 와 있는 것 같아요. 물론 이번엔 50년이나 걸리지 않길 바라지만요.

하지만 새로운 기술을 기존 개념의 틀 안에서 이해하려고 하면(horseless carriage)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다고 봐요. 기술이 발전하는 건 당연히 중요하지만, 그 기술을 실제 업무 시스템에 녹여내 새로운 작업 방식과 워크 플로우를 만들어내야 진짜 변화가 시작되는 겁니다.

●마크 저커버그 / 메타 CEO
그러게요, 우리 모두 이번에는 50년이나 걸리진 않을 거라는 전제로 투자하고 있으니까요. 정말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길 바랍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11 한동훈 깔끔한 승복 선언, 홍준표는 불참... 지지자들 "어대문수" [현장 스케치] 랭크뉴스 2025.05.03
47710 한덕수 측 "단일화 최대한 빨라야"…김문수와 '빅텐트 공감대' 랭크뉴스 2025.05.03
47709 한덕수측 “김문수 후보에 축하…국가 미래 위해 함께 협력 기대” 랭크뉴스 2025.05.03
47708 "법률 해석, 범죄자가 아니라 판검사가 하는 것" 9년 만에 이재명에게 돌아온 글 랭크뉴스 2025.05.03
47707 이재명, 강원 민심 공략‥"해양 바이오산업 등 어업활성화" 랭크뉴스 2025.05.03
47706 이재명, 김문수 대선 후보 선출에 "완전히 반대로 가는 느낌" 랭크뉴스 2025.05.03
47705 한덕수, 김문수에 축하 전화…“빠른 시일 내 만나자” 랭크뉴스 2025.05.03
47704 '이재명 유죄'에 대법원장 탄핵?…민주당 초선들 "사법쿠데타에 단호히 대응" 랭크뉴스 2025.05.03
47703 교황 되고 싶다더니‥트럼프, 교황 옷 입은 합성 이미지 게재 랭크뉴스 2025.05.03
47702 한덕수 측 "김문수 요구 전향적 수용…단일화 최대한 빨라야" 랭크뉴스 2025.05.03
47701 한덕수 “개헌 해내고 즉각 하야” 랭크뉴스 2025.05.03
47700 [속보] 이재명 "헌정질서 회복과 완전히 반대로"... 김문수 후보 선출에 혹평 랭크뉴스 2025.05.03
47699 이재명, 김문수·한덕수 겨냥 "헌정질서 파괴 국가반역 세력" 랭크뉴스 2025.05.03
47698 [속보] 한덕수, 김문수에 축하 전화…“빠른 시일 내 만나자” 랭크뉴스 2025.05.03
47697 5월 황금연휴 첫날, 고속도로 정체 밤 9시쯤에야 풀릴 듯 랭크뉴스 2025.05.03
47696 이재명, 김문수 후보 선출에 “헌정질서 회복과 완전히 반대로” 랭크뉴스 2025.05.03
47695 이재명, 당내 대법관 탄핵 주장에 “당이 국민 뜻에 맞게 처리할 것” 랭크뉴스 2025.05.03
47694 김문수 “‘反이재명 대원칙' 아래 빅텐트 논의”... ‘용광로 선대위’ 예고(종합) 랭크뉴스 2025.05.03
47693 김문수 “한덕수와 직접 통화…李 이기기 위해 힘 합칠 것” 랭크뉴스 2025.05.03
47692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최종득표율 56.53%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