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 운용사·시행사 손잡고 대학가·업무지구 근처 매입
전세 거부감 커지자 월세 거래 늘고 가격도 크게 올라
정부 규제 완화도 호재… 임대주택 10만가구 이상 공급 계획

일러스트 = 챗GPT 달리

이 기사는 2025년 4월 24일 14시 59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그간 국내에서 오피스·호텔 등 상업용 부동산 투자에 주력해 왔던 해외 큰손들이 임대주택 시장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최근 1~2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전세 시장 불안으로 월세 수요가 커지는 등 시장 변화가 거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 주요 도시 월세가 낮은 편이라 성장성 높은 먹거리라고 보는 시선도 있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는 국내 시행사(디벨로퍼) 엠지알브이(MGRV)와 손잡고 서울시 동대문구·성동구·영등포구·중구 4곳에 기업형 임대주택을 개발할 계획이다. 총 1500실 규모로, 사업비는 1조원에 달한다. 이들은 자본금 5000억원으로 임대주택 사업 개발을 위한 조인트벤처(JV)를 설립했는데, 지분은 각각 95%, 5%로 알려졌다. 세계 10대 연기금 중 하나인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는 운용자산(AUM) 규모가 지난해 3분기 기준 6751억캐나다달러(약 695조원)에 달한다.

세계 3대 부동산 투자기업 중 하나인 미국계 디벨로퍼 하인즈는 최근 서울 신촌 일대 106세대 규모 오피스텔을 매입해 임대주택 사업을 준비 중이다. 고품질 관리 서비스를 내세운 1~2인 가구 대상 임대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하인즈는 전 세계 30개국에서 930억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데, 그동안 국내에선 오피스를 비롯한 상업용 부동산만 취급해 왔다. 이번 투자는 해외 부동산 디벨로퍼가 한국에서 임대주택 사업에 나서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글로벌 IB도 임대주택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세계 3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그래비티자산운용과 함께 임대주택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서울 길동을 시작으로 독산동과 안암동 오피스텔을 사들였고 각각 부동산 운영사 SK디앤디, 홈즈컴퍼니와 함께 임대주택으로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운용자산 870조원 규모의 글로벌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도 지난해 홍콩계 코리빙(공유 주거) 업체 위브리빙과 합작 법인을 설립, 임대주택 투자에 나섰다.

외국 자본이 국내 임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것은 급성장하는 월세 시장을 잡기 위해서인 것으로 분석된다. 연이은 전세사기로 인해 우리나라 특유의 문화였던 전세에 대한 거부감이 커진 상황이 계기가 돼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해졌기 때문이다. 1, 2인 가구와 자금이 부족한 실수요자들이 월세로 눈을 돌리면서 거래가 늘고, 가격은 치솟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임대차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 등 포함) 비중은 61.4%였다.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넘겼던 2015년 이후 10년 만에 60%를 돌파한 것이다. 통계로 파악이 가능한 아파트 월세가 역시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월세 지수는 전월 대비 0.6포인트 상승한 121.5로, KB부동산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5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정부가 임대주택 활성화를 위해 여러 대책을 내놓은 점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8월 기업형 임대주택을 2035년까지 10만가구 이상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그간 공공 중심으로 운영됐던 임대주택 시장을 민간에 적극 개방해 자금력과 전문성을 갖춘 기업이 대규모 장기 임대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체 주거 시장에서 민간 임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30~40%인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1% 정도에 불과하지만, 앞으로는 기업이 맡는 부분이 커질 전망”이라면서 “다만 국내 디벨로퍼·시공사·시행사의 경우 주로 분양 사업에 주력하다 보니 한국 기업도 임대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려면 임대료 규제 등이 완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97 [단독] ‘대법관 선 탄핵론’ 선 그은 이재명…“저는 현장에 있겠다” 랭크뉴스 2025.05.03
47596 SKT “유심 교체 못한 출국자, 피해 생기면 책임지고 보상” 랭크뉴스 2025.05.03
47595 美, 외국산 車부품에 25% 관세 공식 발효…韓 수출 감소 우려 랭크뉴스 2025.05.03
47594 SKT “유심 교체 못하고 출국한 고객에 피해 생기면 책임지겠다” 랭크뉴스 2025.05.03
47593 트럼프 생일에 美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군인 6600명 동원" 랭크뉴스 2025.05.03
47592 SKT “유심 교체 못하고 출국한 뒤 피해 생기면 보상” 랭크뉴스 2025.05.03
47591 “믿습니다” 권력이 된 신앙…윤석열은 물러나도 손현보는 부활한다[종교와 정치-주간기획] 랭크뉴스 2025.05.03
47590 이재명 측 “후보 피습 모의 제보 잇따라…대인 직접 접촉 어려워” 랭크뉴스 2025.05.03
47589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자유주의자' 윤석열의 계엄은 모순이다" 랭크뉴스 2025.05.03
47588 민주당 일각 "판결도 헌법소원‥사실상 4심제" 추진 랭크뉴스 2025.05.03
47587 주택 임대시장 ‘코리빙’이 뜬다… 침실따로 주방·거실 함께 랭크뉴스 2025.05.03
47586 SK텔레콤 “유심 교체 못 한 출국자, 2차 피해 발생 시 책임” 랭크뉴스 2025.05.03
47585 이재명 측 “후보 습격 모의 잇단 제보…대인접촉 어려워” 랭크뉴스 2025.05.03
47584 "이제 다른 영감이랑 살고싶어"…실버타운서 '황혼 이혼' 고민하는 70대의 사연 랭크뉴스 2025.05.03
47583 ‘김문수냐 한동훈이냐’ 국민의힘 곧 대선 후보 발표 랭크뉴스 2025.05.03
47582 위믹스 상장폐지 가처분 소송 제기… “해킹만으로 퇴출? 납득 불가” 랭크뉴스 2025.05.03
47581 “한덕수, 출세 위해 고향 속이더니 대선 나간다고 ‘저도 호남사람’ 발언…광주·오월영령 능멸” 랭크뉴스 2025.05.03
47580 "위법 재판으로 판사 탄핵 상황 만들지 말라"...민주당의 계속되는 사법부 압박 랭크뉴스 2025.05.03
47579 이재명 측 "후보 피습 모의 제보 잇따라"... 국힘 "파기환송심 지연 꼼수" 랭크뉴스 2025.05.03
47578 [단독] ‘김건희 선물’ 고리됐나…캄보디아 사업 지원 ‘7억→30억’ 대폭 확대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