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새 헌법으로 대선·총선 동시 선거 후 퇴진 공약

분권형 정부로 거국통합내각 구성…"대선 경쟁자 삼고초려할 것"

초대 통상교섭본부장 등 외교·통상 전문가 강조하며 통상문제 해결도 약속


단상 향하는 한덕수 전 총리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2025.5.2
[email protected]
(끝)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일 대선 출마 선언에서 개헌을 '제1 공약'으로 내걸면서 개헌 로드맵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 기구' 구성 ▲ 임기 2년차 개헌안 마련 ▲ 임기 3년차 새로운 헌법에 따른 총선과 대선 실시로 이어지는 시간표다.

이를 위해 5년 임기가 아닌 3년으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퇴임 시기는 집권 3년차가 되는 오는 2028년이다.

개헌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대신 견제와 균형에 따른 '분권'이라는 원칙을 소개했다.

개헌의 필요성을 느끼는 정치 세력이면 누구나 협력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 놓고 이른바 '개헌 빅텐트'의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 전 총리는 출마 선언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 경선 후보와 단일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분들과는 어느 누구와도 협력 해 나갈 것이고, 필요하면 통합도 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출마선언문에서 전체 5천88자, 약 15분 분량 가운데 25번 언급된 '국민'을 제외하면 개헌(14번)이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였다.

이렇게 임기 단축을 전제로 한 분권형 개헌을 해법으로 제시하면서 자신이 이를 완수할 적임자임을 내세웠다.

한 전 총리는 "그동안 여러 정부와 많은 정치인이 개헌을 약속했지만, 자기 차례가 돌아오면 그때그때의 판세와 이해관계에 따라 슬그머니 태도를 바꾸었다"며 "권력을 목표로 살아온 정치인은 개헌에 착수할 수도, 개헌을 완수할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지난 대선 때와 달리 이번에는 개헌에 미온적이라는 점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국회서 대선 출마 선언하는 한덕수 전 총리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2025.5.2
[email protected]


결국 한 전 총리는 개헌을 고리로 한 '반이재명' 세력 규합에 시동을 걸 것으로 보인다.

출마 선언에서 '거국통합내각'을 약속하며 "일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 최고의 내각, 일하는 내각을 구성하겠다"고 한 것으로 이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또 "대선 과정에서 경쟁하시는 분들을 한 분 한 분 삼고초려해 거국통합내각에 모시겠다"며 "차관급 이하의 인사는 철저하게 그분과 함께 일할 부총리와 장관이 책임지고 발탁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대선 경쟁 상대에게도 내각의 문을 열어두고 인사권까지 보장해 실질적인 권한을 위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한 전 총리는 "민주당 대표님을 포함해 정치권과 우리 국민이 제안하는 좋은 정책이 있다면 그 또한 아무런 고정관념 없이 받아들여 효율적으로 실행하겠다"고 했다.

최대 경쟁 상대인 이재명 후보의 아이디어라도 정책의 내용이 좋고 실효성이 있다면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성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한 전 총리는 "미국발 관세 폭풍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가장 시급한 통상현안"이라며 통상 문제의 해결도 약속했다.

초대 통상교섭본부장 출신임을 강조하며 "이 일을 가장 오래 해온 사람이고, 가장 잘할 사람이라고 자신한다"며 "미국 정부는 물론 각계 전문가들과 활발히 소통하고 있으며 이번 통상 현안도 반드시 풀어내 보이겠다"고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발 관세 전쟁이 모든 국가 최대 현안이 된 상황에서 외교·통상 전문가 출신인 자신의 강점을 부각하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46 '성추문' 前대통령 체포영장 취소한 볼리비아 판사 구금돼 랭크뉴스 2025.05.06
48645 “강남 빈집만 노린다”…돌반지부터 유품까지 ‘금품 3억’ 훔친 50대 남성 최후 랭크뉴스 2025.05.06
48644 IMF총재 "관세로 中 디플레 우려…中, 수출→소비 주도로 가야" 랭크뉴스 2025.05.06
48643 백악관 "외국영화 관세, 아직 최종결정 안돼…옵션 검토중"(종합) 랭크뉴스 2025.05.06
48642 “신혼여행 성지인데 못 가겠네”…호텔값 오르자 여행 포기한다는 ‘이곳’ 랭크뉴스 2025.05.06
48641 "연봉 낮은 9급 공무원? 관심없어요"…싫다던 Z세대 "500만원이면 고려" 랭크뉴스 2025.05.06
48640 ‘진격의 K방산’ 1분기 매출 첫 8조원 돌파…수주 잔고만 100조원 랭크뉴스 2025.05.06
48639 "남녀 모두 알몸으로 주무세요"…전문가가 밝힌 건강의 비결, 효과는? 랭크뉴스 2025.05.06
48638 수단 반군, 정부군 거점 포트수단 이틀째 공습…연료창고 화재 랭크뉴스 2025.05.06
48637 美재무 "美에 투자하기 나쁜때 아냐…정부적자 매년 1%씩 감축" 랭크뉴스 2025.05.06
48636 ‘윤석열 탄핵 늦어진 이유’ 뒤늦게 밝힌 문형배 “시간이 좀 늦더라도···” 랭크뉴스 2025.05.06
48635 "회사 냉장고서 1000원짜리 과자 먹었는데"…절도죄로 벌금형 선고받은 화물차 기사 랭크뉴스 2025.05.06
48634 민주 “고법 재판 막을것”…이재명 “당 판단 존중” 랭크뉴스 2025.05.06
48633 민주 “사법부의 선거 방해…대선 뒤로 후보들 공판기일 변경하라” 랭크뉴스 2025.05.06
48632 버크셔 이사회 "버핏, 회장으로 남고 에이블이 내년부터 CEO" 랭크뉴스 2025.05.06
48631 백악관 "외국영화 관세, 아직 최종결정 안돼…옵션 검토중" 랭크뉴스 2025.05.06
48630 김준수 협박해 '8억' 뜯은 여성…항소심도 7년, 휴대전화 몰수 랭크뉴스 2025.05.06
48629 “후보 뜻 따라야” “빨리 단일화를”…김문수·당 충돌 랭크뉴스 2025.05.06
48628 [속보] 국힘, 김문수 요청 따라 선대위 구성안 의결…한동훈은 빠져 랭크뉴스 2025.05.06
48627 결혼 후 불교 개종한 이승기…부처님 오신날 전해진 깜짝 소식 랭크뉴스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