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년차 대선·총선 치르고 물러날 것“
”통상문제 해결 적임자" 강조
국민통합·약자동행도 강조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일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 전 총리는 전날 서울정부청사에서 대국민담화 후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께 드리는 약속’이라는 제목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제가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를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로 마음먹었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한 전 총리는 출마 이유에 대해 “저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의 공복으로 경제발전의 최일선에서 일생을 살았다”며 “국익의 최전선인 통상외교까지 정쟁의 소재로 삼는 현실을 저의 양심과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즉시 개헌 ▲통상 해결 ▲국민통합과 약자동행 세 가지를 약속했다.
한 전 총리는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고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되면 취임 3년 차에 대선·총선을 함께 치르고 임기를 내려놓겠다는 것이다.
개헌의 구체적인 내용은 국회와 국민들이 치열하게 토론해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다만 견제와 균형, 즉, 분권이라는 핵심 방향만 제시하겠다고 했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과 국회가 견제와 균형 속에 힘을 나누어 갖는 것,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가 다같이 사라지게 만드는 것, 협치가 제도화되고 행정이 효율화돼 우리 정치와 우리 정부가 진정으로 국리민복(國利民福)에 이바지하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올바른 개헌”이라고 말했다.
통상 해결도 약속했다.
한 전 총리는 “미국발 관세 폭풍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가장 시급한 통상현안이다. 글로벌 무역질서가 뒤바뀌고 있다”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한미동맹의 굳건한 기반 위에 통상해법을 적극 모색키로 했다”고 했다.
특히 자신이 경제부총리, 국무총리에 이어 주미대사를 지낸 이력을 강조하며 “이 일을 가장 오래해 온 사람이고 가장 잘 할 사람이라고 자신한다”고 했다.
아울러 한 전 총리는 “통합이 곧 상생”이라며 “남북이 나뉜 것도 통탄할 일인데, 좌와 우, 동과 서로, 이제는 남성과 여성, 중장년과 청년으로 계속 갈라져야 하겠냐”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룬 어떤 것도 한 세력의 공적이 아니다”라며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온 우리 국민 모두의 공적이며 열매도 모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전 총리는 이어 “사회 모든 분야에서 국민통합과 약자동행이 이뤄지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통상문제 해결 적임자" 강조
국민통합·약자동행도 강조
한덕수 전 국무총리는 2일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 전 총리는 전날 서울정부청사에서 대국민담화 후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께 드리는 약속'을 주제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뉴스1
한 전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께 드리는 약속’이라는 제목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제가 사랑하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우리 모두를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기로 마음먹었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한 전 총리는 출마 이유에 대해 “저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의 공복으로 경제발전의 최일선에서 일생을 살았다”며 “국익의 최전선인 통상외교까지 정쟁의 소재로 삼는 현실을 저의 양심과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즉시 개헌 ▲통상 해결 ▲국민통합과 약자동행 세 가지를 약속했다.
한 전 총리는 “취임 첫해에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고 3년 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되면 취임 3년 차에 대선·총선을 함께 치르고 임기를 내려놓겠다는 것이다.
개헌의 구체적인 내용은 국회와 국민들이 치열하게 토론해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다만 견제와 균형, 즉, 분권이라는 핵심 방향만 제시하겠다고 했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과 국회가 견제와 균형 속에 힘을 나누어 갖는 것,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가 다같이 사라지게 만드는 것, 협치가 제도화되고 행정이 효율화돼 우리 정치와 우리 정부가 진정으로 국리민복(國利民福)에 이바지하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올바른 개헌”이라고 말했다.
통상 해결도 약속했다.
한 전 총리는 “미국발 관세 폭풍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가장 시급한 통상현안이다. 글로벌 무역질서가 뒤바뀌고 있다”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며 한미동맹의 굳건한 기반 위에 통상해법을 적극 모색키로 했다”고 했다.
특히 자신이 경제부총리, 국무총리에 이어 주미대사를 지낸 이력을 강조하며 “이 일을 가장 오래해 온 사람이고 가장 잘 할 사람이라고 자신한다”고 했다.
아울러 한 전 총리는 “통합이 곧 상생”이라며 “남북이 나뉜 것도 통탄할 일인데, 좌와 우, 동과 서로, 이제는 남성과 여성, 중장년과 청년으로 계속 갈라져야 하겠냐”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룬 어떤 것도 한 세력의 공적이 아니다”라며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온 우리 국민 모두의 공적이며 열매도 모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전 총리는 이어 “사회 모든 분야에서 국민통합과 약자동행이 이뤄지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