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원 76만 명 대상 문자 메시지 발송
당원투표 50% 반영… '유일' 선거운동
한동훈 10억 원 이상… 김문수 2억 수준
30일 국회 본청 복도에 김문수(왼쪽),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의 포스터가 붙어 있다. 고영권 기자


"한동훈 전 대표 쪽은 당원 문자만 10억 원은 썼을 거다."

대선은 '쩐의 전쟁'이다. 말 그대로 '억' 소리가 난다. 본선에 들어가기 전 경선 단계인데도 그렇다. 선거 사무실 임대료 등 고정비를 제외하고도 당원 대상 문자 메시지 발송 등에 큰돈이 든다. 더구나 이번 국민의힘 대선 경선의 경우 별도의 지역 순회 연설회 등을 실시하지 않아 문자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투표권을 가진 당원들에게 자신의 강점을 직접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방법이 문자 외엔 없는
탓이다.

1건 발송에 10원 남짓이니 대수롭잖게 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전 당원을 대상으로 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번 국민의힘 경선의 당원 선거인단은 76만여 명, 이들의 투표가 50% 반영된다. 국민의힘은 이들의 휴대전화번호를 안심번호로 바꿔 2차 경선 전 제공했다. 짧은 문자(SMS) 한 번만 전 당원에게 보내도 760만 원이 들어간다. 긴 문자(LMS)는 건당 30원 가까이, 사진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는 건당 60원 이상 든다. 대량으로 계약하면 단가가 떨어진다고 하지만, MMS 한 건을 보내는 데 최소 5,000여만 원이 든다는 게 각 캠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정당의 경선엔 공직선거법상 문자 메시지 8회 제한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캠프의 역량에 달렸다.

어느 후보자가 가장 적극적일까. 후원금 한도 29억4,000만 원을 11시간 만에 채운 한동훈 전 대표 측 물량 공세가 눈에 띈다. 한국일보가 1일 복수의 국민의힘 당원들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한 전 대표는 지난달 23일부터 전날까지 20여 건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이 중 사진을 포함한 MMS가 12건을 넘는다. 10억 원 수준의 돈이 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결선 투표를 하루 앞둔 전날 4건(MMS 3건)의 문자를 보냈는데,
하루에만 2억 원 가까운 돈을 쓴
셈이다. 문자 메시지 발송 비용은 후원금으로 쓸 수 있다.

상대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측은 상대적으로 미진하다. 같은 기간 9건의 메시지를 보냈는데, 사진을 포함한 MMS는 1건이다. 나머지는 모두 LMS다. LMS엔 통상 후보의 강점을 알릴 수 있는 유튜브나 기사 링크를 함께 첨부한다. 링크를 클릭해야 하기 때문에 사진보다는 도달률이 떨어진다. 모두 2억, 3억 원 정도 지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선 진출에 실패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측은 10여 건, 안철수 의원은 4건의 문자를 보냈다. 김문수 캠프 등은 후원금 모금 상황을 공개하지 않았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출마한 김문수(오른쪽) 전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 측이 발송한 MMS. 김문수·한동훈 캠프


문자의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당원 투표를 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알려주거나, 각종 여론조사에서 자신이 후보들 중 1위를 달리고 있다는 내용을 강조한다. 자신에게 유리한 내용만 강조하려다 보니 촌극이 벌어지기도 한다. 한 전 대표 측은 '국민의힘 후보 중'이란 글자를 작게 적고 '1위'만 강조한 MMS를 보냈다. 김 전 장관 측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비교 우위를 강조하기 위해서 넉 달 전 여론조사를 MMS로 보내기도 했다.

문자 발송량 차이에 대한 해석은 엇갈린다. 한 전 대표 측이 상승세를 굳히기 위해 막판 마케팅에 나섰다는 평가도 있지만, 당심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지적도 있다. 당심에서 유리하다고 평가받는 김 전 후보 측이 여유를 보인 것이란 평가도 있지만, 상대적 자금난이 원인이란 지적도 있다. 경선에서 패배할 경우 남은 후원금은 소속 정당에 넘기는 게 일반적이다. 남기지 않고 사용하는 게 캠프 입장에선 유리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29 독사에 200번 물려준 남자…몸 바쳐 '만능 해독제' 길 열었다 랭크뉴스 2025.05.03
47728 검찰, 건진법사 소환 조사…尹 사저 압수수색 이후 처음 랭크뉴스 2025.05.03
47727 트럼프 "교황 되고 싶어" 진심이었나…SNS에 합성 사진 올렸다 랭크뉴스 2025.05.03
47726 “임시공휴일 빨리 발표하면 안 되나요?”…열흘 쉬는 10월 황금연휴는? 랭크뉴스 2025.05.03
47725 김문수, 공동선대위원장에 한동훈·안철수·나경원·양향자 임명 랭크뉴스 2025.05.03
47724 김문수 "이재명 집권하면 끔찍한 독재"…'反明 빅텐트' 통할까 랭크뉴스 2025.05.03
47723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심 결과, 대선 전이냐 후냐…송달 관건 랭크뉴스 2025.05.03
47722 김문수 선출에 민주 “빈말로도 축하 못해… 국민에 대한 배신” 랭크뉴스 2025.05.03
47721 김문수 선대위 인선…위원장에 한동훈·나경원·안철수·양향자 랭크뉴스 2025.05.03
47720 “대법원이 생중계로 낙선운동”…시민들, 사법부 분노·불안 표출 랭크뉴스 2025.05.03
47719 "둘이서 삼겹살 먹었더니 10만 원"…밖에서 밥 사 먹기가 무서워졌다 랭크뉴스 2025.05.03
47718 김문수 "한덕수가 축하 전화… 단일화 방안, 숨 돌리고 생각할 것" 랭크뉴스 2025.05.03
47717 김문수, 일본과의 관계 묻는 일본 기자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3
47716 조희대 대법원장 공수처에 고발…시민단체 “직권남용, 선거법 위반” 랭크뉴스 2025.05.03
47715 김문수, 사무총장에 장동혁 임명…비서실장엔 김재원 랭크뉴스 2025.05.03
47714 김문수, 당심 22%p·민심 3%p차 승리…'한덕수 단일화' 기대 반영 랭크뉴스 2025.05.03
47713 中 서해 구조물, 국제법상 '문제 투성이'인 이유 랭크뉴스 2025.05.03
47712 "여행 가기 이리도 힘들어서야"…연휴 첫날 고속도로 곳곳 정체 랭크뉴스 2025.05.03
47711 한동훈 깔끔한 승복 선언, 홍준표는 불참... 지지자들 "어대문수" [현장 스케치] 랭크뉴스 2025.05.03
47710 한덕수 측 "단일화 최대한 빨라야"…김문수와 '빅텐트 공감대'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