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상한가·급등했었던
이재명 정치 테마주 적신호
이재명 정치 테마주 적신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종로구의 한 포차 식당에서 '당신의 하루를 만드는, 보이지 않는 영웅들'이란 주제로 배달 라이더, 택배 기사 등 비(非)전형 노동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하면서 그동안 상한가 랠리를 펼쳐왔던 이 후보 관련 테마주들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상지건설(042940)은 직전 거래일 대비 29.98% 상승한 3만 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상지건설은 임무영 전 사외이사가 과거 이 후보 선거 캠프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테마주로 묶였다.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4000원 초반대였던 주가는 같은 달 18일 장중 한때 5만 64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후 주가는 29일 2만 3850원까지 떨어졌으나 대법원이 무죄 취지로 검찰의 상고를 기각할 것이라 판단한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30일 급등 마감했다.
다른 테마주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달 30일 오리엔트정공(065500)은 22.12%, 형지I&C(011080)는 29.94%, 형지글로벌(308100)은 30% 상승 마감했다.
관건은 오전 9시 장이 열리면 이들 테마주들의 주가가 어디로 향하느냐다. 이 후보의 대선 승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많아 올랐던 주식들인 만큼 개장 즉시 주가가 하한가로 직행할 것이라는 주장부터, 위아래로 높은 변동성을 보일 것이란 예측까지 다양한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상지건설의 경우 지난달 28~29일 기존 주주들을 대상으로 먼저 진행된 유상증자 청약률이 5.85%에 그치면서 자금 조달마저 수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22일 신주 상장 예정일까지 주가가 확정 발행가액(2만 2850원) 이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많았던 것이다. 미청약주는 7~8일 일반 공모를 받는데, 일반 공모에서도 소화되지 않은 물량은 아예 발행되지 않는다.
한편, 금융당국은 21대 대선을 약 한 달 앞두고 정치 테마주의 변동성이 극심해지자 특별단속반을 확대해 불공정거래를 집중 감시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 18일까지 시장경보 종목 중 투자경고 이상으로 지정되고 정치인 및 정책과 관련한 60개 종목이 정치테마주로 분류됐다.
정치테마주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근거로 테마가 형성 및 소멸되거나 단기간 주가가 급등락해 시장 혼란 및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금감원은 12·3 비상계엄 당시 편성한 정치테마주 불공정거래 특별단속반을 확대하고 내부자 및 투자자 제보 활성화를 위해 7월 31일까지 집중 제보기간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제보 내용의 구체성 및 정확성, 조사 기여도 등에 따라 최대 30억 원의 포상도 적극 검토한다.
특별단속반장은 기존 팀장급에서 국장급(조사 1국)으로 격상했다. 한국거래소와도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역할 분담 및 정보 공유를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