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라져가는 국부로 군사 원조 지불해야"
전 크렘린궁 고문 "러, 우크라 목표 달성 어려워져"
전 크렘린궁 고문 "러, 우크라 목표 달성 어려워져"
스콧 베선트(왼쪽) 미국 재무장관과 율리아 스비리덴코 우크라이나 제1부총리 겸 경제장관이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에서 광물 협정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가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체결된 광물 협정을 두고 우크라이나의 국부를 팔아 미국의 군사 원조를 갚은 꼴이라고 비판했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이날 텔레그램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는 우크라이나 정권을 굴복시켜 광물 자원으로 미국의 원조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만들었다"며 "이제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사라져가는 국부로 (미국의) 군사 원조를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적었다.
정치 분석가이자 전 크렘린궁 고문이었던 세르게이 마르코프는 로이터에 "이번 현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 지출을 정당화할 장치를 마련하게 됐다"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짚었다. 이어 "앞으로 미국은 친(親)우크라이나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1일 폭스비지니스와 인터뷰에서 "(광물 협정은) 양국 간 완전한 경제 협력이며, 러시아 지도부에게 우크라이나와 미국 사이에 틈은 없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제 우리는 경제적 측면에서 완전히 입장을 같이 한다"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제 러시아와 더 유리한 입장에서 협상할 수 있는 능력을 준다"고 부연했다.
전날 베선트 장관과 율리아 스비리덴코 우크라이나 제1부총리 겸 경제장관은 미국 워싱턴에서 광물 협정에 서명했다. 특히 미국은 성명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처음으로 적시, 광물 협력의 대가로 '전쟁 책임이 러시아에 있다'는 입장을 간접적으로 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광물 협정은 미국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이 평화 협상에 나서지 않는 데 대해 점점 불만을 표출해가는 가운데 체결됐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직접 대화 및 장기적 평화 구축에 열려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사안이 복잡한 만큼 협상은 서두를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30일간 휴전'을 촉구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국에 "우리는 훨씬 더 많은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다"며 미국의 광물 자원 개발 협력을 공개적으로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