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9일 백악관 기자회견장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29일(현지시각) “미국이 인도, 한국, 일본과 무역협상에서 진전을 보고 있다”며 ‘이들 국가들이 선거 전에 미국과 성공적인 협상을 해결하려고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 ‘7월 8일’까지 차분히 협상해 6월 조기 대선 이후 마무리짓도록 하겠다는 한국 정부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인도와 매우 가까워졌다고 생각한다”며 인도와 협의가 가장 진전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고, 일본과도 실질적인 대화를 나눴다”고도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베선트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관세 문제를 논의하는 ‘2+2 고위급 통상 협의’를 연 바 있다.

그는 오는 6월 3일로 예정된 한국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 탓에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반대 방향”이라며 “이들 정부는 실제로 선거에 들어가기 전에 무역 협정의 틀을 완성하길 원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미국과 성공적으로 협상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이 협상 테이블에 훨씬 더 적극적으로 나와 이 일을 끝내고, 그 성과를 가지고 선거운동을 하길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는 협상 뒤 최 부총리 등이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인 7월 8일까지 차분히 협상하겠다고 밝힌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최 부총리는 미국에서 협상 뒤 “한국의 정치 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다양한 고려 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미국 쪽의 이해를 요청했다”며 “서두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를 위한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에도 미국 쪽은 “3~4주” 안에 끝내겠다는 입장을 보여, 양국 간 협상 속도를 놓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주부터 양국이 실무협상에 들어간다고 알려진 가운데 베선트 장관의 발언이 나오기까지 실제 어떤 진전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부과한 관세로 인한 공급망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망 충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소매업체들이 앞서 재고 관리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에 대한 초고율 관세 부과 여파로 5월부터는 미국 내 공급망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관측과 우려를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앞서 시엔비시 방송은 28일 아폴로 글로벌매니지먼트가 최근 투자자 대상 설명 자료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몇 주 안에 미국 내 가게들의 텅 빈 진열대와 팬데믹 때와 같은 물품 부족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이런 관측은 지난 주 월마트 등 미국의 대표 소매업체 대표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한 경고와 같다. 이와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 수준이 중국 기업들에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중국과 무역 협상을 낙관해왔다.

이날도 그는 초고율 관세의 여파로 곧 중국 내 10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이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 함께 나선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자동차 관세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34 국민의힘 '최종 대선 경선' 당원투표율 52.62%로 마감 랭크뉴스 2025.05.03
47433 "오래 산 비결? 하나님 덕분"…'세계 최고령' 브라질 수녀, 116세로 별세 랭크뉴스 2025.05.03
47432 트럼프, 학내 인사개입 등에 맞선 하버드大에 “면세혜택 취소” 압박 랭크뉴스 2025.05.03
47431 칠레 남부 해역서 7.4 강진…쓰나미 경보·대피령 해제(종합) 랭크뉴스 2025.05.03
47430 '김준수 8억 갈취' 여성 BJ, 항소심도 징역 7년…"휴대폰 몰수" 랭크뉴스 2025.05.03
47429 북한군 숙소에 "쓰러진 전우들의 복수를!"…식탁 위 고춧가루 눈길 랭크뉴스 2025.05.03
47428 “대법관님들, 잘 들으세요”…대법원 ‘아픈 곳’ 찌른 정청래 랭크뉴스 2025.05.03
47427 "생존율 10% 뚫은 기적"…가슴 뚫고 나온 '심장' 가진 英소녀, 새 삶 얻었다 랭크뉴스 2025.05.03
47426 북한군 숙소에 "쓰러진 전우들의 복수를!"…식탁 위 고춧가루도 눈길 랭크뉴스 2025.05.03
47425 건진법사 폰에 '돈다발' 사진…검찰, 통일교 前금고지기 입건 랭크뉴스 2025.05.03
47424 엑스박스 등 줄줄이 가격 인상… 게임 업계도 관세 여파 랭크뉴스 2025.05.03
47423 [단독] 윤석열 집 압색영장에 ‘유엔 제5사무국 유치’ 통일교 청탁 적시 랭크뉴스 2025.05.03
47422 시아준수 협박해 8억 뜯어낸 여성 BJ, 2심서도 징역 7년 랭크뉴스 2025.05.03
47421 철거되는 미아리 텍사스… 쫓겨난 여성들, 갈곳이 없다 랭크뉴스 2025.05.03
47420 방통위, SKT 해킹 사고 관련 스미싱 미끼 문자 주의보 발령 랭크뉴스 2025.05.03
47419 러시아 노래 번역해 부르는 북한군…식탁엔 고춧가루 랭크뉴스 2025.05.03
47418 보신탕집 버려지기 전, 쇠목줄 묶인 마당개 찾아온 기적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5.03
47417 노가다가 아닌 노동자로 살자, 노동하는 현장에서 글을 뿜자 [.txt] 랭크뉴스 2025.05.03
47416 트럼프 압박에도 "美 제조 안 해"…'실적 선방' 애플 이곳 택했다 랭크뉴스 2025.05.03
47415 美 "韓, '상대 동의없이 모국 데려간 자녀 송환 협약' 준수안해" 랭크뉴스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