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9일 백악관 기자회견장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29일(현지시각) “미국이 인도, 한국, 일본과 무역협상에서 진전을 보고 있다”며 ‘이들 국가들이 선거 전에 미국과 성공적인 협상을 해결하려고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 ‘7월 8일’까지 차분히 협상해 6월 조기 대선 이후 마무리짓도록 하겠다는 한국 정부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인도와 매우 가까워졌다고 생각한다”며 인도와 협의가 가장 진전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잡혀가는 것을 볼 수 있고, 일본과도 실질적인 대화를 나눴다”고도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 24일 미국 워싱턴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베선트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관세 문제를 논의하는 ‘2+2 고위급 통상 협의’를 연 바 있다.

그는 오는 6월 3일로 예정된 한국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 탓에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반대 방향”이라며 “이들 정부는 실제로 선거에 들어가기 전에 무역 협정의 틀을 완성하길 원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미국과 성공적으로 협상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이 협상 테이블에 훨씬 더 적극적으로 나와 이 일을 끝내고, 그 성과를 가지고 선거운동을 하길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는 협상 뒤 최 부총리 등이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인 7월 8일까지 차분히 협상하겠다고 밝힌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최 부총리는 미국에서 협상 뒤 “한국의 정치 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다양한 고려 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미국 쪽의 이해를 요청했다”며 “서두르지 않으면서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를 위한 양국 간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에도 미국 쪽은 “3~4주” 안에 끝내겠다는 입장을 보여, 양국 간 협상 속도를 놓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주부터 양국이 실무협상에 들어간다고 알려진 가운데 베선트 장관의 발언이 나오기까지 실제 어떤 진전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부과한 관세로 인한 공급망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망 충격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소매업체들이 앞서 재고 관리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에 대한 초고율 관세 부과 여파로 5월부터는 미국 내 공급망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관측과 우려를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앞서 시엔비시 방송은 28일 아폴로 글로벌매니지먼트가 최근 투자자 대상 설명 자료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몇 주 안에 미국 내 가게들의 텅 빈 진열대와 팬데믹 때와 같은 물품 부족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이런 관측은 지난 주 월마트 등 미국의 대표 소매업체 대표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한 경고와 같다. 이와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 수준이 중국 기업들에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중국과 무역 협상을 낙관해왔다.

이날도 그는 초고율 관세의 여파로 곧 중국 내 10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이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 함께 나선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자동차 관세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07 이틀만에 SKT 가입자 7만명 이탈…번호이동 쟁탈전 벌어지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6 유심 쓰는 SK텔레콤 ‘태블릿·웨어러블’ 고객 160만명… “해킹 위험에도 유심 교체·보호 서비스 안내 없이 홀대”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5 ‘인구비상사태’라면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예산 ‘0원’에 운영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4 취임 100일에 ‘작전상 후퇴’…“미국서 만든 차는 15% 부품 관세 면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3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2 서울 공시지가 4.02% 올라 2년 연속 상승…강남·용산 5%↑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1 [속보] 북, 최현호 첫 무장체계 시험사격…김정은 "핵무장화 가속화"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0 백종원, 또 논란? ‘자연산 새우’라더니…회사 관계자 “확인 안 했다”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9 [르포]'로봇 입은' 환경미화원 등장…새벽 출동해보니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8 미, 자동차 부품관세 2년간 완화…미국 생산 차값 15% 무관세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7 [속보]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출근길 버스운행 차질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6 로봇 착용했더니 20kg 쓰레기→10kg로 [르포]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5 쪽방촌 장애인이 무료급식소에 가져온 쌀 두 포대 [아살세]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4 통상임금 이견 못 넘었다...서울시내버스, 30일 첫차부터 '준법투쟁'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3 이재명 '정책 4인방'… '막후' 김민석, '경쟁' 윤후덕·진성준, '원조' 이한주[캠프 인사이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2 5월이면 美 상점 매대 텅빈다는데…[글로벌 모닝 브리핑]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1 북한군 붉은광장서 행진하나…푸틴, 北 참가 행사서 열병식 언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90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준법투쟁'에 출근길 차질 우려(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89 [속보]트럼프, 車부품 관세 완화 공식발표…美완성차 2년간 혜택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88 한덕수 대선 출마 초읽기... "출마하겠다" 말만 빼고 다 끝냈다 new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