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호주 빅토리아 정부가 항공기를 이용해 코알라 약 700마리를 살처분해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현지 시각)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빅토리아 정부는 “부즈 빔 국립공원 화재로 먹이를 잃은 코알라들이 더는 고통받지 않도록 전례 없는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부즈 빔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약 2,200헥타르(약 665만 평)의 면적이 불에 탔으며, 이로 인해 코알라의 주 먹이인 유칼립투스 군락도 대부분 소실됐다.

정부는 화재의 직접적인 피해뿐 아니라 지속적인 가뭄, 건강 악화, 식량 부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살처분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살처분은 헬리콥터에서 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침입종 통제에 쓰이던 공중 사살 방식이 토종 야생동물에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 당국은 “국립공원의 험준한 지형과 코알라의 높고 외딴 위치, 화재로 약해진 나무의 위험성 때문에 공중 작전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보호협회 와일드라이프 빅토리아의 리사 팔마 대표는 "산불은 야생동물에 심각한 고통과 죽음을 초래한다”며 “심각한 화상을 입은 동물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자비로운 조치는 안락사"라고 말했다. 이어 “협회의 우선순위는 산불 이후 정부가 사용하는 모든 안락사 방법이 즉각적이며 적절한 감독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빅토리아주 생물다양성 책임자 제임스 토드는 "이번 결정은 결코 가볍게 내려지지 않았다"며 "공중 살처분의 목적은 화재로 고통받는 동물의 고통을 끝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숙련된 수의사, 동물 복지 전문가 등 전문 인력이 참여해 망원경으로 개체의 건강을 평가한 뒤, 30m 이내에서 사살했다고 설명했다.

코알라 전문가이자 디킨대 부교수인 데슬리 위슨도 “그냥 방치하는 것보다는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공중 살처분이 더 자비롭고 동정심이 담긴 대응”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일부 단체들은 이번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국제 환경단체 지구의 벗(FoE)은 “코알라 공중 사살은 호주 최초로, 불쾌한 윤리적 선례를 남겼다”며 “공중에서는 성체 코알라의 정확한 건강 평가를 할 수 없고, 어린 코알라의 생존 가능성도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센트럴 퀸즐랜드대의 롤프 슐라글로프 생태학자 역시 "공중 사격이 실제로 효율적이고 정확한지 의문”이라며 “진짜 문제는 코알라 서식지와 자생 식물 관리 실패에 있다"고 꼬집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57 英테이트모던에 서울 한옥과 광주 극장…서도호의 '집을 거닐다'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6 [대선언팩] 한덕수, 사표는 누가 수리?… “의사표명만으로 충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5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첫차부터 준법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4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노조 “준법투쟁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3 유엔총장 "인도-파키스탄 갈등중재 하겠다" 긴장완화 촉구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2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오전 4시부터 준법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1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첫차부터 준법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0 홍준표캠프 의원들, 洪 탈락 3시간 만에 “김문수 지지”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9 100일도 안 됐는데…단돈 '100만원'에 친딸 팔아넘긴 친모의 최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8 "고양이처럼 되고 싶었는데"…1000만원 들여 시술한 여성의 후회, 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7 김문수·한동훈 3일 결선, 한덕수가 변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6 반등 노리는 韓 세포·유전자치료제…글로벌 진출 도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5 미국인 10명 중 6명 “트럼프 정책으로 경제 상황 악화… 전망도 비관적”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4 관세 불확실성에 美 고용수요 둔화…3월 구인건수 710만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3 美 "美서 만든 車는 가격의 15%만큼 부품관세 미부과"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2 '정계 은퇴' 홍준표 "정치 더 하다가는 추해지겠다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1 트럼프 관세·건설 침체·중국산 과잉·환율까지…철강산업 ‘신용 위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0 “트럼프, 미 협상력 과대평가…관세 당장 철회해도 경기침체 위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39 트럼프 100일, ‘경제 지표 성적표’ 줄줄이 나온다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38 美상무부 “美서 만든 車, 車가격의 15%만큼 부품관세 내지 않아도 돼” new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