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대선을 앞둔 정치권 소식, 오늘은 정치팀 이문현 기자와 결승 대진표가 나온 국민의힘 경선 분석해 보겠습니다.

<탄핵 찬성 vs 반대, 구도 그대로…> 4강에 이어 결승까지도 탄핵 찬성과 반대, 1대 1 그대로 간다는 거죠?

◀ 기자 ▶

네, 경선 주자들 중에서도 탄핵 입장차가 가장 컸던 두 후보가 결승에 진출했습니다.

기자들 사이에선 김문수 후보는 유력하고, 나머지는 홍준표, 한동훈 둘 중 하나일 거란 전망이 많았는데, 결론은 한동훈이었습니다.

앞서 4강 진출 때 탄핵 반대파 나경원 후보를 안철수 후보가 제치면서, 당내 표심이 중도를 의식했다는 분석들이 나왔었는데요.

결승까지도 이 경향이 유지됐습니다.

보수진영 내에서도, 윤석열의 강을 건너야 한다는 표심이 상당 부분 있다는 점이 거듭 확인된 셈입니다.

◀ 앵커 ▶

그런데 이게 묘하더라고요.

<이제 결승인데, 한덕수와 또 결승?>

기사량에서도 그렇고요.

경선 통과한 두 후보보다 다른 주자들 얘기가 더 눈에 띄는 것 같더라고요.

일단 한덕수 총리와의 단일화가 더 주목을 받는 느낌이죠?

◀ 기자 ▶

네, 한덕수 총리 출마가 기정사실로 여겨지다 보니, 국민의힘 경선은 한 총리의 상대를 뽑는 예선전처럼 돼 버렸는데요.

이 묘한 상황에 대한 후보들 입장, 들어보시죠.

[김문수/국민의힘 경선후보]
"당과 또 한덕수 후보도 아직 출마 선언을 안 했지 않습니까?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거 같기도 하고요."

[한동훈/국민의힘 경선후보]
"그렇게 하는 것 자체를 또 이 밖에 계신 분도 동의하지 않으실 거예요. 왜냐하면 갑자기 이렇게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을 한다?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잖아요."

한 총리와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이던 김문수 후보는, 3차 경선을 앞두고선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고요.

상대적으로 부정적이었던 한동훈 후보는, 이번에도 그 입장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 앵커 ▶

이번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 때와 같이 외부 인사를 영입하느냐 이런 의문이 있는 것 같은데, 한 총리가 아직 출마를 선언한 것도 아니고, 입당조차 안 한 상황이잖아요.

앞으로 실제 단일화를 한다면 어떻게 진행될까요?

◀ 기자 ▶

네, 말씀하신 대로 모든 게 불확실한 상황이라, 어느 정도 혼선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홍준표 후보는 비록 탈락했지만, 단일화 방안을 제안했는데, 직접 들어보시죠.

[홍준표/국민의힘 경선후보]
"오늘 두 분이 결승에 올라가면, 한덕수 대행하고 입당을 시켜가지고 '원샷 국민경선'으로 하자."

최종 결승을 두 명이 아니라, 한덕수 총리까지 3명이서 치러야, 한 총리의 당적이나 무임승차 등 논란을 잠재울 수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한 총리가 아직 출마도 안 했고, 시간도 촉박해 현실성은 낮아 보입니다.

한 총리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이번 주말까지 공직에서 사퇴해야 하고, 국민의힘 최종후보는 토요일 결정됩니다.

한 총리가 출마하면 보수진영 대선구도 다음주까지 계속 요동칠 것 같습니다.

◀ 앵커 ▶

그런데 한 총리도 그렇지만 기사들 보면, 경선 통과한 두 후보보다 어쩌면 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게, 오히려 경선 탈락한 홍준표 후보 같단 느낌도 들더라고요?

오늘 정계 은퇴를 선언했죠?

◀ 기자 ▶

결과 발표 직후, 홍 후보가 정계 은퇴를 선언하면서, 잠시 송별회 같은 분위기가 연출됐는데, 이 상황부터 직접 보시죠.

[김문수/국민의힘 경선후보]
"아마 1996년 15대 때부터 저와 같이 국회의원을 하면서 같은 상임위에서, 또 그리고 항상 같이 해 왔는데,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한동훈/국민의힘 경선후보]
"몇 년만 더 먼저 뵀다면 저는 '홍준표계'가 되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정치인 홍준표는 정치인 이전에 모래시계 검사도 유명했죠.

권력에 칼을 겨눴던 대쪽같은 이미지에 반값 아파트 같은 서민정책도 각광을 받았습니다.

톡쏘는 사이다 발언으로 '홍카콜라'라는 애칭도 붙었었는데요.

물론 박정희 우상화나 막말 논란도 있었는데요.

풍운아 같았던 지난 30년을 뒤로 하고 정계를 은퇴하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 이지호 / 영상편집 :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59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노조 “준법투쟁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8 韓대행 측 관계자, 여의도 나경원 캠프 사무실에 입주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7 英테이트모던에 서울 한옥과 광주 극장…서도호의 '집을 거닐다'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6 [대선언팩] 한덕수, 사표는 누가 수리?… “의사표명만으로 충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5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첫차부터 준법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4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노조 “준법투쟁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3 유엔총장 "인도-파키스탄 갈등중재 하겠다" 긴장완화 촉구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2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오전 4시부터 준법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1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첫차부터 준법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50 홍준표캠프 의원들, 洪 탈락 3시간 만에 “김문수 지지”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9 100일도 안 됐는데…단돈 '100만원'에 친딸 팔아넘긴 친모의 최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8 "고양이처럼 되고 싶었는데"…1000만원 들여 시술한 여성의 후회, 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7 김문수·한동훈 3일 결선, 한덕수가 변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6 반등 노리는 韓 세포·유전자치료제…글로벌 진출 도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5 미국인 10명 중 6명 “트럼프 정책으로 경제 상황 악화… 전망도 비관적”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4 관세 불확실성에 美 고용수요 둔화…3월 구인건수 710만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3 美 "美서 만든 車는 가격의 15%만큼 부품관세 미부과"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2 '정계 은퇴' 홍준표 "정치 더 하다가는 추해지겠다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1 트럼프 관세·건설 침체·중국산 과잉·환율까지…철강산업 ‘신용 위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640 “트럼프, 미 협상력 과대평가…관세 당장 철회해도 경기침체 위험” new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