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의 한 SK텔레콤 대리점에 '유심 재고' 관련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가입자를 보유한 SK텔리콤에서 해킹 사고 이후 가입자가 빠르게 빠져나가고 있다.
2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SK텔레콤 가입자 1665명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했다. KT로 이동한 가입자가 1280명,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가입자가 385명이다.
알뜰폰으로 이동한 이용자까지 합치면 이탈자는 더욱 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가입자가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2300만명인 만큼 평소에도 가입자가 늘기보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달 들어 가입자 이탈이 많은 날도 그 수가 200명을 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가입자가 1000명 이상 이탈한 것은 해킹 사고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이날은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려는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번호이동에 필요한 동의를 받는 SK텔레콤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려 해당 업무가 중단됐다는 소문도 온라인상에서 떠돌았다.
SK텔레콤은 이 같은 전산오류는 없었다고 밝혔다.다만 유심과 번호이동 등 문의 고객이 몰리면서 SK텔레콤 고객센터가 연결에 난항을 빚고 있는 것은 맞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다른 통신사에서 자사로 이동하는 고객에게 큰 규모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최신 플래그십 제품 갤럭시 S25 기본 모델은 다른 통신사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이동 시 현금 완납 기준 5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
일부 판매점에서는 갤럭시 S25가 ‘공짜폰’으로 풀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영업 실적을 우려한 일부 대리점, 판매점들이 기존 유심을 무상 교체 서비스에 이용하지 말고 최대한 판매 건 위주로 사용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알려지며 유심을 교체하지 못한 이용자들이 불만을 터뜨리기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이 같은 판매 정책에 대해 “단통법은 7월 말 폐지 예정으로 아직 살아있기 때문에 관련 규정 위반 여부가 있을 경우 휴대전화 유통점에 대해 조사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신사들이 자율규제에 따라 모니터링 중이며, 문제 발견 시 판매점에 대한 사전승낙 철회, 영업정지 등 제재를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SNS에서는 이러한 SKT의 대처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잘못은 SKT가 했는데 왜 수고롭게 내가 가야 하나' '유심 대기줄이 무슨 코로나 마스크 대기줄 같다'는 등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