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수 이미자가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맥을 이음’에서 열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제공


“꿈 찾아 걸어온 지난 세월 / 괴로운 일도 슬픔의 눈물도 가슴에 묻어 놓고 / 나와 함께 걸어가는 노래만이 나의 생명.”

가수 인생 66년, 마지막 공연의 마지막날인 27일 오후 무대의 막이 오르면서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84)가 나타났다. 1990년 본인이 노랫말을 쓴 ‘노래는 나의 인생’을 부르며 등장한 이미자에 이어 후배 가수 주현미와 조항조, 방송 프로그램 <미스터 트롯 3>와 <미스 트롯 3>의 진진, 김용빈, 정서주가 노래를 함께 부르며 나타났다. 어느덧 무대에는 전통가요의 맥을 잇는 가수 3대가 나란히 섰다.

1959년 ‘열아홉 순정’으로 데뷔한 이후 66년 동안 대중들과 함께 울고 웃어 온 이미자가 이날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 - 맥(脈)을 이음’을 끝으로 무대에서 내려왔다. 이날 무대에서 이미자는 ‘은퇴’라는 두 글자를 직접 언급하는 것은 꺼렸다. 하지만 본인의 이름을 타이틀로 내건 마지막 무대라는 점은 분명히 했다.

이미자는 “거창하게 은퇴까지 말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앞으로는 무대에 안 오르는 게 아니라 못 오르는 것”이라며 “음반이나 콘서트는 더 할 생각이 없고, 후배가수들을 위한 조언이나 오늘 함께한 후배 가수의 게스트 정도라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맥을 이음’이란 공연 타이틀에 걸맞게 후배 가수들이 60년 넘도록 사랑받아온 이미자의 레퍼토리를 연이어 불렀다. 주현미가 ‘아씨’와 ‘여자의 일생’을, 조항조가 ‘흑산도 아가씨’와 ‘여로’를 열창할 때 객석에서는 박수가 터져나왔다. 뒤이어 정서주가 ‘눈물이 진주라면’과 ‘황포돛대’를, 김용빈이 ‘아네모네’와 ‘빙점’을 소화했다. 노래가 흐를 때 배경에는 이들 노래가 주제곡으로 쓰인 1960년대와 70년대 흑백 영화와 TV드라마 속 장면들이 나와 관객들의 심금을 울렸다.

가수 조항조, 주현미, 이미자, 정서주, 김용빈(왼쪽부터)가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맥을 이음’에서 열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제공


하늘색 드레스로 갈아입은 그는 66년 전인 1959년 데뷔곡 ‘열아홉 순정’을 시작으로 ‘황혼의 부르스’, ‘기러기 아빠’를 소화했다.

26~27일 이틀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번 공연은 총 6000석의 객석이 금세 매진됐다. 세종문화회관은 1989년 데뷔 30주년 때부터 5년 단위로 대형공연을 했던 곳이다. 앞으로 다시 볼 수 없을 ‘살아있는 가요계 전설’의 공연을 찾은 이들은 주로 머리가 허옇게 새고 허리가 굽은 고령층 관객이 대부분이었다. 대중가요는 사람을 ‘그때 그 시절’로 순간이동 시키는 타임머신 같은 마법의 힘이 있다. 게다가 당대 최고의 인기 가수이자, 최고로 노래를 잘 하는 가수의 공연이니 더 말할 필요가 있을까.

사랑받은 대중가요는 그 자체가 민중의 역사나 다름없다. 공연 후반부에는 출연 가수들이 1920년대 ‘황성옛터’부터 시작해 ‘귀국선’, ‘해방된 역마차’, ‘전선야곡’, ‘가거라 삼팔선’ 등 일제시대부터 한국전쟁 전후까지 격동의 역사를 노래로 들려줬다.

공연 진행자 황수경 아나운서가 ‘팬들께 마지막 한 마디’를 부탁하자, 이미자는 “여러분이 계셨기에 그 은혜로 오늘까지 행복한 무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라며 “감사하다는 말씀 가지고는 부족할 정도”라고 말했다. 으레 팬들에게 하는 공치사가 아니었다. 이미자는 “66년 동안 가슴 아프고 못 견딜 정도의 시간도 많았다”며 대표곡 ‘동백 아가씨’의 금지곡 지정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35주 동안 방송 차트 1위하던 곡이 하루 아침에 금지곡으로 묶였을 때 제 심정은 정말 죽어야 될까 하는 마음이었다”라고 했다. 이어 “그 곡이 22년 만에 해금됐고 그건 여러분의 사랑과 은혜 덕분”이라고 말하자 객석에서는 박수가 터져나왔다.

가수 이미자가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맥을 이음’에서 열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제공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이 노래 ‘동백아가씨’가 울려퍼질 때였다. 배경 영상으로 동백꽃 꽃잎이 흩날리는 가운데 이미자는 ‘헤일 수 없이 수많은’ 무대에서 불렀을 그 노래를 어느 때보다 절절하게 불렀다.

데뷔 50주년이던 2009년 발표한 ‘내 삶에 이유 있음은’을 거쳐 관객 3000명과 함께 ‘떼창’으로 불려진 ‘섬마을 선생님’을 끝으로 공연은 마무리됐다. 공연이 끝날 때 무대 화면에는 “오늘을 오래 오래 기억할게요”라는 문구가 지나갔고, 퇴장하던 한 관객은 “이제 세종문화회관은 올 일이 없네”라고 혼잣말을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75 "증언 거부합니다" 859회…입 꾹 닫은 정진상, 검찰과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29
45474 이 “좌든 우든 뒤로만 가지말자” 랭크뉴스 2025.04.29
45473 [속보]대구 산불 진화율 54%···야간 진화에 수리온 헬기 2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29
45472 트럼프, 캐나다 총선일에 “美 51번째 주 되면 전 산업 4배 성장” 랭크뉴스 2025.04.29
45471 대구 산불 진화율 54%... “야간 방어선 구축, 해 뜨면 헬기 투입” 랭크뉴스 2025.04.29
45470 푸틴의 사흘 휴전선언에…美백악관 "트럼프는 항구적 휴전 추구" 랭크뉴스 2025.04.29
45469 'SNL 출연' 한동훈 인증샷에 정성호 "저 아닙니다"…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9
45468 꽃가루 알레르기 있으면 생과일·채소에도 목이 간질간질 랭크뉴스 2025.04.29
45467 산림청 “대구 북구 산불 진화율 54%” 랭크뉴스 2025.04.29
45466 무심코 먹었다간 큰일…청산가리 1000배 독성 '이 음식' 먹고 마비 온 60대 랭크뉴스 2025.04.29
45465 추기경 80%가 첫 콘클라베…시작도 전에 은밀한 로비전 랭크뉴스 2025.04.29
45464 박찬대·김민석 ‘新친명’ 전면에… ‘경기도 라인’도 중앙정치로 랭크뉴스 2025.04.29
45463 한덕수가 부릅니다 “나 나나나 난난나나나난…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29
45462 후지산 정상에 폰 놓고 왔어요…4일 만에 2번 구조된 대학생 랭크뉴스 2025.04.29
45461 "30평 아파트 사려면 74년?…강남만 웃은 尹 3년" 랭크뉴스 2025.04.29
45460 나흘전 간신히 구해놨더니…中남성 또 후지산 오른 '황당 이유' 랭크뉴스 2025.04.29
45459 [단독] 국회개헌자문위, 헌법서 63년된 ‘검사영장청구권’ 삭제 검토 랭크뉴스 2025.04.29
45458 대구 함지산 산불…산불 3단계 야간 대응, 진화율 47% 랭크뉴스 2025.04.29
45457 러, 북한군 훈련 영상 첫 공개…5만명 파병설도(종합) 랭크뉴스 2025.04.29
45456 ‘785억 부당대출 혐의’ 기업은행 전·현직 직원 구속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