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음달 말부터 주말 및 공휴일에 열차표 반환 수수료가 올라간다. 왼쪽은 SRT, 오른쪽은 KTX-산천 열차. 뉴스 1
다음 달 말부터 주말과 공휴일에 열차 출발 시각에 임박해서 기차표를 반환하면 수수료를 종전보다 2배로 물어야 한다. 낮은 위약금을 악용해 일부 승객이 좌석을 다량 예매한 뒤 출발 직전에 환불하는 탓에 다른 승객이 제때 좌석을 못 구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서다.

27일 국토교통부와 코레일, SR에 따르면 다음달 28일에 출발하는 열차부터 주말·공휴일의 열차 위약금(취소 수수료) 규정이 바뀐다. 열차 출발 시각 전후로 위약금 기준이 올라가고, 기준 시간도 더 세분된다.

현재는 주말(금~일)과 공휴일 열차 이용 때 위약금이 ▶출발 1일 전까지는 400원 ▶출발 3시간 전 5%(열차요금 기준) ▶출발 3시간 이내~출발 전까지 10% ▶출발 뒤 20분 이내 15% ▶출발 뒤 20분~60분 40% ▶출발 뒤 60분~도착까지는 70%다.

하지만 5월 말부터는 ▶출발 1일 전 5% ▶출발 3시간 전 10% ▶출발 3시간 이내~출발 전 20% ▶출발 뒤 20분 이내 30%로 인상된다. 출발 뒤 20~40분과 출발 뒤 60분~도착은 종전과 같다.

이에 따라 출발 20분 전에 열차표를 반환하는 경우 요금이 3만원이었다면 위약금이 현재는 3000원(10%)이지만 앞으로는 6000원(20%)으로 2배가 된다. 출발 직후 역시 취소수수료가 2배다.

강욱 국토부 철도운영과장은 “주말과 공휴일 위약금 기준을 강화함으로써 좌석 회전율을 높이고, 빠른 환불 결정과 실수요자의 적기 예매를 유도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승차권 없이 열차를 탔을 때 부과되는 부가운임 기준도 10월부터 강화된다. 부가운임은 기준운임에 더해서 청구하는 요금으로 부정승차에 대한 벌금이나 마찬가지다. 현재는 승차권 미소지 때 부가운임 기준이 열차요금의 50%이지만 앞으론 100%로 인상된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열차표 없이 KTX를 탔다가 적발되면 지금은 기준운임(5만 9800원)에 부가운임 50%를 더해서 8만 9700원을 부과하지만, 앞으로는 부가운임 100%가 적용돼 모두 11만 9600원이 청구된다.

또 단거리 구간의 승차권을 구입해 열차에 탄 뒤 해당 구간을 넘어서 더 먼 구간까지 탑승하는 경우에도 부가운임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정비했다. 지금까지는 부가운임 없이 실제 탑승구간의 요금만 받았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부산까지 타고 가지만 열차표는 서울-대전 구간만 끊은 경우 현재는 서울-부산 요금(5만 9800원)만 더 받지만, 앞으론 대전-부산 구간에 대해 부가운임이 부과돼 모두 9만 6100원이 징수된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누구에게나 공정한 열차 서비스 이용 기회를 보장하고, 쾌적한 이용 환경을 만들기 위해 취소수수료와 부가운임을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열차 내 질서 유지와 고객 보호를 위한 규정도 신설된다. 개정 여객운송 약관에는 ‘다른 여객에게 불쾌감이나 위험 등의 피해를 주는 행위 금지’ 조항이 추가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소음, 악취 유발 등 다른 승객의 열차 이용을 방해하면 열차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21 "하늘나라 간 엄마의 마지막 선물"…유품 정리하다 나온 복권, 당첨금 무려 랭크뉴스 2025.04.27
49620 한덕수 사퇴 시한 일주일 남았다‥보수 대권구도 이번 주가 분수령 랭크뉴스 2025.04.27
49619 이재명 “선대위는 넓게…친소관계 아닌 실력 중심으로 사람 쓰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618 “건강하게 못 낳아줘 미안”…·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7
49617 교황님 누워계신데 셀카 찍다니…교황청, 조문객 촬영 금지령 랭크뉴스 2025.04.27
49616 결국 ‘이재명이냐 아니냐’… 등 돌렸던 0.7%p 움직일까 랭크뉴스 2025.04.27
49615 장례미사에 파란정장·대성당 즉석회담…트럼프 '마이웨이' 랭크뉴스 2025.04.27
49614 “국민 세금으로 메운다?” 건강보험 적자 11조원 넘어 랭크뉴스 2025.04.27
49613 "은퇴란 말은 하기 싫지만..."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 66년 음악 인생 마무리 랭크뉴스 2025.04.27
49612 경기 광주서 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 채 발견…현장엔 유서 랭크뉴스 2025.04.27
49611 단식부터 흉기 피습, 총선 압승에 뒤집힌 사법리스크까지... '어대명' 만든 5가지 장면 랭크뉴스 2025.04.27
49610 빨리 찾아온 세 번째 기회‥'실용주의'로 중도 표심 잡나? 랭크뉴스 2025.04.27
49609 "슬픔 아닌 희망으로 보내"... 교황의 마지막 길, 한국인 1000명 배웅 랭크뉴스 2025.04.27
49608 ‘감세 경쟁’ 제동 걸고 공약 차용… 2위에도 웃은 김동연 랭크뉴스 2025.04.27
49607 "국민 도구 될 준비된 후보‥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606 169개월간 매달 100만원…부산대 흉부외과 교수의 '기부할 결심' 랭크뉴스 2025.04.27
49605 이재명, 한덕수 출마 임박 관측에 "내란 세력 귀환" 비판 랭크뉴스 2025.04.27
49604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89.77% 역대 최대 득표율 랭크뉴스 2025.04.27
49603 김동연∙김경수 지지자도 환호했다…이재명 수락연설 어땠길래 랭크뉴스 2025.04.27
49602 '베이루트 참사' 닮은 이란 항구 대폭발…"고체연료 물질 보관"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