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도권에 거주하는 직장인 권모(33)씨는 지난해부터 실거주용 서울 아파트 매매를 준비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계엄령과 대통령 탄핵 및 파면, 조기 대선 정국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고민이 깊어졌다.

권씨는 “정권이 어떻게 되든 집값에는 큰 변화가 있을 것 같아서 조심스럽게 관망하고 있다”며 “현재까진 어느 후보도 정책이나 공약의 실체가 명확하지 않으니까 쉽게 덤벼들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임장을 다니면서 느낀 점도 털어놨다. 권씨는 “제 예산 바깥 범위긴 하지만 ‘돈 많은 사람들한테는 매력적이겠다’ 싶은 집들도 안 나가고 있어서 요즘 분위기 자체가 엄청 조심스러운 게 느껴졌다”며 “집을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중에 후회하면 안 되니까 전세로 일단 살다가 나중에 기회를 볼까 하는 생각도 좀 생겼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탄핵정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됐지만, 곧바로 이어지는 조기대선으로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는 계속되고 있다. 여전히 부담스러운 금리수준과 경기침체 영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정권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확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에 섣불리 나서지 못하는 모습이다.

한편에선 정권교체 가능성이 존재함에 따라 과거 진보 정권에서의 폭등을 경험했던 이들은 매매를 서둘러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40대 서울 직장인 이모씨는 “문재인정부 당시 정책적으로 가격 폭등을 부추긴 면이 있었음에도 이를 시장의 탐욕이라고만 했다”며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해 이번에도 집값이 또 폭등할 것 같다. 눈높이를 낮춰서라도 얼른 사야 하나 고민 중이다”라고 말했다.

집을 팔려는 이들도 매물을 거둬들이며 관망 중이다. 지난 26일 아실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이 파면 직후인 지난 5일 대비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매물(매매 기준)이 늘어난 곳은 한 곳도 없다. 특히 행정수도 이전이 또 거론된 세종에서 -18.4%(7582건→6191건)를 기록했다.

서울은 25개 구 중 19곳의 매물이 줄었다. 서초구가 –9.4%(6165건→5587건)로 가장 감소율이 컸고 용산구 –9.0%(1725건→1570건), 광진구-6.9%(1975건→1840건) 송파구 –6.8%(5538건→5165건), 성동구 -5.8%(2995건→2822건) 마포구 –4.9%(3292건→3132건) 순이었다.

건설사들은 분양 일정을 대선 이후로 연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선 기간 네이버 같은 포털은 접속자가 많이 몰리는 황금시간대에 대선 광고를 주로 배치한다”며 “가뜩이나 미분양 적체로 걱정이 많은데 가장 광고 효과가 좋은 포털에서 주요 시간대 광고가 막힐 수 있어 아예 하반기로 미루는 게 낫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초 서울 부동산 시장을 뒤흔든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의 해제 여부도 관심사다. 서울시와 정부는 지난 3월 24일부터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에 토허제 확대 재지정을 하며 9월말까지 한시적으로 적용키로 했다.

시장에서는 토허제 해제가 어려울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자칫 지난 2~3월처럼 또 다시 서울 부동산 폭등이 재연될 수 있어 이제 갓 출범한 정권이 무리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10월이면 아직 새 정권 초기일 텐데 괜히 해제를 했다가 2~3월처럼 또 폭등해버리면 새 정권이 출발하자마자 부담이 된다”며 “특히 민주당은 부동산과 관련해 주홍글씨가 있어서 더 쉽지 않다. 새 정부는 어떻게든 집값을 잡고 있다는 메시지를 주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도 “토허제 해제로 집값이 폭등하는 것을 시장에서 모두 목격했기 때문에 10월 해제가 쉽진 않을 것 같다”이라면서도 “일부 지역에서 핀셋 조정을 할 가능성은 있다”고 예상했다.

토허제 해제를 계속해서 미룰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언제까지 재산권 행사를 규제할 수 없고, 가격이 오르는 것은 예견된 일인데 바로 똑같은 방식으로 규제를 한 건 악수였다”며 “해제한 뒤 전국적으로 다 가격이 뛸 만큼 경제가 좋은 것도 아니기 때문에 시장 자율에 맡겨놓고 너무 과열되면 투기과열지구 등 다른 방식으로 규제의 종류나 시점, 규모를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597 경기 광주시 한 상가건물서 신원 미상 남성 시신 발견... 경찰, 수사 중 랭크뉴스 2025.04.27
49596 김동연 "이재명 후보가 승리의 길 이끌 것" 승복 랭크뉴스 2025.04.27
49595 SKT "유심 무상 교체" 발표에 주말 대리점 앞 길게 늘어선 줄 랭크뉴스 2025.04.27
49594 韓대행, 소수정예로 캠프 구성까지 마쳤다 랭크뉴스 2025.04.27
49593 ‘경선 3위’ 김경수 “이재명 당선 위해 제 선거처럼 뛰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592 이재명 "헌법 파괴, 내란 행위" 한덕수 직격... "기재부는 부처 왕 노릇" [일문일답] 랭크뉴스 2025.04.27
49591 이재명 “지금 이 순간부터 이재명은 모든 국민의 후보” 랭크뉴스 2025.04.27
49590 SKT “유심 복제 피해 시 100% 책임…5월 내 유심 600만개 확보” 랭크뉴스 2025.04.27
49589 트럼프만 왜 파란 양복을…교황 장례식 ‘복장 논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7
49588 윤석열이 받은 ‘투르크’ 국견 2마리···사육비는 서울대공원이? 랭크뉴스 2025.04.27
49587 기관 사칭 ‘SKT 스마트폰 재부팅’ 요구 문자, 절대 응하지 마세요 랭크뉴스 2025.04.27
49586 프란치스코 교황 무덤 일반 공개…성모대성전에 긴 줄 랭크뉴스 2025.04.27
49585 민주당 대선후보로 이재명 선출…89.77% 최고 득표율 랭크뉴스 2025.04.27
49584 최상목 "한미간 통상협의 물꼬 텄다…질서있는 협의 기본틀" 랭크뉴스 2025.04.27
49583 ‘열아홉 순정’ 이미자 66년 노래 인생 마침표…마지막 무대까지 ‘엘리제 여왕’이었다 랭크뉴스 2025.04.27
49582 [속보]SKT “유심 복제 피해 발생 시 100% 책임질 것” 랭크뉴스 2025.04.27
49581 이재명, 민주 대선후보 선출…90% 육박 역대 최고득표율로 두번째 본선행(종합) 랭크뉴스 2025.04.27
49580 유심 대란 조짐…SKT 2500만명 다 바꾸면, 지점당 1000명 감당해야 [팩플] 랭크뉴스 2025.04.27
49579 ‘이재명의 사람들’은 누구인가···성남·경기라인, 7인회, 2기 지도부 랭크뉴스 2025.04.27
49578 SKT "유심 복제 피해 시 책임 보상…5월 내 유심 600만개 확보"(종합)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