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거제씨월드에서 지난해 9월 새끼 돌고래가 태어난 지 열흘 만에 목숨을 잃었다. 사진은 이달 태어난 또 다른 새끼 돌고래(노란색 원)의 모습. 핫핑크돌핀스 제공


"오히려 상 줘야 할 것 같은데", "고래들 철저히 금욕시키라는 거냐"

경찰이 수족관 내 고래류 자연 증식을 '신규 보유'로 처벌하기는 어렵다
고 결론 내린 것을 비판하는 기사(
본보 4월 19일 보도
)에 달린 댓글이다.

연관기사
• "수족관 내 고래 번식시켜도 처벌 못해?"···동물원수족관법 무용지물 되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817280003466)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것은 분명 기쁘고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수족관 안에서 새끼 돌고래가 태어나는 것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
하고, 걱정하고, 비난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수족관에서 태어난 고래류가 건강하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이들에게 주어진 삶은 혹독
하다.
수족관이 고래류에게 적절한 사육환경을 제공할 수 없다
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망망대해를 누비고 무리와 교류하며 살아야 하는 고래류에게 비좁은 수족관에서 습성을 거스르는 쇼를 시키는 것을 정당화하긴 어렵다.

동물자유연대와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이 거제씨월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설 폐쇄를 촉구했다. 동물자유연대 제공


실제
수족관에서 태어난 고래류는 오래 살지 못한다
. 지난해 9월 기준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
에 따르면
퍼시픽리솜(옛 퍼시픽랜드)과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 거제씨월드
에서 태어난
돌고래의 사망은 확인된 사례만 10건에 달한다.
확인되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족관에서 태어난 고래 중 살아있는 경우는 3마리
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23년 12월부터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시행
을 통해
동물원, 수족관이 고래류를 새로 '보유'하는 것을 금지
하고 있다. 논란이 된 건
거제씨월드에서 태어난 고래가 '신규 보유'에 포함되는지
여부였다.

제주 돌고래체험장 퍼시픽리솜(옛 퍼시픽랜드)에서 돌고래체험시설인 거제씨월드로 무단 반출돼 지내고 있는 큰돌고래 '아랑'과 새끼 돌고래. 핫핑크돌핀스 제공


경남경찰청과 거제경찰서
는 "수족관에서 번식을 해도 된다는 건 아니지만 처벌하기는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동물원수족관법은 특별법이므로 고의범 처벌을 기본으로 하는데
고의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는 것이었다. 또 자연 증식 개체가 금지 대상에 포함되더라도
시설 부재 등으로 보낼 곳이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
도 들었다.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경찰이 제시한 이유에 대해 이미 처벌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내고 근거를 대는
'답정너식'에 불과하다
고 비판했다. 해양동물전문 수의사인
이영란 플랜오션 대표
는 "야생에서 암수는 따로 살다 번식을 위해서만 만난다"며 "함께 생활하면 번식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번식이 될 걸 알면서도 한 수조에 뒀다는 건 고의적이라는 얘기다.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 살고 있는 아기돌고래 고장수(오른쪽)의 다섯 번째 생일을 맞아 수족관 앞에 생일케이크가 놓여있다. 고생생태체험관 제공


한재언 동물자유연대 법률지원센터 변호사
는 "사후 방안이 없다고 처벌하지 못한다는 건 법률에 근거가 없는 자의적 해석"이라고 했다. 자연 증식 개체가 금지 대상에 포함된다면 그대로 처벌하고, 이후에 몰수한다면 고래를 다른 수족관으로 보내는 방법을 찾으면 될 일이다.

수족관 내 번식이 이뤄지면 어떻게 할지, 앞으로 대책은 있는지
해수부에 물었다
. 해수부 관계자는 "가정해서 말할 수는 없다. 구체적 상황이 됐을 때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만 내놨다. 법 취지가 좋더라도
실효성이 없다면 무용지물
일 뿐이다.
수족관에 남아 있는 고래류 20마리를 생각하면 답답하고 미안하다
.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31 강원 인제 산불 대응 2단계 격상…인근 주민 대피 랭크뉴스 2025.04.26
49130 ‘나경원 컷오프’에 민주 박성민 “드럼통 들어간 게 무리수” 랭크뉴스 2025.04.26
49129 ‘캐스팅보트’ 중도층이 움직인다 랭크뉴스 2025.04.26
49128 트럼프 "시진핑과 여러차례 대화"…中 "협상 없었다" 거듭 부인 랭크뉴스 2025.04.26
49127 의대생 수업복귀 설문에 강경파 의대협 "모두 동의해 달라"…왜? 랭크뉴스 2025.04.26
49126 팽팽한 기싸움... 중국 "관세 대화 시작했다는 미국 주장은 완전 거짓" 랭크뉴스 2025.04.26
49125 익산서 부모 흉기로 찔러 살해한 30대 긴급체포… "정신과 치료 전력" 랭크뉴스 2025.04.26
49124 DJ 6번 외친 이재명 "호남 없이 나라 없다, 네 번째 민주정부 만들어달라" 랭크뉴스 2025.04.26
49123 美 엡스타인 성착취 폭로 핵심증인…호주 자택서 숨진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6
49122 교황 마지막 휴가는 67년전…만류에도 “일하다 떠나겠다” 랭크뉴스 2025.04.26
49121 [속보] 인제 하남리 산불 '소방대응 2단계' 발령‥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4.26
49120 [속보]인제 산불 확산…산불 대응 2단계 격상, 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4.26
49119 건조주의보 속 강원 인제 산불…산림청 산불 1단계 발령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6
49118 시진핑 “AI 역량 여전히 부족, 주도권 확실히 잡아야” 랭크뉴스 2025.04.26
49117 간부 딸 결혼식서 ‘꽃가마’ 들었다…코레일 직원들 가마꾼 동원 논란 랭크뉴스 2025.04.26
49116 국민의힘 "이재명 '정치보복 안 한다' 발언? 강한 부정은 강한 긍정" 랭크뉴스 2025.04.26
49115 文, 김정숙 여사와 함께 찍은 사진 올리며 "아무 걱정하지 말아요" 랭크뉴스 2025.04.26
49114 불안한 SKT 가입자들, 무상 교체 전부터 유심 바꾸려 긴 줄 랭크뉴스 2025.04.26
49113 익산서 부모 살해 30대 긴급체포…범행 후 흉기 난동(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6
49112 재건축·재개발에서 사감정을 하는 이유[박효정의 똑똑한 감정평가]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