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갤러거 교황청 국무원 외무장관 BBC 인터뷰
“이민자들 숫자 아닌 인간으로 기억하라 당부
제게 남긴 마지막 말씀은 유머감각 잃지 말라”
지난 23일(현지시간)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안치된 로마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에 일반 신자들이 조문을 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근 몇 년간 업무를 줄이라는 주변의 만류에도 “끝까지 일하다가 죽음을 맞고” 싶어했다고 교황청 국무원 외무장관 폴 갤러거 대주교가 밝혔다.

25일(현지시간) 공개된 BBC 인터뷰에서 갤러거 대주교는 교황이 이처럼 업무를 계속한 것은 힘 없는 이들을 도울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갤러거 대주교는 2014년 국무원 외무장관을 맡으며 교황의 국외 출장에 동행해왔다.

갤러거 대주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마지막으로 휴가라는 것을 간 때가 지금으로부터 “66년이나 67년 전”인 것 같다고 말했다.

갤러거 대주교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예의 바르고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었지만,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알고 있어 주변 사람들의 조언과 반대되는 행동을 종종 했다고 회고했다.

그는 “내가 교황에 대해 항상 존경했던 한 가지는 그분이 어려운 일 앞에서 도망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내가 처음부터 그의 이런 태도에 동의했던 건 아니지만 그는 문제에 정면으로 맞섰고 놀라운 용기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갤러거 대주교는 “교황은 목소리가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였고, 대다수의 사람이 무력하며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매우 잘 알고 있었다”며 “교황은 그들을 위해 조금이라도 더 나은 상황을 만들기 위해 기여할 수 있다고 느꼈던 것 같다”고 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쟁에 휘말린 이민자와 여성, 아동의 고통에 마음을 썼다고 갤러거 대주교는 평가했다. 2013년 즉위한 교황의 첫 해외 출장지는 지중해의 이탈리아령 람페두사 섬이었다. 그곳에서 교황은 중동과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을 만났다. 이후 교황은 60여개국을 방문했지만 보좌진이 방문을 만류한 나라들도 있었다.

교황이 내전으로 황폐해진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 방문하겠다고 했을 때 많은 고문들은 “너무 위험하다”고 말렸다고 한다. 하지만 교황은 “어쨌든 나는 그곳에 갈 거고, 만약에 아무도 안 가고 싶어 한다 해도 괜찮다. 나 혼자 가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갤러거 대주교는 “그 말은 우리를 부끄럽게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결국 교황은 2015년 자신이 원한 대로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을 방문했다.

교황은 주변에 이민자들을 단순한 “숫자”가 아닌 인간으로 기억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2주 전 교황이 갤러거 대주교에게 마지막으로 남긴 말은 “유머 감각을 잃지 말라”는 조언이었다고 한다.

지난 23~25일 성 베드로 대성당에 교황의 시신이 안치되는 동안 무려 25만 명이 조문을 다녀갔다. 그의 장례식은 26일 오전 10시(한국시간 오후 5시)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45 최태원 '웃고' 이재용 '울고'...뒤바뀐 반도체 '최강자' 랭크뉴스 2025.04.27
49344 ‘유심’ 대란 일어나나...SKT 가입자들 ‘발 동동’ 랭크뉴스 2025.04.27
49343 트럼프·젤렌스키, 교황 장례식서 회동…무슨 얘기 나눴나 랭크뉴스 2025.04.27
49342 ‘노후 하강’ 중인 우주정거장...‘트럼프 칼바람’ 맞고 급추락 위기 오나 랭크뉴스 2025.04.27
49341 고국서 ‘간첩’ 몰린 재일교포…국가는 또 “소멸시효” 주장 랭크뉴스 2025.04.27
49340 국회 예정처, 기존 사업 정리 대신 빚만 늘린 추경 방식 지적 랭크뉴스 2025.04.27
49339 [샷!] '균이 형' 에드워드 리 랭크뉴스 2025.04.27
49338 3차 연평해전 도발?…김정은, NLL 무시 ‘중간계선해역’ 첫 언급[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27
49337 ‘광주 학동 참사’ HDC현산에 영업정지 8개월 처분 “타당”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4.27
49336 노후화로 '낙하' 중인 국제우주정거장...'트럼프 칼바람' 맞고 급추락 위기 오나 랭크뉴스 2025.04.27
49335 국민의힘, 2차 경선 투표…토론서 설전 랭크뉴스 2025.04.27
49334 민주당, 오늘 대선 후보 최종 선출…호남서도 이재명 ‘압승’ 랭크뉴스 2025.04.27
49333 '소년의 시간'이 던진 불편한 질문... 전 세계가 'SNS 고민'에 빠졌다 랭크뉴스 2025.04.27
49332 오죽하면 러도 北에 SOS 칠까…트럼프, 韓조선업 집착 이유 랭크뉴스 2025.04.27
49331 [르포]시공을 초월한 촬영…북유럽 겨울 숲 산책도, 아마존 밀림 탐험도 이곳서 찍는다 [New & Good] 랭크뉴스 2025.04.27
49330 “집 언제 살까요?” 대선정국 속 오리무중… ①시장은 관망 ②분양은 연기 ③토허제 해제 ‘굳이’? 랭크뉴스 2025.04.27
49329 "박정희 같았으면 목숨 끊었다" 전두환 분노의 백담사 유배 랭크뉴스 2025.04.27
49328 ‘반포·방배’ 분양, 내년으로… 올해 서울 분양 2만가구 밑도나 랭크뉴스 2025.04.27
49327 13세때 대마초 걸려 혼쭐난 소년…'대마초 음료'로 대박난 사연 랭크뉴스 2025.04.27
49326 "헌재의 대통령 탄핵은 헌법적 비극... '민주주의 면역력' 회복 과정 되길"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