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워싱턴특파원단 간담회
"관세, 물가보단 경기 영향
통화정책, 5월 경기예측 바꾸며 생각해볼 것"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세계 각국 당국자 반응 키워드는 '불확실성'
"재정 어려운 상황서 위기 발생 시 대응
가능한지 우려 많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 식당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특파원단.

[서울경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미 2+2 협의에서 미국이 환율 관련 별도의 논의를 하자고 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면이 하나 있다면 정치인이나 무역 분야가 아닌 미 재무부가 이야기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25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 식당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 측이 무슨 이야기를 할지는 들어봐야 할 것 같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미국 정치인, 무역 분야 담당자는 환율정책 관련 우리에 일방적인 요구를 할 수 있겠지만 금융시장을 잘 아는 재무부와 협상을 한다는 것은 그나마 긍정적이란 주장으로 풀이된다. 앞서 24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한미 2+2 회의에서 한미는 기재부와 미 재무부간 환율정책 관련 별도의 논의를 하기로 합의했다.

관세가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치면 우리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우리의 무역구조상 보복관세를 매기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그렇다면 물가보다는 경기 영향이 더 클 것"이라며 "통화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5월 경기예측을 바꾸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를 올리는 미국은 자국 물가 상승 요인이지만 한국은 관세를 안 올린다면 결국 경기둔화만 예상되므로 이에 맞춰 적절한 통화정책을 고려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한 이 총재는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전하며 “미중 협상이 안 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더 연기되더라도 경제적인 비용은 굉장히 크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중국이 전 세계의 공장으로서 역할을 꽤 오래 해왔기 때문에 중국을 건드리지 않고 (무역을) 돌아가게 할 물건이 많지 않다는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고 무역을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 세계가 중국과 많이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회의에서 논의된 시나리오 중에 상호관세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되는 시나리오나 중국을 뺀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는 90일 뒤에 없어지는 시나리오나 성장률 차이가 거의 없었다"며 "이는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가 25%이건 아니건 중국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아졌고 이에 중국이 보복한 효과가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면제 효과를 상쇄시켰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여러 회의를 참석한 결과 키워드는 '불확실성'으료 요약된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IMF도 향후 전망이 어렵다보니 경제전망 시나리오를 3개로 냈고, 일본 중앙은행총재도 기본 시나리오를 어떻게 잡을지 모를 정도로 불확실성이 심해서 경제예측이 어렵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그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국채 가격 등이 크게 변동됐는데, 시장의 기능은 그래도 잘 작동해서 다행이라는 반응도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시장의 깊이가 깊다는 이야기도 했는데, 향후 단기간에 해결이 안 되고 이 상황이 계속될 경우 시장의 회복탄력성이 잘 유지 될 수 있을까. 어려워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에 대한 진단이 많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다른나라 관계자들은) 다들 과거 금융위기 때처럼 선진국의 재정여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위기가 오면 대응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며 "최근 몇년 미국 예외주의로 미국 자산으로의 집중도가 커졌고 비은행금융기관의 부채비율이 올라가서 조정과정이 있으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가설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65 인제 산불, 강풍 타고 확산…'진화율 93%' 야간 진화로 전환 랭크뉴스 2025.04.26
49264 25만명 마지막길 배웅…"모두에게 마음 연 민중의 교황" 랭크뉴스 2025.04.26
49263 푸틴, 美특사에 "우크라와 조건 없는 대화할 준비" 랭크뉴스 2025.04.26
49262 "김수현, 軍서 아이돌 출신과 교제" 새 주장…김새론 교제시기와 겹쳐 랭크뉴스 2025.04.26
49261 끝장토론에도 꿈쩍 않는 하남시에 한전 호소문 쓰고 릴레이 시위까지… 왜? 랭크뉴스 2025.04.26
49260 이란 항구 대규모 폭발 최소 516명 다쳐 랭크뉴스 2025.04.26
49259 美CIA 부국장 아들, 러군 자원해 우크라전 참전…최전방서 사망 랭크뉴스 2025.04.26
49258 “한 대행, 대선 출마 결정 임박”…다음 달 1일 사임할 듯 랭크뉴스 2025.04.26
49257 전광훈 “2년 안에 윤석열 대통령 복귀” “국힘에 희망이 있어 보이나” 랭크뉴스 2025.04.26
49256 인제 산불 야간체제로…양양 포함 370여명 '긴급 대피' 진화율은 93% 랭크뉴스 2025.04.26
49255 김문수·홍준표, 한동훈 ‘협공’…안철수·한동훈 ‘설전’ 랭크뉴스 2025.04.26
49254 프란치스코 교황 영면에 들다…전세계 애도속 장례 엄수(종합) 랭크뉴스 2025.04.26
49253 고양 도로 오수관 공사 현장서 매몰사고로 2명 사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6
49252 강원 인제 큰 산불‥야간 확산 방지 작업 중 랭크뉴스 2025.04.26
49251 국민의힘 ‘4강 토론’, 탄핵 사과·한덕수 차출론 공방... 金·洪 협공 ‘한동훈 때리기’(종합) 랭크뉴스 2025.04.26
49250 이재명, 호남 경선서 88.69% 득표 ‘압승’···민주당, 27일 최종 후보 확정 랭크뉴스 2025.04.26
49249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미사 엄수…전세계 애도 속 영면에 들다 랭크뉴스 2025.04.26
49248 "강풍 잦아들고 헬기 총동원"… 인제 하남리 산불 진화율 93% 랭크뉴스 2025.04.26
49247 전광훈 “2년 안에 윤석열 대통령 복귀…북한 스스로 무너진다” 랭크뉴스 2025.04.26
49246 [여론조사] 대선후보 적합도 이재명 42%·한덕수 11%…‘삼자 가상 대결’서도 이재명 독주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