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워싱턴특파원단 간담회
"관세, 물가보단 경기 영향
통화정책, 5월 경기예측 바꾸며 생각해볼 것"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세계 각국 당국자 반응 키워드는 '불확실성'
"재정 어려운 상황서 위기 발생 시 대응
가능한지 우려 많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 식당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특파원단.

[서울경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미 2+2 협의에서 미국이 환율 관련 별도의 논의를 하자고 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면이 하나 있다면 정치인이나 무역 분야가 아닌 미 재무부가 이야기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25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 식당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 측이 무슨 이야기를 할지는 들어봐야 할 것 같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미국 정치인, 무역 분야 담당자는 환율정책 관련 우리에 일방적인 요구를 할 수 있겠지만 금융시장을 잘 아는 재무부와 협상을 한다는 것은 그나마 긍정적이란 주장으로 풀이된다. 앞서 24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한미 2+2 회의에서 한미는 기재부와 미 재무부간 환율정책 관련 별도의 논의를 하기로 합의했다.

관세가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치면 우리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우리의 무역구조상 보복관세를 매기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그렇다면 물가보다는 경기 영향이 더 클 것"이라며 "통화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5월 경기예측을 바꾸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를 올리는 미국은 자국 물가 상승 요인이지만 한국은 관세를 안 올린다면 결국 경기둔화만 예상되므로 이에 맞춰 적절한 통화정책을 고려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한 이 총재는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전하며 “미중 협상이 안 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더 연기되더라도 경제적인 비용은 굉장히 크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중국이 전 세계의 공장으로서 역할을 꽤 오래 해왔기 때문에 중국을 건드리지 않고 (무역을) 돌아가게 할 물건이 많지 않다는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고 무역을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 세계가 중국과 많이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회의에서 논의된 시나리오 중에 상호관세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되는 시나리오나 중국을 뺀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는 90일 뒤에 없어지는 시나리오나 성장률 차이가 거의 없었다"며 "이는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가 25%이건 아니건 중국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아졌고 이에 중국이 보복한 효과가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면제 효과를 상쇄시켰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여러 회의를 참석한 결과 키워드는 '불확실성'으료 요약된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IMF도 향후 전망이 어렵다보니 경제전망 시나리오를 3개로 냈고, 일본 중앙은행총재도 기본 시나리오를 어떻게 잡을지 모를 정도로 불확실성이 심해서 경제예측이 어렵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그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국채 가격 등이 크게 변동됐는데, 시장의 기능은 그래도 잘 작동해서 다행이라는 반응도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시장의 깊이가 깊다는 이야기도 했는데, 향후 단기간에 해결이 안 되고 이 상황이 계속될 경우 시장의 회복탄력성이 잘 유지 될 수 있을까. 어려워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에 대한 진단이 많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다른나라 관계자들은) 다들 과거 금융위기 때처럼 선진국의 재정여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위기가 오면 대응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며 "최근 몇년 미국 예외주의로 미국 자산으로의 집중도가 커졌고 비은행금융기관의 부채비율이 올라가서 조정과정이 있으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가설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64 교황 뽑는 영화 ‘콘클라베’ 쏠린 관심…사실과 다른 부분은? 랭크뉴스 2025.04.26
49063 민주 오늘 호남권 경선‥국힘 '4자 토론' 격돌 랭크뉴스 2025.04.26
49062 경찰, 56명 죽은 총기 난사 ‘우순경 사건’ 43년 만 사죄 랭크뉴스 2025.04.26
49061 밍크코트, 맞춤양복, 다이아목걸이…그들의 '선물' 변천사 랭크뉴스 2025.04.26
49060 이창용 “미·중 협상 안 되면, 관세 유예 더 길어져도 경제적 비용 커” 랭크뉴스 2025.04.26
49059 CIA 부국장 아들, 우크라 전선서 전사 랭크뉴스 2025.04.26
49058 안철수 "한덕수 출마 포기해야‥김문수·한동훈·홍준표는 '본선 필패'" 랭크뉴스 2025.04.26
49057 더 깊숙이, 더 깊숙이...지하 개발이 파먹은 지구 [최주연의 스포 주의] 랭크뉴스 2025.04.26
49056 [주간코인시황] 규제완화·금리인하 기대감… 비트코인 10% 상승 랭크뉴스 2025.04.26
49055 직관의 재미 ‘야푸정’···야구는 맛있다 랭크뉴스 2025.04.26
49054 "내 아들 건드리면 못 참아" 편의점 사장 협박한 엄마에 벌금형 랭크뉴스 2025.04.26
49053 논산 여관서 화재…투숙객 1명 병원 이송 랭크뉴스 2025.04.26
49052 아버지뻘 택시기사 폭행하고 '문신男' 자랑…막장 유튜버 결국 랭크뉴스 2025.04.26
49051 포르투갈 '교황 애도' 놓고 집안 싸움…"국경일은 지켜야" 시위 랭크뉴스 2025.04.26
49050 “아이스크림 좋아했던 단골손님”…바티칸·로마 상인들도 교황 애도 랭크뉴스 2025.04.26
49049 택시기사 폭행 후 자랑…경찰 조롱 영상도 올린 20대 유튜버 징역형 랭크뉴스 2025.04.26
49048 미국 정부 '언론 제보자 색출' 방침… 트럼프 1기 정책 부활 랭크뉴스 2025.04.26
49047 '원유 4t 누출' 울산 온산공단 사고 원인은 지하 배관공사 랭크뉴스 2025.04.26
49046 오픈런 부른 '딸기시루'서 곰팡이?…성심당 판매중단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26
49045 관악산 연주대 인근서 쉬다가 낙상…심정지 60대 헬기 이송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