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중, 메모리칩 제외 반도체 8종 관세 철회”
항공사 부담 감안 항공기 임대 관련 조치도 검토 중
항공사 부담 감안 항공기 임대 관련 조치도 검토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연합뉴스
중국산 제품에 대해 145% 관세를 부과하며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중국이 미국산 반도체에 대한 125% 보복 관세를 철회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CNN은 25일(현지시간) 중국 당국이 최근 메모리칩을 제외한 미국산 반도체 8종에 대한 관세 철회 조치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CNN은 수입 대행업체가 통관 과정에서 이같은 사실을 알게 됐며 관세 철회 조치가 당국의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이뤄졌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은 반도체에 대한 관세 면제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면세 조치에 대한 질문에 “잘 모른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선전의 세관 당국은 일부 회사에 관세 면제 소식을 알렸다고 CNN은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 당국이 미국산 의료 장비와 에탄 등 일부 산업용 화학물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세계 최대 플라스틱 생산국인 중국의 일부 공장들은 미국산 에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의 병원들도 GE헬스케어와 같은 미국 기업이 생산한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장치와 초음파 장비 등의 첨단 의료 장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항공기 임대에 관한 관세 면제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항공기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 업체로부터 임대해 사용 중인 중국 항공사들의 재정적 부담이 크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다만 면제 대상 품목은 확정적인 것은 아니며, 아직 검토 단계이기 때문에 실제 면제 조치까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 골드만삭스는 미중 무역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될 경우 에탄 외에 액화천연가스(LPG)에 대한 관세도 면제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의 다안 스트루이븐 애널리스트 등은 보고서에서 “석유화학 원료는 역사적, 경제적 이유로 중국의 관세 면제 리스트 최우선 순위에 오를 수 있다”면서 “이들 품목은 2018년에도 기존 규제에서 면제된 바 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이번 면세 검토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145%의 추가 관세에서 일부 전자제품을 제외하기로 한 것과 유사한 조치라고 전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두 국가의 무역관계가 얼마나 깊게 얽혀 있으며, 중국 경제의 일부가 여전히 미국산 제품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과 협상 가능성을 언급하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중국의 관세에 대해 “145%는 매우 높다”며 “(협상시 관세율이) 그 정도 높지는 않을 것이며 매우 상당히 내려갈 것이다. 그러나 제로(0%)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도 지난 23일 미중 양국의 관세율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