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여의도 국회
2025년 4월 25일


문재인 전 대통령, 우원식 국회의장 접견

부인 김정숙 여사도 동행

우 의장, 문 전 대통령 부부 접견실로 안내


[우원식/국회의장]
"그래도 서서, 사진을 하나…"

[문재인/전 대통령]
"그럴까요?"

[문재인/전 대통령]
"같이 합시다."

[우원식/국회의장]
"문재인 대통령님, 이렇게 국회 방문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공식적으로 이렇게 대통령께서 방문하시는 거는 처음 있는 일이에요."

[문재인/전 대통령]
"어, 그렇다면서요."

[우원식/국회의장]
"아주 정말 뜻깊은 날인 것 같습니다. 판문점 선언이 있었고 오늘 기념하는 날인데, 오늘 아주 정말 뜻깊은, 그런 기념식이 될 거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번 비상계엄을 하면서 대통령님이 정말 큰일을 해놓으셨더라고요. 위수령을 그때 폐지하셨잖아요. 그런데 위수령이 살아 있었더라면, 위수령은 국회에서 해제하는 절차가 없어서 위수령이 살아 있었더라면 정말 국회가 속수무책으로 그냥 당할 뻔했었어요. 그래서 위수령이 없어서 계엄령이 됐고 계엄령을 하면서 그걸 국회에서 해제할 수 있는 절차가 있어서 저희들이 해제할 수 있었는데. 정말 섬뜩했습니다. 나중에 그 과정을 보면서. 아마 위수령이 살아 있고 위수령을 발동했다면, 제가 담 넘어오기도 전에 어디로 갔을지 알 수 없는, 그런 상황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한편으로 들고.

하, 어제 저 그 기소 이야기를 듣고. 그런데 제가 참 납득이 잘 안 되는 게, 답변 준비 중에 계셨다고 4월 말까지 답변하기로 하셨는데. 답변 준비 중에 갑자기 기소가 됐다고 그래서 이게 지금 우리 국가가 여러 가지로 지금 혼란한데 이렇게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시기적으로도 또 그렇고 내용적으로도 그렇고 저도 잘 납득이 안 되는데 우리 국민들도 잘 납득이 안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 점에서 여러 가지 심려가 많으실 텐데 이런 일이야 일대로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이런 절차나 이런 점에 있어서 부족한 점들이 없는지 국회에서도 잘 살펴봐야 될 것 같습니다."

[문재인/전 대통령]
"예, 퇴임 후에 국회 방문이 처음입니다. 오늘 판문점 선언 7주년 기념행사를 국회 도서관에서 하게 된 것도 아주 뜻깊은데 또 우리 의장님께서 그 행사에 함께해 주시면서 축사해 주시고 또 우리 부부를 특별히 또 의장실로 초대해 주셔서 정말 고맙고 뜻깊게 생각을 합니다. 이번에 계엄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국회가 정말 큰 역할을 해 주셨습니다. 계엄 선포만으로도 나라와 국민들에게 끼친 그 피해가 막심한데. 그나마 그래도 국회가 신속하게 계엄 해제를 의결해준 덕분에 사태를 조기에 수습하고 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계엄 선포 소식을 듣자마자 우리 의장님께서 국회로 달려가 주시고 또 담장까지 이렇게 넘어오면서 의원들을 신속하게 소집해 주셨고 또 아주 침착하게 절차에 따라서 회의를 진행해 가지고 정말로 아무도 시비를 걸 수 없는 그런 계엄해제 의결을 이끌어낸 그런 우리 의장님의 아주 강인한 의지와 리더십이 그 덕분이었다고 생각을 하고…

아까 제 기소 문제는 의장님께서 말씀하셨다시피 이미 제가 기억하는 범위 내의 답변을 이미 작성해 놓고 다만 좀 더 사실관계를 깊이 있게 확인하기 위해서 대통령 기록관 변호인들이 방문해서 기록을 열람하고 있는 중이었고 그런 과정들이 검찰하고 협의가 되면서 조율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전격적으로 기소를 한 거예요. 물론 기소 사실 자체도 부당하지만 뭔가 정해진 방향대로 그냥 무조건 밀고 가는. 그런 이제 느낌이 들었습니다. 어쨌든 검찰이 그만큼 정치화되고 있고 또 검찰권이 남용된다는 그는 아주 단적인 그런 사례 같아서 앞으로 그 점을 내 개인적인 무고함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 그런 검찰권의 남용과 정치화 이런 부분들을 제대로 이렇게 좀 드러내고 국민들에게 알리는 데 주력을 할 계획입니다. 우리 국회 한 가지 당부만 좀 드리자면 이제 조기 대선으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서 나라를 빨리 빠르게 정상화시켜야 하는데 지금 같은 어떤 대립이나 분열이 지속된다면 또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상당한 혼란이 예상되지 않습니까? 게다가 또 인수위도 없이 시작해야 하는 정부이기 때문에 국회가 새 정부하고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나라가 또 민생이 안정되도록 그렇게 좀 많이 역할을 해 주시기를 당부드리겠습니다."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42 "지금 사도 될까요?"…'끝 없는 호재' 조선주, 실적 더 좋아진다 [줍줍 리포트] 랭크뉴스 2025.04.26
48941 트럼프 “中 시장 개방 안 하면 관세 철회 없어” 랭크뉴스 2025.04.26
48940 한국 주식시장 등지는 외국인…9개월 연속 39조원 팔아치워 랭크뉴스 2025.04.26
48939 조정호 회장의 경우 [하영춘 칼럼] 랭크뉴스 2025.04.26
48938 “학급칠판 어떻게 들어가요?”···새학기 두 달만에 시작한 AI 교과서 수업 풍경 랭크뉴스 2025.04.26
48937 트럼프의 부당한 명령, 미 합참의장은 공개 항명했다 [창+] 랭크뉴스 2025.04.26
48936 1기 신도시 선도지구 2차 선정 재도전 나선 단지들… “분담금 부담에도 가격 상승 기대” 랭크뉴스 2025.04.26
48935 “검찰 압박 때문에···” 진술 뒤집은 ‘대장동’ 정영학, 이재명 재판 영향은? 랭크뉴스 2025.04.26
48934 오늘 교황 장례 미사‥6km '마지막 여정' 랭크뉴스 2025.04.26
48933 [실손 대백과] 보험 분쟁 해결 무료 손해사정사 이럴 땐 선임 불가 랭크뉴스 2025.04.26
48932 “사람 만나는 게 일인데”... 은행 출신 증권사 사장님의 ‘근태 단속’ 랭크뉴스 2025.04.26
48931 보름 넘게 ‘선거 관리’ 언급 않는 한덕수···8년 전 황교안과도 대조적 랭크뉴스 2025.04.26
48930 오늘 장례식…유흥식 추기경 “교황, 복음적 삶 실천” 랭크뉴스 2025.04.26
48929 "중국 개방해야 관세 철회"‥방위비 분리 시사 랭크뉴스 2025.04.26
48928 美증시 3대 지수 나흘째 동반 강세 마감… 테슬라 9.8% 급등 랭크뉴스 2025.04.26
48927 "왜 하필 나야!" 절규했다…아빠·엄마·할머니·남편잃은 그녀 랭크뉴스 2025.04.26
48926 이재명 “정치보복 안 한대도 안 믿어”…민주 후보들 “검 수사·기소권 분리” 랭크뉴스 2025.04.26
48925 1년새 100억 뛴 황금박쥐 뭐길래…KTX도 멈춰 세운 이 축제 랭크뉴스 2025.04.26
48924 민주당 대선 경선 마지막 토론 “양극화 완화” “50조 추경”…검찰개혁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26
48923 "○○이가 다쳤어요" 친구 팔아 친구 엄마에 1억 뜯은 30대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