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맥 총재 “지표 명확해지면 6월 조정”
5월 인하론엔 “너무 이르다” 선그어
월러 이사, 7월 이후 실업률 상승 우려
“물가 상승은 일시적, 고용 타격시 인하”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이사가 지난해 8월 21일 미국 와이오밍주 캔자스시티에서 열린 정례 경제정책심포지엄(잭슨홀 미팅)에 참속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들어 금리를 잇따라 동결하며 관망기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연준 고위 관계자들이 6월 이후 금리 조정 가능성을 언급했다. 여전히 지표 등 경제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지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이 금리 조절 시점을 언급한 것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이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4일(현지 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우리가 명확하고 뚜렷한 경제 지표를 6월까지 확인할 수 있고, 그 시점에서 금리의 바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면 위원회(FOMC)가 금리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맥 총재는 다음달 6일과 7일로 예정된 5월 FOMC까지는 금리를 내리거나 올릴 만큼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그는 5월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며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지 확인할 때”라고 선을 그었다. 5월은 금리를 인하하기에 아직 이르지만 6월까지는 금리를 움직일 수 있을 만큼의 정보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발언이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세 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뒤 올 들어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연준은 지난 1월과 3월 회의에서 두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4.25~4.5%로 유지했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5월 FOMC에서도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약 96%로 보고 있다.

그동안 메리 데일리 댈러스 연은 총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 주요 연준 관계자들은 관세 정책의 경제 영향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한동안 유지한 채 지켜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해맥 총재도 “지금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에 좋은 시기가 아니다”라며 관망 기조를 강조했지만 금리 조절 가능성과 시기에 대해 언급한 것은 최근 연준의 분위기에서 이례적이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총재도 추후 관세로 인해 고용 시장이 약해질 수 있다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대규모 관세가 다시 부과된다면 앞으로 더 많은 해고와 실업률 상승이 나타나도 놀랄 일이 아니다”라며 “노동 시장이 심각하게 악화되기 시작하면 더 빠른 시일 내에 더 많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인터뷰에서 관세에 따른 물가 영향은 일시적일 것이란 자신의 기존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관세의 경제 여파가 7월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면서, 이후 고율 관세가 7월 이후 다시 적용될 경우 그 후폭풍이 물가가 아닌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9일 국가별로 최고 49%에 이르는 상호관세를 90일간 10%로 낮춰 적용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7월 초 이 조치를 연장하지 않고 주요국과의 협상을 마무리 하지 못할 경우 각국에는 다시 고율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 월러 이사는 “관세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든 검토할 의향이 있다”면서도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있다면 과민 반응하지는 않을 것이고 노동 시장이 크게 위축된다면 우리가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 이사.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02 손 들고 벌서는 승객들?…비행 중 천장 패널 떨어진 미 여객기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5
48501 [샷!] "아이 키우기 참 힘든 나라입니다" 랭크뉴스 2025.04.25
48500 SK텔레콤, 유심 무상 교체 결정할까…"피해 특정돼야" 랭크뉴스 2025.04.25
48499 최상목 “한미,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마련 공감대” 랭크뉴스 2025.04.25
48498 "정부 거짓말" 마음 아픈 이용수 할머니, '위안부 역사관' 건물엔 비가 샌다 랭크뉴스 2025.04.25
48497 “대학 졸업장 필요 없다”…고졸 뽑는 미국 빅테크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4.25
48496 모바일뱅킹 앱 전쟁, 토스뱅크 독주 속 전통 은행의 추격전 랭크뉴스 2025.04.25
48495 김문수·한동훈·홍준표 ‘한 빌딩 세 캠프’···소통은 활발, 엘리베이터서도 ‘말조심’ 랭크뉴스 2025.04.25
48494 “열흘 전 설악산서 여성 죽였다”… 경찰서 찾아 자수, 50대 남성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4.25
48493 [단독] 경부고속철 자갈 궤도 2029년부터 수명 다해…개량 시급 랭크뉴스 2025.04.25
48492 한미, 통상협의 '7월 패키지' 추진…최상목 "서두르지 않겠다"(종합) 랭크뉴스 2025.04.25
48491 한미, 7월 8일까지 관세 폐지 목표 '패키지 합의' 추진… 방위비 빠졌다 랭크뉴스 2025.04.25
48490 韓美 ‘통상 7월 패키지’ 마련… 관세・비관세, 경제안보, 투자협력, 환율 4대 분야 논의 (종합) 랭크뉴스 2025.04.25
48489 "집 보러만 가도 돈 내라고요?"…중개비도 부담스러운데 '임장비'까지 랭크뉴스 2025.04.25
48488 [단독] 이재명 항소심 재판부, 대법원 최신판례로 무죄 선고했다 랭크뉴스 2025.04.25
48487 [속보] 안덕근 "한미 FTA 재협상 얘기 나온 바 없다" 랭크뉴스 2025.04.25
48486 서울에 집 없는 서러움…서울 원룸 전세보증금 평균 2억 원 넘어[집슐랭] 랭크뉴스 2025.04.25
48485 [속보]최상목 “한국의 정치 일정 등 설명···미국 측 이해 요청” 랭크뉴스 2025.04.25
48484 “열흘 전 설악산에서 여성 죽였다” 경찰서 찾아와 자수한 50대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4.25
48483 이재명, 한덕수·국힘 누구와 양자대결해도 ‘과반’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