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맥 총재 “지표 명확해지면 6월 조정”
5월 인하론엔 “너무 이르다” 선그어
월러 이사, 7월 이후 실업률 상승 우려
“물가 상승은 일시적, 고용 타격시 인하”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이사가 지난해 8월 21일 미국 와이오밍주 캔자스시티에서 열린 정례 경제정책심포지엄(잭슨홀 미팅)에 참속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들어 금리를 잇따라 동결하며 관망기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연준 고위 관계자들이 6월 이후 금리 조정 가능성을 언급했다. 여전히 지표 등 경제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지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이 금리 조절 시점을 언급한 것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이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4일(현지 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우리가 명확하고 뚜렷한 경제 지표를 6월까지 확인할 수 있고, 그 시점에서 금리의 바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면 위원회(FOMC)가 금리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맥 총재는 다음달 6일과 7일로 예정된 5월 FOMC까지는 금리를 내리거나 올릴 만큼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그는 5월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며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지 확인할 때”라고 선을 그었다. 5월은 금리를 인하하기에 아직 이르지만 6월까지는 금리를 움직일 수 있을 만큼의 정보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발언이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세 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뒤 올 들어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연준은 지난 1월과 3월 회의에서 두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4.25~4.5%로 유지했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5월 FOMC에서도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약 96%로 보고 있다.

그동안 메리 데일리 댈러스 연은 총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 주요 연준 관계자들은 관세 정책의 경제 영향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한동안 유지한 채 지켜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해맥 총재도 “지금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에 좋은 시기가 아니다”라며 관망 기조를 강조했지만 금리 조절 가능성과 시기에 대해 언급한 것은 최근 연준의 분위기에서 이례적이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총재도 추후 관세로 인해 고용 시장이 약해질 수 있다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대규모 관세가 다시 부과된다면 앞으로 더 많은 해고와 실업률 상승이 나타나도 놀랄 일이 아니다”라며 “노동 시장이 심각하게 악화되기 시작하면 더 빠른 시일 내에 더 많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인터뷰에서 관세에 따른 물가 영향은 일시적일 것이란 자신의 기존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관세의 경제 여파가 7월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면서, 이후 고율 관세가 7월 이후 다시 적용될 경우 그 후폭풍이 물가가 아닌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9일 국가별로 최고 49%에 이르는 상호관세를 90일간 10%로 낮춰 적용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7월 초 이 조치를 연장하지 않고 주요국과의 협상을 마무리 하지 못할 경우 각국에는 다시 고율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 월러 이사는 “관세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든 검토할 의향이 있다”면서도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있다면 과민 반응하지는 않을 것이고 노동 시장이 크게 위축된다면 우리가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 이사.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21 대법, ‘李 선거법 위반 사건' 다음 기일 지정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20 청소년도 ‘위고비’로 다이어트…12세 이상 처방 눈앞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9 ‘강남3구’에 집중된 아동 우울증·불안장애…“조기 사교육 탓”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8 "'난 냄새 안 나' 착각말라, 1일 1샤워 권장" 회사 공지에 반응은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7 "유재석이 광고해 믿었는데"...고려은단, 발칵 뒤집혔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6 [속보] 경찰·고용부,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포스코이앤씨 본사 등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5 이재명 53% vs 한덕수 38%… 李, 누구와 붙어도 52% 넘었다 [갤럽]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4 오늘은 세계 펭귄의 날…기후 위기로 일상 무너지는 펭귄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3 최상목 "한미, 관세폐지 목적 '7월 패키지' 마련 공감대"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2 관세 합의·美 주식 시장 상승에…코스피·코스닥, 프리마켓서 반등[마켓시그널]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1 "냄새 안 난다 착각 마세요" 1일 1샤워 호소한 회사 공지문 화제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10 ADHD 치료제 ‘공부 잘하는 약’ 오남용…진짜 환자는 “약국 50곳에 전화”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9 무인카페 찾은 여성 3명‥CCTV 보니 '깜짝'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8 [단독]6년간 ‘기준 위반’ 40건, 세균에 중금속까지···내가 먹는 생수, 괜찮을까?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7 강원 고성 DMZ서 산불‥15시간 넘게 진화 중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6 상승 전환한 비트코인, 9만3000달러대서 등락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5 '소녀상 모욕' 미국 유튜버 생활고 소식에 서경덕 "자승자박"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4 “과일값 그렇게 오르더니”... 가락시장 5대 도매법인, 작년 순익 18% 증가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3 최상목 “한미 2+2서 방위비 분담금 언급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502 손 들고 벌서는 승객들?…비행 중 천장 패널 떨어진 미 여객기 [잇슈 SNS] new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