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의힘의 24일 대선 2차 경선 맞수토론에서 후보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 차를 선명히 드러냈다.
24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김문수(왼쪽), 한동훈 후보가 토론 전 대화를 하고 있다. 2025.0424 국회사진기자단

이날 오후 토론에선 김문수ㆍ한동훈 후보가 1부, 안철수ㆍ김문수 후보가 2부에서 각각 맞붙었다. 김 후보가 한 후보를 지목해 이뤄진 1부 토론에서 김 후보는 “조기 대선의 모든 책임이 한 후보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여러 차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후배”, “형제 관계 이상” 등 한 후보와 윤 전 대통령의 관계를 강조하며 “대통령이 계엄을 하고 탄핵을 당하고 파면되는 이 모든 과정에서 첫 번째 책임을 물으라면 한 후보의 책임이 제일 크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또 “한 후보가 크게 일하려면 윤 전 대통령을 찾아뵙고 ‘인간적으로 못할 짓을 했다’고 하고, 당원들에게 정중하게 사과하거나 후보직을 사퇴해야 한다”고도 했다.

한 후보는 “형제 관계에 있던 사람이 계엄을 하면 막지 말았어야 하느냐. 아버지가 불법 계엄을 해도 막아야 한다”고 맞받았다. 한 후보는 “공직은 개인의 하사품이 아니다. 충성은 나라에 해야 한다”며 “(오히려) 제가 대통령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나섰을 때 함께 나서주지 않았던 많은 정치인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 후보는 ‘배신자 프레임’에 대해서도 “김건희 여사 문제 등 대통령이 잘못 나가는 길이 있을 때 적극 바로잡으려고 노력했다. 그걸 배신이라고 부르나”라고 말했다.

한 후보는 전광훈 목사와의 관계 등을 들며 김 후보의 강성보수 이미지를 공격했다. 김 후보는 “저는 자유통일당과 관계가 없다. 전 목사가 대선에 출마하는 것도 소통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으나, 한 후보는 “올해 2월에 전 목사를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목사’라고 칭찬하시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한 후보는 또 “김 후보가 오히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확정된 전과 숫자보다 전과 숫자가 더 많다”며 “그 중 두 건은 전 목사와 관련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대법원에서 2020년 당시 집합금지명령을 어기고 사랑제일교회 대면 예배에 참석한 것에 대해 벌금형을 확정 받았다. 한 후보가 또 “폭행치상 사건도 있다”고 덧붙이자 김 후보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김 후보는 토론 직후 입장문을 통해 “15대 총선 당시 선거운동 방해를 제지하다가 상해로 벌금 30만원을 선고받은 사실이 있다”고 정정했다.

김 후보는 계엄령을 ‘계몽령’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상당히 센스 있는 말”이라며 “계엄 이후 대통령 담화 등을 들으면서 젊은 층이 민주당이 얼마나 국회에서 포악한 일들을 많이 했는지를 깨닫는 계기가 됐다”고 주장했다. 한 후보는 자신을 둘러싼 이른바 당원게시판 논란에 대해 “계엄에는 관대하고 당 게시판에는 아직까지도 그렇게 예민하나”라고 반박했다.

안철수 후보가 김 후보를 지목해 실시된 2부 주도권 토론에서도 비상계엄을 둘러싼 공방이 벌어졌다. 안 후보는 “국민 앞에서 먼저 솔직하게 사과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국민의힘이 이기는 길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 후보는 “대통령이 잘못하면 우리 당 의원들이 뭉쳐서 해결해야지 걸핏하면 탄핵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계엄이 잘했다는 게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우리 당의 대통령을 탄핵함으로써 이재명이라는 천하의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는 사람이 날뛰고 온 전국을 휘젓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문제를 놓고선 세 사람의 미묘한 입장차가 드러났다. 김 후보는 “이재명을 꺾지 않으면 정치적으로 반대한 사람은 모두 정신병원에 갇힐 우려가 있다”며 “한덕수든 김덕수든 누구든 합쳐서 이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후보는 “이기기 위해선 힘을 합쳐야 한다”면서도 “보수를 대표하는 정당에서 경선 과정에서 미리 앞장서서 단일화를 얘기하는 건 도움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안 후보는 “한 대행이 3개월 간 집중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며 단일화에 반대했으나, 토론 직후 입장문을 통해 “부득이 출마하신다면 빅텐트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다”고 정정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66 배상금만 무려 1.5조…포항시민 96%가 뛰어든 '이 소송'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27
49365 차기 교황은?… 콘클라베 이르면 내달 6일 시작 랭크뉴스 2025.04.27
49364 "尹투르크 국견 年사육비 670만원 지자체서 부담…개선책 시급" 랭크뉴스 2025.04.27
49363 러시아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 우크라 격퇴에 도움" 첫 인정 랭크뉴스 2025.04.27
49362 "어제의 적이 오늘의 친구"...현대차·포스코 전격 ‘동맹’ 랭크뉴스 2025.04.27
49361 홍준표 "김문수 '일본 국적' 발언, 뉴라이트 역사관"‥탄핵 반대파' 설전 랭크뉴스 2025.04.27
49360 트럼프·젤렌스키 '15분 만남'...교황 장례 계기 외교 '들썩' 랭크뉴스 2025.04.27
49359 [단독] 요거트 아이스크림 ‘요아정’ 다시 매물로… 신생 PE 인수한지 8개월만 랭크뉴스 2025.04.27
49358 "출동한 경찰이 현관문 뜯었어요"…앞으론 빨리 보상해준다 랭크뉴스 2025.04.27
49357 헌정수호 합의 민주당 등 야5당, 교섭단체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4.27
49356 정의로운 항명, 고통스런 대가 [창+] 랭크뉴스 2025.04.27
49355 트럼프 “푸틴, 전쟁중단 원치않는듯…러시아에 금융제재할수도” 랭크뉴스 2025.04.27
49354 모성이 강하다고?... 남성의 '양육 본능' 무시하지 말라 랭크뉴스 2025.04.27
49353 러너들이 점령한 서울의 주말…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랭크뉴스 2025.04.27
49352 [교황 장례 르포] 눈물로 떠나보낸 추모객들 "고마워요, 프란치스코" 랭크뉴스 2025.04.27
49351 "윈프리 비만약 투약했네"…네티즌에 딱 걸린 '오젬픽 발' 증상 랭크뉴스 2025.04.27
49350 13년 전 중국서 마약 밀수하고 해외 도피한 50대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27
49349 민주 경선 호남 투표율 53%…이재명 득표율 4년 전보다 ‘껑충’ 랭크뉴스 2025.04.27
49348 [정책 인사이트] 결혼식장 사용료 1400만원 시대… 카페 무료 대관·1만원 야외 광장 제공하는 지자체들 랭크뉴스 2025.04.27
49347 인제 산불 밤새 진화율 98%…일출과 동시에 헬기 투입 재개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