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K·홈플 “회생절차 미리 준비 안했다” 반박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4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홈플러스와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 신청을 상당 기간 계획했다고 볼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지만 사전에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점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21일 ‘홈플러스 사태’ 관련자들을 패스트트랙(긴급 조치) 형식으로 검찰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를 이미 준비하면서도 6000억원에 육박하는 단기채권을 발행해 개인투자자·일반법인 등에게 손실을 떠넘겼을 경우 동양·LIG사태처럼 ‘사기적 부정거래’ 등을 적용해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다.

이 원장은 “최소 다음 달 말까지 홈플러스 사태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해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MBK 검사 및 홈플러스 회계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을 지속적으로 살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MBK 측이 회생 신청 이후 책임감 없는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이 원장은 “MBK와 홈플러스 측이 회생 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을 보면 대주주와 채권단 간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상거래 채권 변제가 지연돼 납품업체 불안이 지속되고 3월부터는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으며 임대료 감액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반면, 홈플러스 대주주 측의 추가 출자 또는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경영 실패 책임이 있는 자의 자구책에는 일언반구 언급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대주주가)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면서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하는 듯하다는 그간의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이 5~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 회생계획안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자 등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욱 비난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인 상황까지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MBK파트너스가 금융당국 쪽에 금융기관 협조를 요청했다는 내용도 공개됐다.

그는 “MBK 측에서는 거래업체 유지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채권자인 금융기관에 협조를 구해달라는 식의 요청까지 하는 상황”이라며 “금융회사들이 자체적인 판단을 내린 결정에 대해서는 당국이 영향을 미칠 의도 및 수단이 없다는 점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그런 협조 요청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달 입장문을 내고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에 물품을 납입하는 소상공인들이 원활히 결제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사재를 출연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적인 규모와 방식, 시기 등은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김 회장은 지난달 홈플러스가 600억원의 자금을 융통하는 과정에서 지급보증을 섰지만 구조상 실제 사재 출연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별도로 홈플러스에 개인 자금을 증여했으나 구체적인 액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이 원장의 발언에 대해 공동 입장문을 내고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하지 못했고 회생절차도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며 기존의 주장을 고수했다.

MBK·홈플러스는 “올해 2월 26일 한국기업평가로부터 등급하락 예정 사실을 인지받은 뒤 홈플러스에 대해 MBK의 1000억원 자금 보충 약정과 홈플러스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상환조건 변경안을 한기평에 제시했다”며 “신용등급의 하락을 예견했다면 이런 방안은 2월 신용 정기평정 심사 이전에 제시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던 만큼 이는 하락을 예견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고 설명했다.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이 제기된 ‘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문제에 대해선 “ABSTB의 발행·판매·재판매의 거래 당사자가 아니고 해당 거래에 관여한 바가 없다”고 반박했다.

ABSTB는 홈플러스의 신용카드 대금을 기초자산으로 한 단기사채로, 발행 주체는 신영증권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MBK 측은 “홈플러스는 상품대금 지급을 위해 신용카드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단기자금 운영을 위해 신영증권 측으로부터 발행규모(채권 수요)에 대해 사전에 확인받기만 했다”고 주장했다.

올해 2월 25일 ABSTB 발행도 24일 신영증권 측에서 확인받았지만 이때는 신용등급 하락 통지를 받기 하루 전의 일이었고, 당시에도 정보를 받기만 했을 뿐 어떤 의사결정이나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도 덧붙였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00 서해 구조물 철거 거절한 中…"양식 시설 직접 보라" 현장 방문 제안 랭크뉴스 2025.04.24
48299 선관위, '韓대행, 심판이 선수로 뛴다'에 "선거관리는 저희가" 랭크뉴스 2025.04.24
48298 윤희숙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계엄 낳아... 진심으로 사죄" 랭크뉴스 2025.04.24
48297 검찰 눈엔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24
48296 우크라군 "키이우 공습에 북한 탄도미사일 사용" 랭크뉴스 2025.04.24
48295 '아수라장'된 46년 만의 권한대행 시정연설…우원식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구별" 한덕수 직격 랭크뉴스 2025.04.24
48294 영화 '오펜하이머' 비밀도시처럼…中고비사막서 우주선 솟구쳤다 [르포] 랭크뉴스 2025.04.24
48293 “스트레스 풀려고” 새끼 고양이 21마리 죽였다…“징역 1년6개월” 랭크뉴스 2025.04.24
48292 [단독] 광장서 과도 든 노숙인… “흉기소지죄 맞나” 경찰 갈팡질팡 랭크뉴스 2025.04.24
48291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일주일 만에 좌초 랭크뉴스 2025.04.24
48290 계엄군 이진우의 거수경례‥계엄 몰랐다던 박안수는 '헬기 승인' 랭크뉴스 2025.04.24
48289 “68억원 사라졌다”는데 ‘훔친 건 40억원’···28억원은 어디에? 랭크뉴스 2025.04.24
48288 “엄마가 전화를 안 받아요” 영남 산불에 일어난 기적 [아살세] 랭크뉴스 2025.04.24
48287 檢 “사위 급여는 文의 뇌물”… 다혜씨 부부 태국이주 靑 동원 랭크뉴스 2025.04.24
48286 "하루 꼬박 기다려도 괜찮아" 끝없이 이어진 교황 조문 행렬 랭크뉴스 2025.04.24
48285 ‘경북 산불’ 실화 혐의 2명, 구속영장 심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4
48284 1분기 -0.2% ‘역성장 쇼크’… 4개 분기 연속 저성장 랭크뉴스 2025.04.24
48283 [영상] 교황이 누운 바티칸의 밤, 꺼지지 않던 성 베드로 성당의 불빛 랭크뉴스 2025.04.24
48282 '몸 사리는' 이재명, 원전엔 함구…공공의대는 국립의대로 말 바꿔 랭크뉴스 2025.04.24
48281 HBM의 힘…SK하이닉스 영업익 7.4조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