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왼쪽부터), 안철수, 한동훈, 홍준표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2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성동훈 기자
국민의힘 대선 경선 과정에서 주요 변수로 떠오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출마론을 비판해온 홍준표·한동훈 후보가 한 권한대행과 ‘단일화’ 문을 열어뒀다. 한 권한대행과 연대 의지를 통해 각각 보수 지지층과 중도층에 소구하려는 정반대 셈법으로 풀이된다. 출마 자체를 반대하고 나선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인 김문수 후보는 선명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홍 후보는 24일 서울 여의도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권한대행이 출마하고 반이재명 단일화에 나선다면 한 권한대행과도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홍 후보가 전날 밤 페이스북에 “한 권한대행께서 권한대행을 사퇴하고 출마하신다면 제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되더라도 반이재명 빅텐트 단일화 협상의 길은 열어 놓겠다”고 밝힌 연장선상이다.
한 후보도 이날 페이스북에 “경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다음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이라며 “특히 한 총리님과 저는 초유의 계엄 상황을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수습하기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댔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지키고 꽃피우겠다는 생각이 완전히 같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 출마론 자체를 강하게 비판한 기존 입장과 달라진 태도로 평가된다. 홍 후보는 한 권한대행의 공정한 대선 관리 역할을 강조하며 ‘국민의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단일화론을 “어처구니없는 설계”라고 비판해왔다. 한 후보도 한 권한대행 차출론을 “보수 기득권 세력의 패배주의”로 규정해왔다.
한 권한대행이 이날 국회 시정연설에 나서는 등 출마 분위기가 점차 고조되는 상황을 거스르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각종 여론조사상 50%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에 맞서려면 범보수 진영이 총 결집해야 한다는 요구도 간과하기 어려운 요인이다.
4인이 남은 2차 경선 과정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지지층을 넓히려는 목적도 읽힌다. 김문수 후보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반탄) 대표 주자를 겨루고 있는 홍 후보는 한 권한대행의 ‘윤석열 정부 2인자’ 이미지를 활용해 보수 지지층을 더 끌어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홍 후보는 이날 “당내 찬탄·반탄 가리지 않고 모두 함께 가도록 하겠다”며 ‘대통합’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찬탄 한 후보는 한 권한대행과 함께 지난해 12월 윤 전 대통령의 불법계엄 선포 국면을 수습·관리하려던 사실을 환기하며 중도층까지 지지를 확장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2차 경선은 오는 27~28일 ‘당원 투표 50% 및 국민 여론조사 50%’로 진행되며 29일 결과가 나온다.
안 후보는 찬탄 후보 정체성을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한 권한대행의 출마를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안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한 권한대행은 탄핵당한 윤석열 정부의 유일한 국무총리였다”며 “국정 실패, 계엄, 탄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행님 출마는 명분도 실익도 없다“며 “윤 전 대통령의 재출마와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 반탄 김 후보는 “의도적으로 표를 얻기 위해 윤 전 대통령과 거리 두기를 할 생각이 전혀 없다”(전날 중앙일보 인터뷰)며 한 권한대행 출마 시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김 후보 캠프의 김재원 미디어총괄본부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김 후보는 4명 후보 중 유일하게 경선에서 승리하면 곧바로 한 총리에게 단일화를 제안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추가경정 예산안 시정연설을 마치고 국회를 나서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