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특사경·경찰, 불법 여부·충돌 감시
현장 천막·헬륨가스 등 장비는 철수 안 해
현장 천막·헬륨가스 등 장비는 철수 안 해
납북자가족모임이 23일 경기 파주 임진각 앞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시도하기 전 내용물을 보여 주고 있다. 한수빈 기자
23일 오전 대북 전단을 살포할 예정이었던 납북자 가족모임이 바람 방향 문제 등으로 당일 살포 시도를 중단하기로 했다.
최성룡 납북자 가족모임 대표를 비롯한 회원 20여 명은 이날 오전 11시쯤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랜드 펜스 뒤편에서 ‘납치된 가족 소식 보내기’ 행사를 개최했다.
최 대표는 이 자리에서 “가족의 생사라도 알고 싶다는 것이 죄인가. 소식지를 보내는 것은 표현의 자유”라며 “최근 가처분 신청에서도 승소했고, 재판정에서 항공안전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전단 무게를 2㎏ 이하로 제한하고 헬륨가스를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살포하려는 전단은 납북 피해자 6명의 사진과 설명이 담긴 소식지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감옥에 갇힌 모습을 합성한 이미지를 인쇄한 비닐 다발로, 헬륨 풍선 10개에 실릴 예정이었다.
최 대표는 오전 바람의 방향이 여의치 않자 살포 시간을 오후 8시로 연기하고 현장에서 대기했다.
이후 오후 8시 10분쯤 최 대표는 “바람의 방향과 풍속이 전단 살포에 적합하지 않아 살포를 중단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다만 현장에 설치한 천막과 헬륨가스 등의 장비를 철수하지 않았다.
또 전단 살포 시도를 계속 이어가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앞서 이곳에서는 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접경지 주민들과 ‘평화위기파주비상행동’ 등 시민단체의 집회도 열렸다.
파주 민통선 마을 주민 60여 명은 이날 오전 10시쯤 트랙터 8대를 동원해 통일대교를 건너 임진각 진입로 일부를 점거했다.
트랙터에는 ‘파주시민 위협하는 대북 전단 살포 중단하라’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이 부착됐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와 김경일 파주시장은 이날 최 대표를 만나 전단 살포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특별사법경찰 100여 명을 현장에 배치해 살포 시도를 감시했으나 별다른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경기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접경 지역을 재난안전법상 위험구역으로 지정하고 특별사법경찰을 투입해 대북 전단 살포 행위를 차단하고 있다.